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포격을 받고 있는 안식일 제 4 장 구주와 안식일
  • 1
 인간의 마음은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용서와 받으심, 그리고 구원에 대한 재 확신을 갖기를 갈망한다. 우리 각자는 “하나님께서 실제로 나를 용서하시고 구원하셨는가?”를 알기를 원한다. 성경에서, 하나님의 용서와 구원의 재 확신은 말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표상과 상징을 통해서도 전달된다. 희생 제사제도, 침례, 주의 만찬, 세족예식, 그리고 안식일은 모두 신자들로 하여금 구원을 개념화하고 그 확신을 경험하도록 돕기 위해 하나님에 의해서 제정된 제도들이다. (82.1)
 안식일은 하나님께서 주신 여러 제도들 가운데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것은 기원, 본질, 보존, 그리고 기능 면에서 독특하다. 안식일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을 그분의 쉼과 교제의 기쁨(창 2:2, 3; 히 4:3-10) 안으로 들어오도록 초청하기 위해서 하나님에 의해서 제정된 첫 번째 제도이기 때문에 그 기원(origin)에 있어서 독특하다. 안식일은 단지 몇 사람들만이 접근할 수 있는 물질적인 대상이나 장소가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한 날(때)이기 때문에 본질(nature)에 있어서 독특하다. 또한 안식일은 신자들로 하여금 “거룩한 사물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시간 안에서 하나님의 교제를 함께 나누는 경험을 하도록 초청한다. (82.2)
 안식일은 타락, 홍수, 애굽의 노예 생활, 바벨론의 포로, 로마의 안식일 반대법령의 제정(A. D. 135년에 하드리안[Hadrian] 황제에 의해서 포고됨), 불란서와 러시아의 1주 10일제도의 잠정적인 도입, 그리고 최근의 수많은 가톨릭과 개신교회의 박사학위 논문들, 교황의 사목교서, 이 전 안식일 준수 자들에 의한 안식일을 반대하는 출판물들에 의한 그 유효성의 반대 등에서도 그것이 유지되어 왔기 때문에 안식일의 보존(survival)에 있어서 독특하다. 또한 그 안식일은 유대인들과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의 성취의 실체를 개념화하고, 내면화하고, 또 경험하도록 도왔기 때문에 그 기능(function) 면에서 독특하다. (82.3)
 본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을 구세주께서 오실 것을 가리키는 옛 언약으로 믿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중요성을 이끌어 온다. 그리스도께서는 안식일의 표상적인 기능을 자신의 구속의 사명을 통해서 달성하셨다. 그리스도께서 성취하신 방법은 안식일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다르게 이해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께서는 안식일의 계명을 신자들이 매일 구원의 쉼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경험으로 대치시키시므로 안식일의 준수를 끝내셨다는 것이다. 이것은 본래 루터교회의 입장으로 최근에 하나님의 세계교회와 위기에 처한 안식일이라는 책에서 데일 라쯔라프, 그리고 여러 독립 재림교회 회중들에 의해서 받아들여져 왔다. (82.4)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는 그리스도께서 안식일 계명의 의식적인 국면 즉, 그리스도에 의해서 제공된 구원의 쉼을 예시하는 일곱째 날의 세세한 준수를 성취하셨고 끝내셨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칠일 중에 하루를 준수하는 원칙으로 구성된 안식일 계명의 도덕적인 국면은 그리스도에 의해서 폐지되지 않았고 오히려 주일 중의 첫째 날인 일요일을 준수하도록 옮겨졌다고 믿는다. 이것은 본래 가톨릭교회와 칼빈주의자들의 입장으로 개혁교회의 전통을 가진 교회들에 의해서 수용되어 왔다. (83.1)
 이 두 입장의 공통 분모는 그리스도께서 안식일의 의식적이고 표상적인 기능은 성취하셨으므로, 따라서 그의 추종자들은 일곱째 날 안식일을 준수해야할 책임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신앙이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우리는 이러한 편만한 견해는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의 유효성과 그 가치를 반대하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보다 세심한 분석을 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83.2)
 본 장의 목적
 본 장은 안식일이 어떻게 구약에서는 미래에 오실 구세주로 또 신약에서는 오신 구세주와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첫 부분은 구약과 유대 문헌에 있는 메시야의 구속에 대한 안식일의 표상들을 점검한다. 여기서 우리는 구약 당시 때 하나님의 백성들의 마음속에서 구속의 소망이 자라게 했던 몇 가지의 중요한 안식일의 주제들에 초점을 맞춘다. 두 번째 부분은 신약에 있는 안식일의 구속적인 의미와 기능을 고려한다. 본 장에서 우리는 연구의 초점을 예수의 안식일에 대한 가르치심과 사역의 빛에서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안식일의 의미에 맞춘다. (83.3)
 현안 문제는 안식일이 예시하는 메시야의 구원과 그리스도의 구속의 사역 사이에 있는 관계이다. 우리가 본 장에서 진술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그리스도께서 안식일의 기능을 끝내시므로 메시야의 구속에 대한 안식일의 표상들을, 성전 봉사의 경우에서나(히 8:13; 9:23-28), 또는 그분의 구속의 사역을 통해서 그 날의 의미와 준수를 실현하고 풍부하게 하므로 성취하셨는가? (83.4)
 놀랍게도, 대부분의 안식일 관련 문서들은 구약과 신약에 있는 안식일의 구속적인 의미와 기능에 대한 중요한 국면을 간과하고 있다. 그것의 초점은 기본적으로 안식일의 창조적 기원과 구속사의 과정에서 그것의 계속성에 있다. 여전히 안식일 신학을 완전한 창조로부터 완전한 구속과 최종적인 회복을 기념하는 것으로 발전시킨 것은 안식일 준수의 더욱 풍부한 의미와 경험을 신자들에게 마련해 줄 수 있다. (83.5)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