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요한복음 제III부 예수께서 믿는 자들에게 생명을 주심 (5-12) 제 9 장 선한 목자가 생명의 빛을 가져옴 (9:1-10:21)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는 절도와 강도와 상반되게 예수께서는 그를 반대하는 종교제도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욱 풍성하고 더욱 충만한 생명을 제공하셨다(10절). 그것은 영생이라는 특질을 가졌으며, 예수를 믿는 자에게는 즉시로 시작되는 것이다(5:24, 25). (223.2)
 선한 목자는 양을 소유하지 않은 삯꾼과 나란히 대조를 이루고 있다(11, 12절). 삯꾼은 양들에게 개인적인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는 단지 먹고살기 위해 그들을 돌본다. 들짐승이 이르러오면 그는 자신에게 진정으로 중요한 것, 즉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도망간다(12, 13절). 반면에 선한 목자는 양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을 뿐 아니라, 그들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생명을 내놓는데, 이는 그들의 안녕이 그의 일차적인 관심사이기 때문이다(14, 15절). (223.3)
 “우리에 들지 않은 다른 양”(16절)은 아마도 이방인들이 들어올 것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들의 첫 열매가 요한복음 12:20-22에 언급된 사람들일 것이다. 사실 예수를 만나기 위해 이방인들이 온 것은 그에게 그의 죽음의 때(23, 24절)—그가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을 그에게 이끄는 때(32절)—가 이르러왔다는 신호처럼 보였던 것 같다. 예수께서는 자신의 강화를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하여 자원하신 그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언급으로써 그의 강화를 마치고 있는데(10:17, 18), 이것은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것을 기록한 장에서 다시 설명할 것이다. 또 다시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가 귀신이 들렸는지, 하나님을 위해 말하고 행동하는지에 대하여 확신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19-21절). (223.4)
 문단의 주요 주제
 예수는 문이다
 예수께서 자신을 양들이 구원받기 위해 통과해야 할 문으로 묘사하실 때, 이 복음서는 사도행전 4:12와 동일한 기별을 말하고 있다(참고 요 14:6). 예수께서는 다른 모든 구원의 방법들을 일소(一掃)하셨다. 문을 통하지 않고서는 양 우리 안에 들어갈 길이 없다. (224.1)
 예수는 선한 목자이다
 구원의 문으로서 예수는 사람들을 아버지께로 이끄시는 분이다. 선한 목자로서 예수는 교회의 양 우리에 들어온 자들을 돌보시는 분이다. 그분이 선한 목자가 되는 두 가지 큰 자질은 그가 기꺼이 양을 위해 죽는 것(11-13, 17-18절)과 그가 양을 친숙히 아는 것이다(3, 14-16절). 이 두 가지 특성으로 그분은 삯꾼으로 나타난 바리새인들과 대조를 이룬다. 바리새인들은 양들을 돌보지 않았다. 그들은 양들을 알지도 못했고 그들을 위해 기꺼이 죽으려고 하지도 않았다. (224.2)
 반면에 예수는 선한 목자이다. 그분의 돌보심 아래서 잃어버려진 양은 하나도 없다. 그분은 자신의 소유를 돌보실 뿐만 아니라 자신 때문에 종교 지도자들에게서 쫓겨난 자들도 자신의 소유라고 주장하신다(9:34-38). (224.3)
 요한복음 10장“잃은 양의 비유”는 두 개의 차원으로 말씀한 것이다. 일차적으로는 예수 단시에 적용된 것으로서, 소경으로 태어난 사람을 매우 거칠게 다룸으로 삯꾼으로서 자신의 진정한 성격을 드러낸 유대 종교 지도자들을 꾸짖기 위한 것이었다. (224.4)
