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4:23과 9:35의 표현 어구들은 거의 동일하다. 마태가 이렇게 한 데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는 대단히 조직적인 저자로서, 그의 복음서를 주요 부분들로 나누는 데 이런 구절들을 반복해서 사용한다. (131.1)
4:23에서 시작하여 9:35에서 끝나는 그 부분은 예수의 가장 초기의 봉사에 대한 서론을 담고 있다(4:23-25). 그런 다음에 예수의 권위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그 구절을 둘로 분할한다. (131.2)
그 첫 번째가 산상설교이다(5-7장). 이 장들에서 마태는 예수를 권위적인 교사로 제시한다. (131.3)
두 번째는 8장과 9장으로, 현실 세상에서 기적을 연달아 행하시는 권위적인 행위자로서 예수를 제시한다. (131.4)
둘로 나뉜 첫 다섯 장은 예수께서 권세 있는 자처럼 가르치셨기 때문에 군중들이 놀랐다고 주목하고 있는 7:29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있다. 마태복음의 전반적인 구도에서, 5-9장은 예수를 권위적인 말씀의 메시야로 제시하는 반면에 8장과 9장은 그를 권위적인 행위의 메시야로 제시한다. (131.5)
10장은 5-9장에 제기된 ‘권위’란 주제의 연장이다. 10:1에서 마태는 예수께서 그의 권세를 그의 제자들에게 주셨다고 우리에게 말한다. 이어서 그 장은 예수께서 그들의 치료와 설교/가르치는 사명에 관하여 제자들을 가르치시는 것으로 이야기를 이어간다. 그와 같이 5-7장이 예수의 말씀을 그리고 8장과 9장이 예수의 행위들을 제시하는 반면에, 10장은 예수께서 그의 말씀을 전파하고 그의 행위들을 하도록 그의 제자들에게 사명을 위임하시는 것으로 제시한다. (131.6)
마태복음 8장과 9장을 두 번 읽으라. 그러고 나서 다음의 문제들과 질문들을 고찰해 보라. (132.1)
1. 8:2-15은 예수께서 행하신 세 가지 기적을 우리에게 말한다. 이 세 기적들의 공통점을 나열하라. 그리고 그 셋 중 어느 둘 사이의 공통점도 열거하라. 예수께 치료 혜택을 받은 세 사람들이 유대 문화에서 사회적 입지가 어떠했는지 논하라. 이 구절들에서 마태가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그대는 생각하는가? (132.2)
2. 마태복음 8:23-9:8은 두 번째 세 쌍의 기적을 담고 있다. 각각의 기적은 예수께서 어떤 것을 주관하는 권세를 행사하시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각 각의 경우에 그 “어떤 것”이 무엇인지 나열해 보라. 두 번째 세 쌍은 우리가 예수의 권위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관하여 첫 세 쌍에 무엇을 더해 주었는가? (132.3)
3. 마태의 부르심을 다룬 9:9-13을 읽으라. 그대의 성경 관주를 사용하여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에 실린 이야기를 읽으라. 그대의 성경에 관주가 없다면, 성구사전을 사용하여 그의 다른 이름인 마태와 레위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설명을 찾아낼 수 있다. 세 이야기를 모두 사용하여 복음서들로부터 우리가 마태에 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것으로 합성 일람표를 만들라. 그대의 발견한 것들과 성경사전의 설명을 비교해 보라. (132.4)
4. 한두 문단으로 9:17의 구약 관주 성경절들의 문맥에 대한 연구로부터 우리가 그 구절(9:17)의 문맥에 관하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논하라. (133.1)
6. 9:33과 7:28, 29을 비교하라. 유사점들을 나열하라. 마태가 전개시키고 있는 주제의 문맥 내에서, 이 유사점들은 그의 이야기에 있어서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 9:34에서 진정한 논쟁점은 무엇인가? 그대는 마태가 전개하고 있는 이야기에서 9:34의 기능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133.3)
■ 말씀을 탐구함
왕의 권위가 인정받음
마태복음 8:2-9:33은 아홉 개의 기적 이야기들을 싣고 있다. 마태는 군중들에 대한 언급들과 함께 이 기적들을 세심하게 일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8:1에서 우리는 예수께서 산에서 내려오실 때 “허다한 무리가 좇으니라”는 말씀을 읽는다. 그리고 9:33에서 우리는 “무리가 기이히 여겨 가로되 이스라엘 가운데서 이런 일을 본 때가 없다”고 읽는다. 9:33은 그 기적들에 대한 종결 까치발(bracket)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산상설교의 종결문과 매우 비슷하다. 그처럼 예수의 말씀의 종결과 그의 행위의 종결 모두에서 무리들은 그의 권세와 그의 봉사의 비길 바 없음에 놀란다(7:28, 29 참고). (133.4)
마태는 8:1과 9:33 사이에서 그의 설명을 세심하게 구성했다. 이 부분은 마태의 교수 방식인 3개 1조(組)식 방법들을 사용하면서 각기 세 기적들로 이루어진 3개 그룹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3개 1조식 기적들 사이에서 우리는 각기 막간을 발견한다. 이것을 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