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 박해에서 모면해 보려고 몸부림치는 소위 호교론자로 자처하는 교부들의 편벽된 반유대주의(Anti-Judaism) 선동. (241.21)
 3. 당시 그리스-로마 철학의 감화와 그 영향. (241.22)
 4. 그리고, 다수 민족들 간에 전승해 내려 온 우상 숭배 습성과 이교 점성술의 감화 등등의 입체적 원인이 작용한 결과였으리라. (241.23)
 대대로 내려오면서 전승된, 조상들이 섬기던 우상 숭배의 관습과 몸에 깊숙이 밴 이교의 사상-점성술-은 꼴지어 자라나는 초창기 그리스도교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쳤다. 그러기에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 ca. A.D. 160-230?)도 이러한 시대적, 주변의 종교적 환경의 오염을 염려하면서 그의 저술에서 지적하듯이 우상 숭배자들이 해마다 행하는 태양 경축제가 그리스도인들에게 끼치는 감화에 대하여 경고했으며,10) 또 그는 다른 서한에서 이교도들의 농신제(Saturnalia), 동지 축제를 교회가 모방하고 있음을 한탄했다.11) 그는 여기서 그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대적으로 안식일이 점차적으로 이교에서 개종한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등한히 여김을 당하게 되었음으로 아래와 같이 지적하였다: (241.24)
“우리들 때문에 안식일이 생소한 것이 되어버리고 있다. 이전에 하나님께서 사랑하셨던 월삭과 절기들이 농신제와 신년제, 그리고 동지 축제 ...가 성행하므로 무색해지고 있도다.”
(241.25)
 우리는 여기서, 그리스도교의 발산지인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해서:

   (i) 먼저, 제국 시대의 로마 사회 각계 각층에 만연된 점성술(Astrology, Horoscope, Astrological Medicine)의 양상을 대체적으로 살펴본 다음에

   (ii) 중동 지역 제 민족들의 태양신 명칭들을 살피고

   (iii) 이 태양신을 경배하기 위해 성별한 일요일에 대한 여러 증언들을 들어보고

   (iv) 그리고, 이교도들이 연례적으로 축제해 왔던 태양신 부활절 경축 행사와 그 풍습들을 고찰해야겠다.

   (v) 끝으로, 이 태양신을 존경하기 위해 제정된 “태양 탄신일”이 이교도들에 의해 어떻게 경축되어 왔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vi)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의 결과로 이루어진 중세기 유럽 문화와 종교에 나타난 태양신 숭배의 흔적들을 하나 하나 살펴보고자 한다. (241.26)
 참고
 1) 행 15:1-29.

 2) Epiphanius, Adversus Octoginta Haereses, bk., 29, chap. 7, in PG., col. 402 in Samuele Bacchiocchi, From Sabbath to Sunday (Rome: Pontifical Gregorian University Press, 1977), 42:156.

 3) 이 날은 7요일 중 가장 불길한 날이요, 흉일로 생각하는 날, 재수없는 날이었다.

 4) Frederic William Farrar, Voice from Sinai, (1892) Chap. 8, 167. in Frank. H. Yost, A History of the Sabbath and Sunday Outline (Washington, D.C.: SDABC, Dept. of Church History, 1946), 17.

 5) William Domville, 안식일, “여섯 성구의 고찰” in Alonzo J. Wearner, 성서기초교리, 박해종 역 (서울: 시조사, 1975), 134.

 6) 기독교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1), 821, 822.

 7) Christian at Work, 1883년 4월 19일자 논설에서. in Alonzo J. Weaner, 박해종 역, 134.

 8) Christian Union (회중교회 잡지), 1879년 6월 11일자, 530. in ibid.

 9) Archelaus, Disputation with Manes, chap. 42. in Ante-Nicene Father(ANF), 5:217.

 10) Tertullianus, Adveresus Valentinianos, chap. 3-7. in ANF., 3:504-507.

 11) Tertullianus, De Idolatria, chap. 14. trans. in ANF., 3:70.

 (24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