크리스챤과 술 제 7 장 주정 음료와 관련하여 잘못 이해된 성경 귀절 1. 신명기 14:26 “포도주나 독주”를 마시고
 “자신들이 수확한 것의 십일조를 가져올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곳에 사는 이들이 절기 때에 마신 음료는 명확히 포도즙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멀리 떨어져 살았기에 그들의 십일조를 돈으로 바꾸어야 했던 이들이 대신 발효된 포도주를 사서 마셨다고 추정하는 것은 참으로 온당치 못하다. 추수 절기 때에 적합한 음료는 신선한 음료였다. 그러므로 절기의 성격과 제사장들이 참여한 점 (29절)은 26절에 나오는 음료가 신선한 것임을 가리키논 것이다.”8 (236.3)
 문맥이 시사하는 바에 관한 이 통찰력 있는 관찰은 “포도주와 독주”라는 문구가 주정 음료를 칭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지지하여 주는 결정적인 이유이다. 이 귀절에서 이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되어 (중언법) “만족시켜 주는 포도즙”을 뜻한다는 이 견해는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야인이나 쉐카르가 함께 나오거나 또는동의어적인 평행귀에서 자주 나오는 것 (잠 20:1)은 이 두 단어가 문맥에 따라 발효된 포도주일 수도 있거나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일 수도 있는 통상적인 포도 음료를 지칭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여 준다. (236.4)
 단 음료
 앞에 제시한 견해 외에 또 다른 대안 한 가지는 신명기 4:26에 나오는 쉐카르가 대추야자 또는 꿀로 만든 단 음료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본문은 “무릇 네 마음에 좋아하는 것을 그 돈으로 사되 우양이나 포도즙이나 단 음료들(sweet drinks)”이 되어야 한다. 이 견해를 지지하여 주는 증거는 이사야 24:9에 나오는 쉐카르의 용례와, 히브리 어와 연관된 언어(동족어) 상에 있어서의 이 단어의 어근상의 의미이다. (237.1)
 이사야는 땅에 임할 하나님의 심판이 끼칠 영향을 묘사하면서 “노래하며 포도주(야인)를 마시지 못하고, 독주(쉐카르)는 그 마시는 자에게 쓰게 될 것이며”라고 말한다(24:9). 개역성경은 이 절에 나오는 쉐카르“독주”로 번역함으로써 “단” 것과 “쓴” 것 간의 대조를 모호하게 만들어 버렸다. “독”이라는 형용사는 비록 쉐카르와 연관되어 일관되게 사용되었지만, 이 단어의 원 의미의 일부분이 아니라 덧붙여진 형용사이다. 이 실태는 현대의 독자들에게 구약성경 시대의 백성들이 증류하여 만든 음료를 마셨다는 잘못된 인상을 준다. 하지만 이것은 틀린 것이다. 그 이유는 알코올을 증류하는 과정은 주후 500년 이후에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이사야 24:9은 구약 성경에서 쉐카르는 그 단 맛으로 인하여 가치 있게 여겨진 음료였다는 것, 즉 설탕이 알코올로 변하였기 때문에 사라져버린 성질임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 (237.2)
 쉐카르의 파생어
