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요한복음 제V부 예수께서 자신의 생명을 주심 (18-20) 제 15 장 예수의 부활과 재출현 (20)
 “의심쟁이 도마”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부당할지도 모른다. 적어도 한 번은 그가 예외적인 믿음과 용기를 보여준 적이 있다(11:7-16). 20장에서 그와 다른 제자들 사이의 차이점은 다른 제자들이 가졌던 예수를 볼 수 있는 기회를 그가 가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예수께서 함께하실 때조차 의심을 표했던 제자는 바로 빌립이었지만(6:5-7; 14:8-11), 이 복음서는 빌립의 의심을 주요 쟁점으로 부각시키지 않고 있다. 의심하는 사람의 의심이 정직한 것이고, 그 사람이 예수께서 그들을 위해 이룰 수 있는 모든 길을 거절하지 않는 한, 그는 그들을 거절하지 않는다는 것이 도마 사건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의심은 어려운 쟁점을 재차 사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침묵의 불신에 빠지기보다는 도마가 했던 것처럼 크게 의심하는 것이 더 낫다(Barton, 1927). 바클레이(Barclay)는 자신이 한번도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을 유창하게 반복하는 사람보다, 자신이 확신하는 것을 주장하는 사람의 믿음이 더 크다고 했다(2:277). (342.2)
 세속적인 마음 상태를 가진 사람에게 다가가려는 사람은 이 장에서 배울 교훈이 있다. 오늘날 예수의 부활에 관해 처음 듣는 사람은 마리아, 베드로, 그리고 도마가 그러했던 것처럼, 그들이 이를 이해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Barton, 1925). 처음에 그들은 마리아가 한 것처럼 빈 무덤에 대한 다른 설명을 찾아보려고 했다(2, 13-15절). 그런 후에 그들은 베드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사실을 확인해 보았으나, 확신을 가질 수 없었다(6, 7절). 그들이 개인적으로 예수를 만나서 그에게 자신을 헌신하였을 때, 그들은 이 믿기 어려운 사건의 중요성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었다(16-18, 26-28절). (342.3)
 고별 강론의 성취
 요한복음에서 예수께서 출현하시는 이야기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예수께서 고별 강론(13-17장)에서 약속하셨던 많은 것들이 그의 죽음과 부활의 날에 이미 성취되었다는 것을 드러내려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Talbert, Reading John, 253-255). 예수께서는 그가 약속하신 대로 자신의 제자들에게 돌아오셨다(20:19; 비교 14:18; 16:22). 그는 그들에게 평강을 가져오셨다(20:22; 비교 16:7). 상호 용서의 시간이 이르러왔다(20:22, 23; 비교 13:14, 15). 예수를 다시 만남으로 제자들은 성취의 시간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343.1)
 ■ 말씀을 적용함
 1. 과거에 그대가 믿는 일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었는가? 그런 어려움을 그대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었는가? 예수와의 “만남”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는가? 현재 마음에 떠오르는 의심에도 불구하고 그대와 다른 사람의 믿음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그 경험으로부터 그대는 어떤 의미를 이끌어낼 수 있겠는가? (343.2)
 2. 형제(brother)라는 용어가 그대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그런 용어를 통하여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나누려 하신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대 자신의 동기(同氣)들 중의 한 사람과 맺은 관계가 예수와 맺는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343.3)
 3. 바로 지금 그대는 예수의 평강을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가? 그대의 신뢰를 방해하는 내적 두려움은 없는가? 삶을 견디기 어렵게 만드는 사람은 없는가? 직장, 학교, 혹은 가정에서 그대의 삶에 혼란을 일으키는 상황은 없는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서 예수의 평강이 어떻게 더욱 효과적으로 그대의 것이 되게 할 수 있을까? 그대가 예수의 평강을 보다 효과적으로 소유했다면, 그대는 삶이 특별히 어떤 방식으로 변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344.1)
 4. 그대의 현재의 경험 속에 예수께서 그대에게 실제적인 분이 되도록 하고자 그대는 어떤 전략들을 사용할 것인가? 오늘 그대는 어떻게 그의 손과 옆구리를 “만질” 수 있는가? (344.2)
 ■ 말씀을 연찬함
 1. 이 장을 마태복음 28장, 마가복음 16장, 누가복음 24장, 요한복음 21장, 사도행전 1장, 그리고 고린도전서 15장과 면밀하게 비교해 보라. 신약에 언급된 부활 후에 예수께서 출현하신 모든 경우들을 열거해 보라. 요한복음 20장의 기록은 신약의 다른 곳에 나오는 기록과 어떤 면에서 일치하고, 어떤 면에서 차이가 나는가? 이 장에서 한 주석에 어떤 내용을 더할 수 있겠는가? (344.3)
 2. 성구 사전의 도움으로 복음서들 밖에서 신약에 나오는 부활에 관한 구절들을 모두 찾아보라. 그리스도의 부활을 언급하는 것과 재림 때의 하나님의 백성의 부활을 언급하는 구절의 목록을 따로 작성해 보라. 목록에 나오는 모든 구절을 문맥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다음의 두 질문에 대답해 보라: 신약이 예수의 부활에 어떤 신학적 의미를 주고 있으며, 그의 부활과 재림시의 그의 백성의 부활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끝으로, 예수의 부활이 그대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한두 쪽으로 기록해 보라. (344.4)
 ■ 말씀의 추가 연구
 1. 예수의 부활의 역사성에 대한 자세한 토론을 위해서는 J. McDowell, Evidence That Demands a Verdict, 185-273을 보라.

 2. 엘렌 G. 화잇은 시대의 소망, 788-794, 802-808에서 요한복음 20장을 언급하며 지나간다. (3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