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유행성 감기(Influenza)
 I. 설명
 
 인플루엔자(Influenza, 유행성감기, 문화어: 돌림형 감기)는 오소믹소 바이러스 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감염성 질환을 뜻한다. 보통 독감(毒感, flu)이라고 부른다. 인플루엔자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영향을 끼치다'라는 뜻의 '인플루엔자(Influenza)'에서 유래됐다. 일반적인 증상은 오한, 발열, 인후염, 근육통, 두통, 기침, 무력감과 불쾌감이다. 독감은 이런 비 특이적 증상의 정도가 몸살감기보다 심한 정도일 뿐, 치명적인 때는 드물다. 그렇지만, 전격성 폐렴이나 라이증후군 같은 치명적일 수 있는 합병증을 종종 일으키기도 한다. 보통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나오는, 바이러스가 함유된 연무질을 흡입함으로써 인플루엔자에 감염된다. 조류의 배설물, 침, 콧물, 대변과 혈액으로도 전염될 수 있다. (385.1)
 인플루엔자는 계절마다 수천에서 수만 명이 사망하는 유행성 독감을 전 세계에 걸쳐 일으키며, 여러 해에 걸쳐 일어난 전 세계적 유행 때에는 보통 백만 명 가량이 사망했다. 20세기에는 새로운 인플루엔자로 일어난 독감의 세계적 유행이 세 번 있었으며, 수 천 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이런 변종은 다른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감염이 일어날 때, 인간을 숙주로 삼는 종이 다른 동물을 숙주로 삼는 종에게서 유전자를 받았을 때 자주 생긴다. 1990년 아시아에서 출현한 H5N1의 등장은 세계적 독감 유행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나, 이때의 종은 인간 대 인간 감염에 특화(特化)되도록 변이하지는 않았다. 2009년 4월에는 멕시코에서 H1N1의 변종이 출현, 여러 국가로 번졌다. 국제보건기구(WHO)는 2009년 7월 11일, 이 유행을 '세계적 유행'으로 규정했다. WHO가 선언한 '세계적 유행'은 자세히는 제 6단계의 것으로, 어떤 질환의 번짐은 확실하나 치명적이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385.2)
 독감 예방주사는 개발 국의 국민이나 농축산업 종사자에게 접종되는 일이 많다. 이 예방주사는 세 개 바이러스 균주의 불활화된 것을 정제하여 만든다. 보통 두 개의 각각 다른 아형의 인플루엔자 A형과 한 개의 인플루엔자 B형이 균주로 이용된다. 인플루엔자는 사소한 변이를 매년 일으키기 때문에, 그에 따라 예방접종도 매년 받아야 한다. (385.3)
 독감과 몸살감기(common cold)는 전혀 다르다. 몸살감기는 흔히 잡 바이러스로 칭해지는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인플루엔자라는 명칭은 이중적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인플루엔자가 일으키는 독감인지,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인지 구별해야 한다. 그러나 이 항목의 인플루엔자라는 단어는, 편의상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물론 독감도 포함해 설명한다. (385.4)
 인플루엔자 증상은 일반적인 감기보다 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 1, 2주 정도면 완전히 회복된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의 경우 폐렴과 같은 합병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플루엔자는 약하고, 나이가 많거나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HIV에 감염된 후 오래된 사람 같이 약한 면역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또는 장기이식 환자 (장기이식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의학적으로 면역체계가 억제된 사람들)들은 특별히 심각한 질병을 앓는다. 또 다른 고위험군에는 산모나 어린이들이 있다. (385.5)
 플루는 장기적으로 건강 문제들을 악화시킬 수 있다. 폐기종 환자, 만성 기관지염 환자, 천식 환자들은 플루에 걸렸을 때 호흡기관의 축소를 경험할 수도 있다. 인플루엔자는 심장의 관상동맥질환이나 울혈성 심장기능이상 질환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담배를 피우는 것은 인플루엔자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키거나 관련된 질환을 더 악화시키는 또 다른 위험 인자중의 하나이다. (385.6)
 세계 보건 기구에 의하면: 매년 겨울, 수천만의 사람들이 플루에 감염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지 아프거나 일주일 정도 쉴 뿐이다. 그렇지만 노약자들에게는 매우 위험하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플루 때문에 죽는 사람들이 수십만을 초과한다. 그렇지만 선진국에서조차도 사망하는 사람들의 숫자는 정확하지 않다. 그 이유는 의료당국이 어떤 사람들이 실제로 인플루엔자로 죽었는지 그리고 플루와 유사한 질병을 통해 죽었는지 보통은 확인하지 않기 때문이다. 건강한 사람들조차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플루엔자에 의한 심각한 문제들은 어떤 나이의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 50대 이상의 노인들이나 어린이들, 만성적인 의학적 문제를 지닌 사람들은 인플루엔자에 의해 폐렴, 기관지염, 뼈나 귀 감염 같은 합병증을 얻기가 더 쉽다. (386.1)
 인플루엔자의 증상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때는 감염 1~2일 후로, 비교적 빠르다. 첫 자각증상은 보통 발열(38~39 °C)을 동반한 오한이다. 이후, 두통과 몸 전체를 엄습하는 근육통으로 긴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인플루엔자의 주요증상은 다음과 같다. (386.2)
 1. 몸 곳곳의 통증, 특히 관절과 목. (386.3)
 2. 심한 추위와 발열(37.8℃ 이상) (386.4)
 3. 피로감, 불쾌감 (386.5)
 4. 두통 (386.6)
 5. 눈물 분비 (386.7)
 6. 눈, 피부(특히 얼굴), 입, 목과 코의 충혈 (386.8)
 7. 어린이에게는 복통, 설사 같은 위장 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386.9)
 8. 인플루엔자는 격심한 피로감과 고열이 갑작스럽게 발현한다는 점으로 감기와 구별할 수 있다. 설사는 성인의 인플루엔자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H5N1형의 감염이나 어린이에게서만 가끔 나타난다. (386.10)
 II. 예방 및 치료
 1.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비타민 A(녹황색 채소, 건시, 고구마 등), 비타민 C(귤, 대추, 딸기, 레몬, 오렌지 등), 비타민 E(콩나물, 숙주나물, 땅콩, 시금치, 양배추 등)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38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