 좀 더 확대된 차원으로서 이 이야기는 요한복음에서 소경으로 태어난 사람이 받았던 것과 유사한 취급을 받고 있는 제2 세대의 구성원들을 격려하기 위한 것이었다. (225.1)
 마태복음 18장에서 잃은 양의 비유는 이와 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문맥은 교회의 징계이다(마 18:15-17; 참고 10-14절). 교회의 참 목자는 예수의 모본을 따라 교회로부터 떠나간 양들을 찾기 위해 무엇이든 다 할 것이다(12, 13절). 그러나 하나님이 이런 잃어버려진 양에게 부드러운 관심을 보이시지만(14절), 교회 내에서 하나님이 하시는 것처럼 작은 자들에게 반응하지 않는 거물들이 있다(5-7절). 마태복음 18장은 연약함과 미숙함으로 더불어 투쟁하는 교회 내의 작은 자들을 비난하기를 좋아하는 “거물들”(“big shots”)에게 하신 말씀이다. 교회 안에서 다른 이들을 판단하는 자리에 앉은 자들은 자신의 위치를 사용하는 일에 조심해야 하는데, 이는 그들 자신이 언젠가 하늘 법정에서 심판을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7-9절). (225.2)
 누가복음 15:3-7에서 양은 쫓겨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나가 방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한 목자는 양을 찾으러 나간다. 요한복음 10장의 기별은 “저희를 내 손에서 빼앗을 자가 없으리라”(28, 29절)인 반면에, 누가복음 15장의 기별은 “그들이 스스로 선택하여 잃어버린 바 되었다 할지라도 나는 그들을 결코 포기하지 않으리라. 나는 그들을 찾아 돌아오기까지 계속 애쓰리라”는 것이다. 이 문단들이 주는 복스러운 확증은 예수를 통해 아버지께 나아오는 자는 아무도 쫓겨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다(6:37). 우리는 믿음도 약하고 곳곳에서 걸려 넘어지지만, 가지가 포도나무에 머물러 있듯이 우리가 예수 안에 머물기만 한다면(15:1-7), 우리는 안전할 뿐 아니라 은혜와 품성에 있어서 계속적인 성장이 있을 것이다. 믿고 선택하는 것이 우리의 할 일이다. 그분의 손 안에 우리를 안전히 지켜주는 것이 그분의 할 일이다(10:28-29). (225.3)
 ■ 말씀을 적용함
 1. 심신의 장애, 재정적 실패, 관계의 문제, 질병, 혹은 슬픔이 결국 영적으로나 다른 면에서 그대에게 큰 축복으로 드러난 적이 있는가? 이런 상황들 속에서 그대는 하나님의 손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었는가? (226.1)
 2. 그대의 삶 속에서 종교적 신념 때문에 어떤 단체에서 배척당해 본 적이 있는가? 그와 같은 배척이 결국은 축복으로 나타났는가, 아니면 오늘날도 계속 고통을 주고 있는가? 이와 같은 배척을 당하지 않기 위해 그대는 어떤 조치들을 취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는가? (226.2)
 3. 그대의 삶 속에서 “다른 음성”에 반대되는 “하나님의 음성”을 분별하는 법을 배웠는가? 그대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인도에 대하여 그대가 더욱 열린 마음을 가지도록 하는 일에 어떤 전략들이 도움이 되었는가? 현대 생활의 어떤 측면들이 선한 목자의 음성을 알아듣는 것을 특별히 어렵게 만드는가? 하나님께서 그대를 특별한 방향으로 인도하시고 계심을 알았던 최근의 경우를 기억해 낼 수 있는가? (226.3)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 사전을 사용하여 구약에서 목자라는 단어가 사용된 모든 구절들을 찾아보라. 이 구절들에서 선한 목자와 악한 목자를 언급하는 두 개의 목록을 만들어, 하나는 선한 목자의 모든 자질을, 다른 한 쪽에는 악한 목자의 모든 자질을 열거해 보라. 예수의 비유 속에서 나타나는 선한 목자와 악한 목자의 특질들을 비교해 보라. 그대는 구약의 말씀을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떤 추가적인 영적 통찰들을 얻게 되는가? (2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