 쉐카르의 파생어와 후대의 사용 용례는 이 단어가 단 음료를 가리킴에 사용되었다는 견해를 지지하여 준다. 예를 들자면, 히브리 어 쉐카르와 관련 있는 단어인 아람 어 명사 쉬크라(shikra) 는 “보리로 만든 맥주와 대추야자로 만든 포도 음료 뿐만 아니라, 꿀술(mead)이나 섞여진 포도 음료(mixed wine)도 포함된 여러 다른 취하게 하는 음료를 칭하였음이 드러난다.”10 아카드어(Akkadian)에서 명사 쉬카룸(shikarum)은 곡식에서 만든 “맥주”를 뜻한다. 그렇지만, 이스라엘에서는 맥주가 널리 이용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맥주 제조 과정은 성경에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구약성경에 “취함을 야기시키는 취하게 하는 음료를 마신 것에 관하여 언급한 모든 역사적 사건들은 포도나무의 발효된 산물만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11 (237.3)
 성경의 현장에는 종려 나무가 무척 많았고, 종려 음료나 대추야자 음료를 쉽게 제조할 수 있었던 것에 비추어 볼 때, 성경에 나오는 쉐카르는 맥주가 아니라 대추야자 음료를 칭할 개연성이 높다. 이 견해는 쉐카르의 파생 어가 아람 어, 시리아 어, 아랍 어에서 대추야자 음료를 칭함에 사용되었다는 사실로 인하여 상당한 설득력을 가진다. 신국제역(NIV)의 번역자인 스테판 M. 레이놀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시리아 어는 최초 셈 어 어근인 쉬-크-르(sh-k-r)의 근본적인 의미가 대추야자나 꿀로 만든 음료였을 수 있었음을 가리키는 동족어를 가지고 있다(A Compendious Syriac Dictionary Rounded Upon the Thesaaurus syriacus of R. Payne Smith, Edited by J. Payne Smith, Oxford:Clarendon Press. Article, Shakar). 시간이 경과하면서 이 취하게 하는 대추 야자 음료를 뜻하게 되었고 이 단어는 맥주의 의미를 갖게 되었을 수도 있다.” (238.1)
 쉐카르가 본질적으로 취하게 해야만 한다는 주장의 정당성이 있다 없다 말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들이 있다. 신명기 14:26에서 이 단어가 사용된 환경은 취하게 하는 것이 다른 곳에서 하나님께서 주신 명령과 일치하지 않기에 여기서는 취하게 하지 않는 음료가 의도되었다고 추정하여야만 한다.”12 (238.2)
 비슷한 견해가 국제 표준 성경 사전에도 나온다. “아마도 성경 시대에 사용된 쉐카르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종려(대추야자)음료였다. 이것이 실제 성경에는 언급되지 않았고 탈무드 시대에 와서야 옌 테마린(Yen temarin:‘대추야자의 음료’)이란 그 히브리 어 명칭에 나온다. 그런데 이것은 앗시리아.바벨론 계약 서판(書板)에서 빈번하게 나오니, 이것들과 그 외의 증거들에서 이것이 고대 셈족 간에 매우 잘 알려진 것이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더구나 종려 나무가 성경 시대에는 엄청나게 많았고, 그러므로 대추 야자 즙으로 만든 음료가 일상적인 음료였다고 추정될 수 있다.”13 (238.3)
 성경 사전쉐카르의 원래 의미에 관하여 비슷하게 설명하여 주고 있다. 앗시리아-바벨론의 계약 서판에서 쉬카루(shikaru)는 일반적으로 취하게 하는 음료를, 구체적으로는 대추야자로 만든 음료를 칭한다(Del. Ass. HWB, s. v.). 실로 선사 시대에 셈족들이 아라비아의 자신들의 원시적 집에서만 활동 영역이 제한되어 있을 때에 주된(한 가지만 아니었다면) 취하게 하는 것을 발효된 대추야자 즙에서 얻었을 개연성이 높다.14 (238.4)
 발효된 것인가? 발효되지 않은 것인가?
