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의 역사와 신학 제 5 장. 안식일:구속의 기쁜 소식
  • 1
 타락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안과 밖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려는 투쟁을 계속해 왔다. 외부의 압제와 착취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인류는 역사상 얼마나 많은 희생의 피를 흘려야 했던가! 그렇지만 질병과 비애와 죽음이라는 내적인 압제로부터 벗어나려는 투쟁에는 더 큰 희생을 치러야 했으며 지금도 치루고 있다. 인간을 위한 하나님의 기쁜 소식은 인간을 안밖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투쟁이 결국 승리로 끝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승리는 인간의 노력을 통하여 얻어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개입으로 인한 것이었다. (116.1)
 구원의 역사는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애굽이나 바벨론의 육체적인 속박에서 뿐만 아니라 불순종과 사망이라는 영적 속박으로부터도 해방시키기 위하여 인간의 시간과 생활 속으로 개입한 역사이다(고전 15:54~56). 이같은 구속적인 사명을 이룩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는 이 세상에 오셨다. 그는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 눌린 자에게 자유를 선포하기 위하여” 오셨다(눅 4:18) (116.2)
 그리스도인이 받은 임무는 하나님께서 놀라우신 방식으로 인간을 혹암과 죽음의 속박으로부터 구원하시고 하나님의 기이한 빛과 생명으로 인도하신 기쁜 소식을 선포하는 것이다.(벧전 2:9). 이 기쁜 소식은 구두(口頭)로 전파되어야 하며 개인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침례, 성만찬, 안식일과 같은 상징들은 사람이 개인 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구속의 기쁜 소식을 활용하고 경험할 수 있는 수단들이 되고 있다. (116.3)
 이 장(章)에서는 이같은 상징들 중에서 가장 나중에 언급된 안식일이 현재와 미래에 걸친 하나님의 구속의 보장과 경험을 자신의 백성들에게 주시고자 하시는 하나님에 의하여 구약과 신약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1 (116.4)
 참고문헌
 1. Karl Barth has recognized and emphasized the redemptiv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Sabbath. James Brown summarizes Barth’s view, say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Sabbath is thus that it is a sign of salvation altogether, first and last, of God, in His covenant relation with His creature”(“The Doctrine of the Sabbath in Karl Barth’s Church Dogmatics,”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20 (1967): 7.

 (116.5)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