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에덴의 상실과 인류의 구원을 위한 성소 11
A. 창조의 영광스런 전망 11
1. 하나님께 가치와 영광을 부여받은 존재 12
2. 죄의 선택을 허용한 이유 14
3. 죄를 선택함으로 가져온 죽음 15
4. 성소 - 생명나무에 나아가는 길 16
B. 성소제도의 목적 17
1. 성소제도에 나타난 구속의 의미 17
2. 하늘 성소의 모형인 성막 성소 18
3. 역사상 가장 큰 계시 18
4. 시간 속의 지성소인 안식일 19
5. 시간 속의 지성소인 안식일 22
6. 시간 성소와 공간 성소의 상관성 22
7. 이스라엘 진영 한 가운데 성소를 베푸신 목적 23
8. 성소와 지성소 25
9. 예수님의 구속 사업의 일정 26
C. 성소의 구조 28
1. 성막과 이스라엘 진영 28
2. 성막의 평면배치도 29
3. 성막의 뜰 29
4. 뜰문 29
5. 성막에 사용된 울타리 놋기둥(출 27:9~13, 18~19) 30
6. 성소와 지성소 벽을 이루는 48개의 황금 널판 31
제 2 장. 진영에서 뜰문에 이르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33
A. 진영에서 뜰에 이르는 이끄심의 경험 33
1. 속죄의 공로에 의지하여 성소에 나아감 34
2. 죄인을 이끄는 십자가의 사랑 34
3. 구원을 위하여 사랑의 이끄심에 반응함 34
4. 죄 많고 허물 많은 그대로 구주에게 나아감 35
5. 회개는 예수께 나아가는 장애물이 아님 35
6. 그리스도의 흠 없는 품성을 보여주는 세마포 울타리 36
B. 뜰의 문을 통과하는 받으심의 경험 37
1. 죄인을 영접하시는 그리스도 37
2. 뜰의 문은 받으심을 상징함 39
3. 성소 휘장을 경계로 나타난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계단들 39
제 3 장. 성소 뜰과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 47
A. 번제단(출 27:1~8; 38:1~7)에서 경험하는 믿음의 의 47
1. 번제단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상징 48
2. 놋뱀으로 예시된 놋제단 50
3. 번제단에 죄가 전가됨 51
4. 번제를 드리는 자는 제물의 가죽을 벗기며 의의 옷을 바라봄 52
5. 희생제물을 드리는 자는 물과 불로 정결하게 됨 53
6. 번제단에서 이루어지는 의롭다 하시는 경험 55
7. 구원의 능력을 상징하는 번제단의 네 뿔 56
B. 물두멍에서 경험하는 믿음의 의 58
1. 물두멍의 상징적 의미와 제작 방법 58
2. 물두멍은 수족을 씻는 곳 59
3. 물두멍은 침례를 상징함 59
4. 물두멍에 투영된 그리스도의 생애를 본받음 60
5. 물은 그리스도의 심장에서 쏟아진 구원의 생수 61
6. 말일에 예언된 성전에서 솟아나는 말씀의 생수 62
7. 성전 마당에서 이루어지는 물의 축제 63
8. 물두멍의 생수의 강은 믿는 자의 받을 성령 66
제 4 장. 유월절 어린양을 예표(豫表)하는 번제단과 물두멍 69
A. 어린양을 예표(豫表)하는 유월절 69
1. 유월절이란 무엇인가? 69
2. 유월절의 제정목적 71
3. 유월절을 지키는 방법 72
4. 유월절 양의 원형이신 그리스도 75
B. 번제단과 물두멍은 그리스도의 모형임 77
1. 번제단은 유월절 희생과 죄의 누룩을 제거하시는 그리스도의 모형임 77
2. 물두멍은 첫 열매로 부활하시는 그리스도의 모형임 77
3. 첫째 부활에 참여할 자들을 예표 하는 첫 열매 78
4. 홍해의 침례(물두멍)를 통해 첫 열매가 된 이스라엘 79
5. 요제절의 부활은 침례와 세족 예식으로 기념됨 80
6. 예수님의 십자가로 성취된 세 절기 81
7. 예수님의 십자가로 성취된 뜰의 봉사 81
8. 그리스도의 몸을 예표(豫表)하는 세 절기 81
9. 유월절 대신에 제정된 두 제도 82
