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인 설명을 위해서는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 727-745를 보라.
2. 사무엘상․하의 더 넓고 깊은 연구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D. N. Freedman, e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1992)에서 사무엘상․하 연구의 역사적 경향을 설명하는 두 기사를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기사는 J. W. Flanagan,
“Text, Composition, and Content” (5:957-965)인데, 이것은 학자들이 그 책들과 그 기별을 이해하기 위한 방도로 필사본들과 자료들과 편집 과정을 분석한 내용을 보여준다. 플래너건(Flanagan)의 기사는 지난 세기의 소위 비평적 주석들이 취한 보편적인 방법을 기술하고 설명한다.
둘째 기사는 W. Brueggemann,
“Narrative and Theology” (5:965- 973)인데, 이것은 문학적 관점으로부터 긴밀성(coherence)과 의미(meaning)를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다루었다.
(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