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피로(Fatigue)
 I. 설명
 
 누구나 피곤하거나 지치는 느낌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숙면을 취하거나 기분 전환을 하면 해결된다. 그러나 피로가 오래 계속되고 다른 증상들과 함께 나타나면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의 증상이 된다. 여러 종류의 감염이 피로를 가져오며 약물을 많이 사용하면 피로가 생긴다. 정신적인 문제로 오는 피로도 있다. 스트레스, 권태, 과로, 자극이나 흥미 상실 등이 피로를 일으킨다. (547.1)
 II. 원인
 1. 아디슨병(Addison's disease): 부신이 점진적으로 파괴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치료는 부신에서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 호르몬을 대치하는 약물을 활용하는 것이다. 2. 빈혈(anemia): 여러 가지 형태의 빈혈이 나타내는 특징은 적혈구 수의 부족과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이다. 결과적으로 혈액은 인체의 세포로 적절한 산소를 운반하지 못한다. 창백, 통증, 그리고 다른 증상과 함께 나타나는 만성 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빈혈 중의 하나가 발생한 사실을 보여준다. (547.2)
 3. 암(cancer): 악화된 암은 사람을 피로에 시달리게 하는데 질병의 피해로도 그렇고 또한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부작용 때문에도 그렇다. (548.1)
 4. 심혈관계 질병(cardiovascular disorders): 심장이 혈액을 충분하게 뿜어내지 못하면 피로와 함께 숨 가쁜 호흡, 심계 항진, 가슴 통증, 그리고 다른 증상들이 나타난다. 심 내막염이나 류머티스 열과 같은 심장 감염은 심장 판막을 손상시키고 피로를 일으킨다. 충혈성 심부전과 여러 가지 심장 판막 질병은 또한 피로를 일으킨다. (548.2)
 5. 우울증(depression): 만성 피로는 종종 심각한 우울증의 첫 번째 증상 중의 하나이다. 그런 사람은 항상 피곤하다고 말하며 간혹 여러 날 동안 침상에 머물기도 한다. (548.3)
 6. 유행성 감기(flu): 세 가지 바이러스 무리(群) 중의 하나에 의하여 나타나는 일반적인 호흡기 감염이다. 급성 상태는 보통 며칠밖에 지속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불편함과 피로는 몇 주일 동안 계속된다. (548.4)
 7. 간염(hepatitis): 간염은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하며 미약한 피로로부터 완전히 무력하게 만드는 피로까지 나타나게 한다. 가장 일반적인 전염은 개인적인 접촉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하수구 시설이나 화장실 설비가 비위생적일 경우에 음식과 물로 전염되기도 한다. (548.5)
 8. 불면증(insomnia):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분명히 피로가 나타난다. (548.6)
 9. 백혈병(leukemia): 여러 가지 형태의 백혈병은 비정상적인 백혈구 생성을 다스리지 못할 때 발생하며 결국 증식되면서 적혈구와 혈소판을 밀어낸다. (548.7)
 10. 단핵세포 증가증(mononucleosis): 혈액 중에 비정상적으로 다수의 단핵 백혈구가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바이러스 감염은 대부분 10대나 청년들에게 나타나며 전염되지는 않는다. 통증의 상태는 보통에서 심한 상태로 나누이며 몇 주 동안 계속된다. (548.8)
 11. 임신(pregnancy): 임신 첫 3개월 동안에는 거의 모든 임신부들이 압도적인 피로감을 경험한다. 평소보다 여러 시간 잠을 더 자지만 여전히 피곤함을 느낀다. (548.9)
 12. PMS(premenstural syndrome): 많은 여성들이 생리 1-2주일 전에 피로를 느끼거나 기분이 가라앉는다. (548.10)
 13. 폐 질환(pulmonary diseases): 정상적인 호흡을 방해하는 질병은 어느 것이나 산소 부족을 일으키며 피로를 느끼게 한다. 다른 증상들은 천명이나 창백한 피부와 손톱이 나타나는 것이다. (548.11)
 III. 예방 및 치료
 1. 피로는 사무실에서 정신노동을 하는 자들에게 나타나므로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매일 최소 30분 이상 계속 걷기 운동을 1주 5회 정도를 하며 점진적으로 늘려간다. (548.12)
 2. 의료적인 이유가 없이 피로가 계속되면 생활 습관을 점검하여 원인을 제거하도록 한다. (548.13)
 3. 만성피로가 다른 증상들과 함께 나타나면 의학적 조치를 취한다. (54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