제 5 장. 성소와 믿음으로 말미암는 성화 83
A. 이끄심으로부터 성소 뜰에 이르기까지 83
1. 이끄심 - 진중에서 성소 뜰까지의 경험 83
2. 받으심 - 뜰의 문에 이르는 경험 84
3. 번제단과 물두멍의 그림자와 원형적 성취 85
B. 성소와 성화 경험 89
1. 성화된 생애의 능력을 제공하는 떡상 89
2. 성화된 생애의 능력을 제공하는 촛대 100
3. 성화된 생애의 능력을 제공하는 분향단 107
제 6 장. 봄 절기로 탄생된 하나님의 교회 115
A. 그리스도의 성소사역을 표상하는 칠대 절기(七大節氣) 115
1.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이 담긴 농사 절기 115
2. 복음시대의 전 역사를 설명하는 불변하는 농사절기 116
3. 농사절기를 준수하신 예수님의 공생애 117
4. 이스라엘의 봄절기를 성취하신 참 이스라엘이신 그리스도 118
B. 봄절기의 성취와 완성 120
1. 십자가로 성취된 유월절과 무교절 120
2. 부활로 성취된 요제절 124
3. 칠칠절(오순절) 126
C. 봄 절기를 준수하는 이스라엘 민족의 구속사 128
1. 순례 절기 128
2. 봄절기에 맞춘 이스라엘 민족의 구속의 달력 129
3. 봄절기와 일치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노정 129
4. 이스라엘의 50일 동안의 노정 130
D. 시내산 위의 성소는 하늘 성소의 모형임 132
1. 시내산의 보좌는 성소 떡상의 모형이며 예시이다. 132
2. 시내산의 보좌는 인간에게 양식을 제공하였다 133
3. 시내산 아래의 모임은 하늘 성소 아래 오순절의 경험을 예시(例示) 134
4. 오순절 요제에 들어있는 성령부음의 예시(例示) 135
5. 모세는 새 언약의 중보자의 모형(模型) 135
6. 정리 136
E. 봄절기로 탄생된 하나님의 교회는 늦은비를 바라보게 함 137
제 7 장. 지성소 안의 거룩한 사물들 139
A. 지성소의 목적 139
1. 내 마음의 보좌를 위한 지성소 139
2. 나의 죄 도말을 위한 지성소 140
3. 나의 정결을 위한 새 언약의 피 142
B. 우리의 인도자인 언약궤 142
1. 언약궤의 명칭 142
2. 언약궤를 만든 재료 143
3. 우리의 인도자가 되는 언약궤 144
C. 궤의 덮개인 속죄소 145
D. 구원받을 후사들로 채워질 영광의
“그룹”(출 25:18~20) 145
1. 신성의 위엄을 가진 영광스런 그룹 145
2. 구원을 얻을 후사들의 모형 146
3. 그룹천사들의 태도 148
E.
“두 그룹 사이에”(출 25:22) 계신 쉐키나 149
1. 종의 형체 안에 나타내신 쉐키나 149
2. 자신의 뜻을 그룹 사이에서 알리신 쉐키나 150
3. 이스라엘을 보호하시는 쉐키나의 날개 150
F. 언약궤 안에 들어있는 세 가지 약속 151
1. 생명의 법이 되는 돌비 151
2. 생명의 양식인 만나 153
3. 아론의 싹난 지팡이 159
제 8 장. 대속죄일, 봉사와 사단의 추방 165
A. 속죄소가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복음 165
1. 봄 절기와 가을 절기를 이어주는 하늘 성소 봉사 165
2. 그리스도의 지상 생애와 하늘 성소 봉사 166
3. 대속죄일(yearly service)의 필요성 166
B. 대속죄일의 속죄 168
1. 속죄(kaphar)의 어의(語義) 168
2. 속죄의 대상 169
3. 대속죄일 예식 진행 170
제 9 장. 2300주야와 하늘 성소정결 185
A. 하늘 성소에 계신 우리의 대제사장 185
B. 다니엘 8:14절의 하늘 성소 정결 사업 186
1. 하늘 성소는 정결케 될 필요가 있는가? 186
2. 모형의 성소가 해마다의 봉사로 정결하게 됨 187
3. 죄의 기록으로 오염된 하늘 지성소의 정결사업 189
C. 다니엘 8:14절의 성소 정결과 레위기 16장의 성소 정결의 상관성(相關性) 190
1.
