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가 가장 심하게 싸운 때는 언제였나? 그럴 가치가 있었는가? 오늘날에는 내가 그 상황을 다르게 처리했을까? 그렇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193.1)
2. 내가 가장 최근에 종교적 신학적 논쟁을 벌인 때는 언제였나? 그럴 가치가 있었는가? 무엇을 얻었는가? 무엇을 잃었는가? (193.2)
3. 나는 평화론자인가? 그렇다면, 이유는? 아니라면, 이유는? 그리스도인이 전쟁에 참여해야 할 때가 있는가? 그렇다면 언제인가? 내가 동료 그리스도인과 싸우는 것과 비그리스도인과 싸우는 것이 무엇이 다른가? 설명하라. (193.3)
4. 내가 하나님께 바라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내 반응은 어떠한가? 나의 보통의 합리적 설명은 무엇인가? 설명하라. (193.4)
5. 내가 어떻게 하면 세상과 벗하지 않고 세상의 사람들과 친구가 될 수 있을까? (193.5)
6. 7-10절의 명령 구절은 언제나 “죄를 바로 지적하는” 심판의 설교를 하면서, 회중에게 회개를 촉구하며, 해야할 것과 하지 말하야 할 것을 강조하는 지도자나 설교자를 상기시키는가? 당신은 그런 해야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긍정적으로 생각되는가 부정적으로 생각되는가? 야고보서를 읽은 후 그것들에 대한 느낌은 어떠한가? (193.6)
7. 비방, 헐뜯는 비난, 비방의 성품으로 인하여 내 삶과 내 교회에서 오래된 불화가 존재하는가? 그런 불화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어떤 일이 있는가? 두서너 개의 제안을 기록하라. (193.7)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사전에서, 정욕(lust)과 욕망(desire)을 찾아보라. 특히 헬라어 epithumia를 번역한 단어를 찾아보라(더 큰 성구사전으로 이 단어의 사용에 대한 포괄적인 용례를 조사해 보라). 그 단어들이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으로 사용된 횟수를 기록하라. 문맥에 기초하여, 어떤 경우에는 달리 번역해야 할 경우가 있는가? 어떤 구절인가? (193.8)
2. 성구서전에서 7-10절에 나온 중요 단어들[순복하라(submit), 깨끗이 하라(wash), 애통하라(wail)]를 찾고 신구약 성경에서 비슷한 구절을 조사하라. 그런 구절가운데 두세 구절을 택하여 그 문맥을 짧게 요약하라. 그것이 야고보의 권면과 어떻게 비교되며 대조되는가? (194.1)
■ 말씀의 추가 연구
1. 이 구절의 셀롯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위해서는, M. J. Townsend, “James 4:1-4: A Warning Against Zealotry?”와 R. P. Martin, James, 137-157을 보라.
2. 마귀를 대적하는 것과 관련된 질문은, E. G. White의 시대의 소망, “승리” 장을 참고하라.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