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사무엘 상∙하 제 Ⅴ 부 다윗: 상처난 왕의 몰락 (삼하 13-24) 제 11 장 강간과 복수, 반란과 귀환-제2편 (삼하 18-20)
 1. 나무. 다윗이 압살롬을 대신하여 죽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했던 것처럼, 하나님께서 인간의 육체를 쓰시고 자기 자녀들을 위해 죽으셨다는 것은 내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313.1)
 2. 좋은 소식, 나쁜 소식. 나는 어느 정도 좋은 소식만을 전하는 아히마아스와 같은가? 알 권리가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을 다 전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313.2)
 3. 대면. 내 생애의 어떤 경우에, 압살롬이 죽은 후 요압이 다윗에게 그랬던 것처럼, 끔찍한 사건 후에 현실을 대면하도록 나를 부추긴 사람이 있었는가? 나는 어떻게 반응하였는가? 나는 그것을 감사하게 생각했는가, 괘씸하게 생각했는가? 요압이 한 것처럼 나도 그렇게 끼어 들어야만 한 때가 있었는가? 아니면 요압은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가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왜 그런가? 아니라면, 왜 안 그런가? (313.3)
 4. 모략. 나는 여호와께 어떻게 언제 모략을 구해야 하는지 아는가? 하나님께 모략을 구하는 것이 그리스도인 형제자매들에게 의견을 물으려는 것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 비신자 상담자가 신자처럼 내게 도움이 되는가? 그렇다면, 왜, 아니라면 왜 아닌가? (313.4)
 ■ 말씀을 연찬함
 1. 사무엘서/열왕기를 역대기와 비교하라. 한 사람의 저술의 목적을 알아내는 가장 좋은 길 중 하나는 같은 내용을 다루는 다른 저자의 글과 비교하는 것이다. 구약에서 역대상․하는 사무엘서와 열왕기에 나오는 왕국의 역사에 관한 다른 관점의 기록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게 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꼭 기억해야 할 것(계속해서 시험해야 할 것임)은 각 역사가 기록된 상황의 차이다. (314.1)
 사무엘서-열왕기는 예루살렘 멸망, 왕정의 몰락, 바벨론 유수의 시작 직후에 이스라엘 역사를 해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상 숭배와 불순종의 무서운 결과에 관한 생생한 보도가 이 책들 속에 두루 퍼져 있다. 반면에, 역대기는 그들의 죄된 과거로 인한 실망으로 위협을 받고 있는 독자들을 위하여 같은 역사를 해석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하나님의 백성에게 열려 있는 기회에 관한 좋은 소식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314.2)
 실제적으로 그려보면, 못되게 굴면서도 아직도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한 이야기(사무엘서/열왕기)를 들려주었다고 생각하자. 그리고 다른 이야기(역대기)는 너무 벌을 많이 받아서-심지어 잘못하지도 않은 것에 대해서도-자포자기의 상태에 빠질 위험에 있는 아이들에게 들려주었다고 생각하자. (314.3)
 성경의 장마다 붙어 있는 소제목을 이용하여 사무엘하(와 열왕기상 1, 2장)에서 다윗의 이야기의 줄거리를 만들어 보라. 그리고 역대기에서 다윗의 이야기를 구성해 보라. 둘을 비교하면서, 양쪽 이야기 속에서 주요한 첨삭을 발견하고 독자의 결론을 붙이라. 똑같은 이야기가 양쪽에 다 나타날 때에는 더 자세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이 전 과정은 하나님께서 각기 다른 때에 다른 필요가 있는 다른 백성들에게 다른 사자들을-그러나 같은 이야기를 가지고-어떻게 사용하셨는지를 보여준다. (314.4)
 2. 복수와 구속. 난폭한 죄는 난폭한 구속을 요구하는가? 고엘(goʼel)의 의미는 그것이 그러함을 암시한다. 완벽 성구 사전에 있는 간이 사전을 사용하여 친족 보수자(전통적으로 “구속자”로 번역된다), 즉 고엘의 단어 연구를 하라. 그리고 그와 관련된 주제들을 찾아보라. 룻기에 들어 있는, 보아스가 룻의 고엘로 나타나 그녀를 “구속하는,” 부드러운 국면도 포함시키라. 그러나 피의 보수자를 위하여 마련된 난폭한 면도 보라(민 35:6-28). “난폭한” 모든 의미가 들어있는 같은 어원의 동사를 사용하면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구속하신”다고 할 때에 성경은 무엇을 뜻하는가?(출 6:6). 자기 아들 대신 죽었더라면 하며 우는 다윗도 동일한 이야기에 포함시킬 수 있는가?(삼하 18:33). 맏아들을 죄값으로 제사드린다는 미가의 말은 어떤가?(미 6:7).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은 이 전체 그림 속에서 어디를 차지하는가? 여기에 영원히 연구할 내용이 있다. (315.1)
 ■ 말씀의 추가 연구
 1. 일반적인 설명을 위해서는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 727-745를 보라.

 2. 사무엘상․하의 더 넓고 깊은 연구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D. N. Freedman, e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1992)에서 사무엘상․하 연구의 역사적 경향을 설명하는 두 기사를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기사는 J. W. Flanagan, “Text, Composition, and Content” (5:957-965)인데, 이것은 학자들이 그 책들과 그 기별을 이해하기 위한 방도로 필사본들과 자료들과 편집 과정을 분석한 내용을 보여준다. 플래너건(Flanagan)의 기사는 지난 세기의 소위 비평적 주석들이 취한 보편적인 방법을 기술하고 설명한다.

 둘째 기사는 W. Brueggemann, “Narrative and Theology” (5:965- 973)인데, 이것은 문학적 관점으로부터 긴밀성(coherence)과 의미(meaning)를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다루었다. (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