“정결하게 되리라”의 니츠다크"(nisdaq)는 대속죄일 정결을 말하는가? 191
2. 모형의 성소와 원형의 성소를 연결함 192
3. 성소의 정결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192
D. 2300일인가? 아니면 2300년인가? 193
1. 연 - 일 원칙에 대한 성경의 증거들 194
E. 2300년의 예언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196
1. 바사에서부터 로마(이교로마, 교황로마)에 이르는 2300년의 기간 196
2. 질문과 대답 속에 들어있는 이상의 기간 197
3.
“이상”에 함축된 기술적인 용어이해 198
4. 2300년의 기산점이 공개되다. 200
5. 아닥사스다 왕 칠년은 언제인가? 203
제 10 장. 죄로부터 정결하게 되는 대속죄일의 경험 209
A.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는 대속죄일의 정결을 말함 209
B. 대속죄일에 정결하게 되는 네 종류의 죄 211
1. 부정(툼아, uncleanness) 211
2. 죄 (페샤, transgressions) 212
3. 허물(하타아, sin) 213
4. 죄악(아온, iniquities) 218
C. 인간은 죄를 지어서 죄인이 되는가 219
1. 죄는 물려받는 것이 아니다. 219
2. 범죄하여 죄인이 된다. 219
3. 성경은 죗된 본성을 죄와 동일시하지 않음 220
D. 대속제일의 회개의 경험 222
1. 말씀의 빛으로 자신을 바라보라. 222
2. 모든 죄를 버리는 경험을 하라. 223
3. 숨은 허물을 버리라. 224
4. 영혼의 성전을 정결하게 하라. 227
5. 두 가지 정결 228
6. 신앙의 표준을 높이라. 229
제 11 장. 죗된 양심을 깨우치는 속죄제들 231
A. 속죄제(sin offering, 레 4:1~5:13)의 231
B. 그 범한 죄를 깨달으라(레 4:14, 23, 28, 5:4) 232
1. 레위기 4~6장의 개요 232
2. 속죄제를 드리는 동기 233
3. 무딘 양심을 깨우치는 속죄제(속건제)의 실례들(레 5~6장) 234
4. 부지중에 행하기 쉬운 죄(5:1~6) 235
5. 배상이 요구되는 여호와의 성물에 관한 죄(5:14~19) 239
6. 부주의로 지은 죄도 형벌을 당함 239
7. 타인에게 피해를 입힌 범죄에 대한 배상(6:1~7) 240
8. 속죄제에 나타난 회개의 방법 245
9. 속죄제와 속건제는 같은 제사임 245
C. 속죄제의 현대적 적용 247
1. 속죄제가 없는 라오디게아교회 247
2. 진정한 속건제물은 자신의 죄를 깨닫고 인정하는 데서 시작 248
제 13 장. 큰 안식일 251
A.
“큰 안식일”(레 16:21)의 중대성 251
1. 하늘 법정에서 각 사람의 행위가 책들에 기록된 대로 조사 252
2. 아무 일도 하지 말고 자신을 살펴야 함 253
3.
“스스로 괴롭게 하라” 254
4. 회개할 것 없는 회개의 경험에 나아감 255
B. 대속죄일에 이루어지는 안식과 자유 256
1. 대속죄일은 넷째 계명과 동등한 중요성이 부여됨 256
C. 대속죄일 속죄의 위대함 263
D. 대속죄일의 위대한 속죄는 희년의 자유를 바라보게 함 265
1. 제칠일 안식일과 대속죄일은 희년의 자유를 바라보도록 함 265
2. 희년 그 환희의 나팔 266
3. 희년에 누리는 자유들 267
제 13 장. 안식년과 희년에 나타난 구원의 표상 269
A. 큰 구원을 예표(豫表)하는 안식일, 269
1. 안식일 제도 270
2. 일곱 절기들과 대속죄일
“큰 안식일”(출 31:15; 레 16:31) 270
3. 안식년 270
4. 희년 272
B 바벨론 포로 70년과 안식년과의 관계 275
1. 바벨론 포로 70년은 어디에 근거를 둔 것인가? 275
2. 다니엘은 어디에서 그 근거를 찾았을까? 276
3. 70년간의 예루살렘 땅의 황무함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277
C. 안식년과 희년에 기초된 구속의 이정표 277
1. 70이레에 관한 예언과 2300주야의 결합 277
2. 2300주야는 어느 때 부터인가? 279
3. 예루살렘을 중건하라는 영이 날 때부터 280
참 고 문 헌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