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겸상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
 I. 설명
 유전성의 용혈성 빈혈로서 이상 혈색소증의 하나이며 흑인에게 주로 나타나고 혈액에 겸상 적혈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적혈구는 원래 둥글고 가운데가 얇다. 그런데 겸상 적혈구를 가진 사람은 적혈구의 일부가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이유는 헤모글로빈 분자가 비정상적으로 길게 늘어나서 압력을 받아 적혈구 모양을 커브나 낫 모양으로 만들게 된다. 미국의 흑인들 중 250만 명이 이런 저런 모양의 겸상 적혈구 병을 가지고 있다. 간혹 푸에르토리코 인이나 지중해 연안에 사는 사람들이 겸상 적혈구 문제나 질병을 가지고 있다. 유전적 소인으로 결정되는 이 병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겸상 세포 소질(sickle cell trait)과 겸상 세포 질병(sickle cell disease)이다. 겸상 세포 소질은 별로 증상이 없고 겸상 세포 질병은 증상이 심하고 무력하게 되며 만성 상태가 된다. 보통 성인들은 헤모글로빈 A유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가장 흔한 S유형으로 나타난다. 태중이나 1년생의 영아에게는 헤모글로빈 F유형이 확인되기도 한다. 이 기간에는 정상 상태이지만 더 자라나면서도 계속 이런 유형이 나타나면 병이 발생한다. 드물기는 하지만 헤모글로빈 C형이나 다른 유형도 확인된다. 증상이 악화되면 뼈, 손과 발, 비장, 폐, 뇌, 그리고 소화관 등 인체의 어느 부위에도 통증이 나타난다. (83.1)
 진단은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 양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겸상 세포가 증가하는 혈액 속에 있는 산소의 감소를 확인하는 간단한 검사로 할 수 있다. 겸상 세포가 좀 많아도 모든 것이 정상이면 문제가 없다. 환경이 조금이라도 악화될 때 겸상 적혈구 빈혈이 시작된다. 겸상 세포가 별로 많지 않고 헤모글로빈 수치도 그렇게 낮지 않으면 겸상 세포 소실이며, 겸상 세포가 많고 헤모글로빈도 낮으면 겸상 세포 질병이라고 한다. 유전적 소양의 질병이라 할지라도 적절한 천연치료를 통하여 현상 유지는 물론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84.1)
 II.예방 및 치료
 1. 무염식이나 저염식 식사를 한다. 이런 질병을 가진 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완전히 소금을 제거한 식사를 길들이면 적혈구의 변형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84.2)
 2. 증류수를 매일 8-14컵을 충분하게 마시고 물기가 많은 싱싱한 야채와 과일을 각각 다른 끼니에 넉넉하게 먹도록 한다. 야채를 많이 먹는 방법 중의 하나는 즙으로 만들어 먹는 것이다. (84.3)
 3. 육류, 낙농 식품, 견과류, 기름에 튀긴 음식과 같은 기름지고 영양이 농축된 식품을 대폭 줄이거나 먹지 않는다. 음식은 엄격하게 채식 위주로 균형지게 먹되 과일, 야채, 곡류를 많이 먹는다. 비타민 E가 많이 든 통곡류와 콩류 그리고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사용하고 빈혈에 특효약인 엽산(folic acid)이 많이 든 녹색 채소들을 풍성하게 먹는다. (84.4)
 4. 매일 30분 이상 계속 걷기 운동 등 몸에 알맞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식욕이 조절되고 물을 많이 마시게 되어 예방과 치료에 다 도움을 얻는다. (84.5)
 5. 다른 모든 세균성 질병이나 생활 습관성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85.1)
 6. 모든 형태의 마약을 제거하되 특히 혈액 세포를 수축시키거나 산성화시키는 약품을 모두 피한다. 예로 아편이나 LSD, 그리고 헤로인과 모르핀과 같은 중독성 약품을 제거한다. (85.2)
 7. 치료를 위하여 처방된 약을 사용하는 대신에 통증 치료를 위하여 찜질, 얼음 팩, 습포, 열 습포, 온수 각탕, 온랭 교차 욕과 같은 수 치료를 사용하고 마사지, 스트레칭, 저항 운동과 같은 물리치료를 활용한다. (85.3)
 8. 황달 증상이 생기면 아침과 저녁으로 각각 숯가루를 1T정도 온수에 타서 마신다. (85.4)
 9. 비장 경색이 종종 복부 통증을 가져오는데 온랭 교차 찜질을 15분 정도하고 숯 찜질을 적용한 다음 복부에 열 습포를 적용하고 아침에 제거한다. (85.5)
 10. 기침이 나고 가슴이 아프고 호흡이 불편하면 가슴에 중온수 팩을 20-50분 정도 적용하고 마칠 때 냉 습포를 15초 정도 적용하고 잠을 자는 동안 열 습포나 숯가루 습포를 적용한다. (85.6)
 11. 원적외선 온열매트 70°C에서 40-60분 정도 전신 열 치료를 적용하고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하고 치료 후에는 치료한 시간만큼 누운 채로 휴식을 취한 후에 이동하도록 한다. (85.7)
 12. 매일 30분-2시가 정도의 일광욕을 하고, 낮 시간이나 날이 흐리거나 비가 올 때는 풀 스펙트럼라이트를 언제나 사용한다. (85.8)
 13. 뼈에 나타나는 통증은 마사지, 온랭 교차 습포, 그리고 스트레칭이나 저항운동으로 다스린다. (85.9)
 14. 신선한 공기는 필수적이다. 적혈구는 산소가 부족하면 겸상으로 변하기가 쉽다. (85.10)
 15. 어린이는 특히 충분한 휴식을 추하고 어른들도 8시간의 수면을 취한다. 필요에 따라 오후에 오침을 하는 것도 좋으며 취하고 일관성 있는 생체리듬 유지를 위하여 365일 언제나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초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기상, 취침, 식사, 운동, 연구 등 일과가 규칙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85.11)
 16. 운동은 매일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 걷기 운동을 할 것이며 점진적으로 늘려가면서 활기찬 운동을 하되 격렬한 운동이 되지 않도록 한다. (8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