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시내산에서 이스라엘에게 주신 율법은 언약의 기초가 되었다. (29.5)
 “세계가 다 내게 속하였나니 너희가 내 말을 잘 듣고 내 언약을 지키면 너희는 열국 중에서 내 소유가 되겠고”(출 19:5) (29.6)
 “모세가 와서 여호와의 모든 말씀과 그 모든 율례를 백성에게 고하매 그들이 한소리로 응답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명하신 모든 말씀을 우리가 준행 하리이다”(출 24:3) (29.7)
   4) 그러나 이스라엘은 언약을 이행하는데 실패하였다. (29.8)
 “또 주께서 가라사대 내가 저희 열조들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저희와 세운 언약과 같지 아니하도다 저희는 내 언약 안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므로 내가 저희를 돌아보지 아니하였노라”(히 8:9) (29.9)
   5) 이스라엘은 언약을 이행하는데 실패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시내산 아래에서 배도한 이스라엘을 위해 모세를 중보자로 받으시고 그들의 죄를 용서하셨다. (29.10)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 말들을 기록하라 내가 이 말들의 뜻대로 너와 이스라엘과 언약을 세웠음이니라 하시니라”(출 34:27) (29.11)
 3. 그리스도의 피로 비준된 새 언약
   1)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피로 비준하신 다음에는 ‘새 언약’(히 8:13; 9:12; 10:16; 13:12)이라고 부르신다. (30.1)
   2) 새 언약은 인류로 하나님의 율법을 지킬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그리스도의 완전한 생애와 희생을 통해 율법의 영광을 바라보는 자들은 하나님의 거룩하시는 능력을 발견하게 된다. 반면에 인성의 무력함을 발견하고 지속적으로 구세주를 의지해야 할 것과 그의 도우심과 은혜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율법을 순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깨닫게 되었다. (30.2)
 “주께서 가라사대 그 날 후로는 저희와 세울 언약이 이것이라 하시고 내 법을 저희 마음에 두고 저희 생각에 기록하리라 하신 후에 또 저희 죄와 저희 불법을 내가 다시 기억지 아니하리라 하셨으니”(히 10:16-17) (30.3)
   3) 새 언약은 우리에게 중보자가 있음을 가르쳐주고 있다. (30.4)
 죄에 대한 용서는 중보자를 통해서만이 이르러오며 죄 용서는 마음의 새로운 변화와 더불어 율법과 일치된 생애를 요구한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그러므로 의롭다하심을 입은 자들은 그리스도께서 보내신 성령의 도우심을 힘입어 마음에 화평을 누리고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일을 행하며 살 수 있게 된다. (30.5)
   4) 새 언약은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위해 형벌을 당하심으로 인간의 사형선고를 유예시키시고 새로운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은혜의 시간이 허락되었음을 깨닫게 해준다. (30.6)
   5) 새 언약은 그리스도를 신뢰해야 죄 용서, 칭의, 성화를 얻을 수 있음과 그리스도와 율법에 대한 충성을 통해서만 영생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30.7)
 “자기 자신의 힘으로 죄인은 하나님의 요구를 이룰 수 없다. 인간은 자신을 위하여 몸값을 지불하신 그분에게 도움을 구하러 나아가야 한다. 인간이 스스로 율법을 지키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이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을 주신다. 죄인이 하나님 앞에 의롭게 서며, 받아들여지게 하기 위하여 구세주께서는 이 세상에 오셔서 인간의 몸을 가지고 완전한 순종의 생애를 사셨다.”13 (31.1)
 “온 우주 앞에서, 율법의 형벌을 경험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의를 이룬 자는 영생을 얻게 될 것이다. 저들은 그리스도와 합하여 하나가 될 것이다.” (31.2)
 참고
 1. 그분을 알기 위하여(Ellen G. White), p. 366.

 2. 부조와 선지자(Ellen G. White, Patriarchs and Prophets), p. 67.

 3. 상게서, p. 63.

 4. 상게서, p. 64.

 5. 상게서, p. 372.

 6. 시대의 소망(Desire of Ages), p. 48.

 7. A. T. 존스, 완전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길(A. T. Jones, The Consecrated Way to Christian Perfection), p. 52.

 8. 상게서, p. 44.

 9. 상게서, p. 45.

 10. 리뷰 앤드 헤랄드(Ellen G. White, The Review and Herald), 1893. 4. 18, pp. 241-242.

 11. 부조와 선지자(Ellen G. White, Patriarchs and Prophets), p. 370.

 12. 실물교훈(Ellen G. White, Christ's Object Lessons), p. 391.

 13. 영문 시조(Ellen G. White, Signs of Times). 1901. 7. 31, p. 482.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