 위의 마지막 인용귀는 쉐카르가 취하게 하는 음료였다는, 특히 구약성경에서 나올 때 대부분 그리하였다는 널리 유포된 추정의 한 예로, 하나님께서 불허하시는 취하게 하는 음료를 표시한다. 그렇지만, 이 추정은 정확하지 않다. 그 이유는 야인(술)과 같이 쉐카르이사야 24:9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달고,- 발효되지 않은 음료나 그 외의 대부분의 귀절들(잠 20:1; 31:4~6; 사 56:12)이 가리키고 있는 것과 같이 발효된, 취하게 하는 음료, 둘 중의 하나를 칭할 수 있는 총칭이기 때문이다. (239.1)
 죤 키토의 성경 문학 백과 사전은 다음과 같이 쉐카르란 단어의 포괄성에 관하여 명확하게 시인하였다. 쉐카르는 종려나무 음료와 그 외의 사카린 음료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여기에는 포도주에서 준비된 것은 제외된다. 쉐카르(shechar)는 강력한 마약 속에 섞여져서 취하도록 만들어졌다.”15 (239.2)
 라틴 벌게이트 성경(주후 400년경)의 번역자인 제롬은 쉐카르가 포도주를 제외한 여러 다른 종류의 발효된 음료를 칭하는 총칭이라고 정의하였다. 하지만 그는 그가 제시한 목록에서 몇몇 발효되지 않은 음료도 나열하고 있다. 네포티안에게의 편지에서 “히브리 어의 쉐카르(shechar)는 곡식으로 만든 것이든지 혹은 사과로 만든 것이든지 간에, 혹은 벌집을 달고(sweet) 이상한 음료로 끓여 줄어들게 했든지, 종려 나무 과실을 음료로 짰든지, 끓인 약용 식물(herb)로 인하여 물이 색깔을 띄거나 혹은 두텁게 되었을 때, 취하게 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음료를 뜻한다.”16 (239.3)
 끓여 줄어든 벌집의 단 시럽을 발효되지 않게 잘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특히 고당분으로 인하여 대추야자를 짜내서(exprimitur) 만든 즙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포도즙을 보존하는 방법을 대추야자 즙을 보존함과 같이 사용하였을 수 있었을 것이다. (240.1)
 로버트 영은 그의 성경 용어 분석 사전에서 쉐카르가 발효된 것이나 발효되지 않은 것, 둘 중 하나를 표한다는 견해를 표명하였다. 그는 “독주란 제하에(물리게 하거나 취하게 하는) 단 음료”라고 쉐카르의 정의를 내린다.17 이 정의는 쉐카르가 음료의 성격에 따라 물리게 하거나(완전히 만족시켜 주거나) 또는 취하게 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그는 구약성경상의 21개의 참고 귀절을 열거한 다음에, 발효된 것이나 발효되지 않은 것을 뜻하는 희랍 어 단어 시케라(sikera)를 시케라:히브리 어로는 쉐카르, 단 음료 (종종 발효된 것)”라고 말한다.18 (240.2)
 쉐카르의 잔존
 몇몇 영어 사전과 성경 백과 사전은 “설탕”“사과즙(사이더)”을 뜻하는 영어 단어가 히브리 어 쉐카르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고 지적한다. 만일 이 말이 사실이라면 쉐카르가 원래 달다고 알려진 음료를 칭한다는 가정을 지지하여 준다. “설탕”이란 영어 단어가 당분이나 단 맛이 실제로 전혀 없는 주정 음료와 본래 연관된 용어에 그 뿌리를 두지 않았을 것이다. (240.3)
 대중적, 비평적 성서 백과 사전(The Popular and Critical Bible Encyclopedia)은 쉐카르(shekar)가 “단 술 혹은 시럽”을 뜻하고 그 파생어는 아라비아 해협과 사라센 정복군을 따라 동방과 남방으로 퍼져 아랍 어로 sakar, 페르시아와 벵골 어로 shukkur, 공통 인도 어로 jagree 또는 zhaggery, 무어 (Moresque) 어로 sekkour, 서반아 어로 azucar, 포르투갈 어로 assucar이 되었고, 인구 증가로 인하여 그 의미가 북방으로 퍼져 희랍 어로 sakejar, 라틴 어로 saccharum, 이탈리아 어로 zucchero, 독일 어로 zuker와 juderig, 화란 어로 suiker, 러시아 어로 sachar, 덴마크 어로 sukker, 스웨덴 어로 socker, 웨일스 말로 siwgwr, 불어로 sucre, 그리고 영어로 sukkar (사탕, 설탕절임), sugar (설탕), saccharine (사카린)이 되었다고 말한다.19 (2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