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요한복음 제II부 예수와 옛 세대 (1:19-4:54) 제 4 장 질문하는 제자 (2:12-3:21)
 1. 통제되지 않는 격분과 의분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교회 안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들에 대해 언제 분노하는 것이 적절한가? 가족과 동료, 그리고 친구와의 생활 속에서는 어떠한가? 의분을 발하는 데 있어서 영적인 위험은 없는가? 적절한 여건 하에서 의분을 가지지 않는 것에 대한 영적인 위험은 없는가? 그대의 대답을 설명하라. (122.3)
 2. 예수의 모본은 우리가 종종 잘못된 일들을 향해 폭력을 사용하는 일을 허락하는가? 은행 강도가 일을 저지르는 중에 예수께서 오신다면, 그대는 그분이 어떻게 반응하실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한 여인이 강간당할 때는 어떻게 하실 것인가? 인종 차별로 인하여 발생한 폭동은 어떠한가? 교회 안에서 록 콘서트를 열거나 빙고 게임을 하면 어떻게 하실까? (123.1)
 3. 그대의 영적 생애를 집의 방들과 비교한다면, 그대는 예수께서 어느 방을 가장 깨끗하게 청소하기를 원하실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식당(음식 문제)인가? 오락실인가? 거실(친밀한 인간 관계)인가? 침실인가? 작업실(재능의 활용 등)인가? 이 시점에서 그대는 이와 같은 청소를 환영할 것인가, 아니면 거절할 것인가? (123.2)
 4. 원래는 성전의 장사꾼들은 먼 곳으로부터 온 유대인을 돕고 봉사하기 위해 그곳에 있게 되었다. 어떻게 해서 이렇게 유용한 관행이 갈취의 수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는가? 그대의 생애나 교회의 여러 영역에서 이렇게 전락해버려서 재고해야 한 필요가 있는 것은 없는가? 그대의 생애와 교회가 용도 폐기되었거나 영적인 생활에 해롭게 되기까지 한 활동들로 인해 혼란스럽게 되어 있지는 않는가? (123.3)
 5.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예수께서 하신 것처럼 다른 사람의 생각, 동기, 그리고 감정을 판별하는 능력을 소유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할까? 그대는 그대의 생애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감명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계발할 어떤 방법들을 생각할 수 있는가? 어떻게 신자들이 자신의 마음의 거짓됨을 꿰뚫어볼 수 있는 보다 분명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겠는가? (123.4)
 6. 예수께 대한 니고데모의 관심은 성전 정결 사건으로 인해 일어났다. 그대로 하여금 처음으로 예수께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이 그대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유는 무엇인가? 그대의 관심이 바꾸어졌는가? 그것이 그분과 그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123.5)
 7. 그처럼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데도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예수에게 내보이는 것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대의 삶의 영역들 속에 다른 사람이 알게 되기를 원치 않는 것이 있는가? 그것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결점을 그대는 하나님께 숨기려고 한 적이 있는가? (124.1)
 8. 어떤 상황 속에서 그대는 그대의 죄를 다른 사람과 하나님께 기꺼이 고백할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교회가 그와 같은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가? (124.2)
 ■ 말씀을 연찬함
 1.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주석(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사전(Seventh-day Adventist Bible Dictionary)과 같은 도구들을 사용하여 성전에 대한 모든 것, 즉 그것의 건립, 역사, 건축 설계도, 등에 대해 연구하라. 성구 사전을 사용하여 성전, 성막, 성소 등, 이와 관련된 표현들을 모두 찾아보라. 이 문단에 대한 그대의 이해에 어떤 식으로든 도움을 준 것은 다 기록해 보라. (124.3)
 2. 성구 사전으로 신약에 나오는 믿음과 믿다와 관련된 모든 단어를 찾아보라. 각 단어가 명사 또는 동사로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라. 다양한 용례들을 범주별로 나눠 보라. 요한복음에서 믿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그대가 얻게 된 다른 통찰들이 있으면 기록해 보라. (124.4)
 ■ 말씀의 추가 연구
 1. 예수 당시의 예루살렘과 주변의 삶의 여건들에 대한 상세한 기록에 관해서는 Jeremias, Jerusalem in the Time of Jesus를 보라.

 2. 예루살렘 성전에 대한 상세한 기술과 그 역사에 관해서는 Siegfried H. Horn, Seventh-day Adventist Bible Dictionnary, s.v. “temple”을 보라.

 3. 니고데모의 삶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으려면, D. N. Freedman, e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5:1104-1106을 보라.

 4. 요한복음에 나타난 “표적”이란 개념을 위해서는 R. Schnackenburg,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1:515-528을 보라.

 5. 또한 엘렌 G. 화잇, 시대의 소망, 154-177을 보라. (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