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절에서
“때”라고 번역한 아람어* 낱말은
잇단(‘
iddan)이다. 이 낱말은
4장에도 나오는데, 거기에서는 느부갓네살이 꾼 거대한 나무의 꿈 이야기를 한다. 그 나무는 잘려 넘어지고 그루터기만 남아있다. 그리고 하늘의 한 순찰자가 소리치기를 왕의 마음이 짐승처럼 변하여
“일곱 때”(
잇단)를
“지내리라”(
16절)고 말한다 대다수의 해석자들은 이 구절의 잇단이
“해”[年]를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실제로〈새제임스왕역〉과〈새국제역〉에서는
“해”라고 번역 할 수도 있음을 각주에 표시해놓았다.
✻ 이에 근거하여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 교회는
다니엘 7:25에 있는 때라는 낱말도 한 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해석해왔다.(
“두 때”[대다수 영역본에서는
“times”로 번역한다—역자주]는 잇단의 쌍수[雙數]형을 번역한 것이다)
✻✻ 이 기간을 수학적으로 풀어보면 이렇다.
✻ 다니엘 2:4 하단—
7:28은 아람어로 쓰여있다.
✻✻ 때(잇단)라는 낱말은
23, 25, 32절에도 나온다.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