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사무엘 상∙하 제 Ⅱ 부 사무엘과 사울: 여호와께서 주시고 여호와께서 가져가심 (삼상 8-15) 제 4 장 여호와께서 사울로 왕 삼으신 것을 후회하심 (삼상 13-15)
 하지만 그러한 변화가 발생하려면, 진멸(ḥerem)의 요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였다. 그래서 사무엘이 사울을 위하여 중재하였고, “길갈에서 여호와 앞에서 아각을 찍어 쪼개”었다(33절). (132.3)
 그러나 이야기는 거기서 끝난다. 사무엘은 라마의 집으로 가서 애곡한다. 사울은 기브아의 집으로 갔다. “여호와께서는 사울을 이스라엘 왕으로 삼으신 것을 슬퍼하셨다”(35절, 「새개정표준역」). 다음 장에서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말씀하시기를 이젠 울 만큼 울었다. 이스라엘의 새 왕에게 기름을 부을 때다. 그러나 독자들은 이미 알고 있다. 사울 왕의 운명이나 다윗의 집의 운명이나 서로 다르지 않다고. “이스라엘의 지존자는 거짓이나 변개함이 없으시니, 그는 사람이 아니시므로 결코 변개치 않으심이니이다”(29절). 예루살렘의 폐허 속에서 저자와 독자들은 이 섬뜩한 진리를 깊이 생각할 시간적 여유가 많았을 것이다. (132.4)
 ■ 말씀을 적용함
 1. 사울에게 배움. 이 장들에 나오는 사울에 대한 심판들 속에서 나는 무슨 개인적 교훈을 얻을 수 있는가? 나의 그리스도인 경험에서 이 이야기들은 도움이 되는가, 아니면 방해가 되는가? 오늘날 그것들은 나의 삶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치는가? (133.1)
 2. 요나단에게 배움. 요나단의 가족과 일에 대한 관계는, 오늘날 경건하지도 않고 유능하지도 않은 사람과 함께 일하게 된 경건하고 유능한 사람에게 무슨 말을 하고 있는가? 나는 그런 형편에 처했던 적이 있는가? 그랬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 이야기가 내게 도움이 되는가? 사울은 왕이었고 제사장(혹은 목사)이 아니었는데, 요나단의 경험은 나의 영적 지도자들이 곁길로 벗어날 때에 내가 어떻게 할 것에 관하여 도움을 주는가? 어떤 식으로 도움을 주는가? 그대의 생각을 간단한 문단으로 표현하라. (133.2)
 3. 모험. 교회 일에 있어서 요나단과 같이 책임자들에게 의논하지 않고 모험을 할 수 있는가, 혹은 해야 되는가? 할 수 있다면 왜, 아니면 왜 그런가? 이 이야기를 “독립” 목회가 교회적으로 건강한 활동을 촉발할 수 있다는 것의 예증으로 사용하는 것이 합당한가? 독자의 반응을 한두 문장으로 표현하라. (133.3)
 4. 거절당함과 수용됨. 사울에게 “심판”이 선언된 뒤에도 하나님께서 사울과 함께 일하셨다는 것은 나에게 용기가 되는가, 이해하지 못할 문제가 되는가? 하나님께서는 타락한 지도자들과도 계속해서 일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는 나의 경험에 그것은 어떤 실제적 영향을 미치는가? (133.4)
 5. 연대적 순서. 사울의 통치 기간의 길이(13:1)에 대한 문제성 있는 사본의 증거와 같은 것들은 성경 이야기를 이해하거나 그 영적 교훈을 배우는 나의 능력에 아무 실제적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가? 그것이 큰 차이를 유발시키는가? (134.1)
 6. 하나님의 지도. 사울에게는 그를 지도할 선지자와 제사장이 있었다. 그리고 그는 우림과 둠밈, 제비뽑는 것 등을 통하여 조언을 구하였다. 나도 그와 비슷한 방법으로 지도를 구해야 하는가? 요나단의 징조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오늘날 “거룩하게 된 이성”이 하나님의 뜻을 아는 “초자연적인” 수단을 어느 정도로 대치하고 있는가? (134.2)
 7. 분노로부터 배움. 사무엘의 분노(15:11, 「새개정표준역」)는 나의 분노를 처리할 때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사무엘이 자기의 분노를 처리한 어떤 면을 나는 인정할 수 있는가? 어떤 면은 내가 인정할 수 없는가? 왜 그런가? (134.3)
 ■ 말씀을 연찬함
 1. 바쳐진 것. 성구 사전, 성경 사전, 성경 주석 등을 사용하여 사무엘상 15:3에 명령된 “금지”(ḥerem)나 “바쳐진 것”(진멸하도록)의 문맥을 연구하라. 「새국제역」 완벽성구사전(NIV Exhaustive Concor- dance)에 의하면, 이 절들에 나오는 히브리어 동사는 구약에서 50번, 명사는 29번 나타난다. 성경 사전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사는 주로 “금지”(ban) 혹은 “바쳐진”(devoted)이란 제목이 붙은 항에 나온다. 주요한 성경의 문맥은 여리고, 아이, 아간을 다루는 여호수아 6-8장이다. 이 금지는 이스라엘의 이웃들에게 사용되었다. 또한 이스라엘 내부적으로도 사용되었다(예컨대, 신 13:6-18; 삿 21:10-12). 긍정적인 차원에서 이 금지의 윤리적 의미를, 그리고 더 선명하게 보이는 부정적인 의미를 분석하라. 마지막으로, “모든 백성에게 모든 것이” 되시려는 하나님의 자원하는 마음과 관련된 독자의 입장을 정리하고, 오늘날 기독교적 성경 사용이 무엇인지를 정리하라. 사사기 19-21장의 문맥에서 “금지”를 재미있게 논한 것은 톰슨(Thompson)이 쓴 Who's Afraid?“The Worst Story in the Old Testament”(“구약에서 가장 나쁜 이야기”)라는 장(특히 124-127쪽)에서 읽을 수 있다. (134.4)
 2. 회개(후회)하시는 하나님. “회개(후회)하시는”(“repent,” 「제임스왕역」) 하나님이라는 사상은 변개치 않으시는 하나님이라는 사상과 일말의 긴장을 이룬다. 영(Young)이나 스트롱(Strong)의 성구 사전은 「제임스왕역」에 사용된 단어 회개하다(repent)의 용례를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준다. 「제임스왕역」의 용례와 현대 번역들과의 비교는 가르치는 바가 많다. 성구 사전, 성경 사전, 성경 주석 등을 이용하여, 이 질문을 두 각도에서 연구하라. 말라기 3:6의 문맥(“나 여호와는 변역지 아니하나니”)과 여호와는 변개하지 않는다는 구절들(민 23:19; 삼상 15:29, 「제임스왕역」)과 아울러 그분의 “회개(悔改), 후회(後悔)” 또는 개심(改心)을 묘사하는 것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연구하라. 예레미야 26장과 요나서는 매우 중요한 문단들이다. 그대의 연구를 건실하게 마무리하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인간의 회개는 하나님의 회개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대의 결론을 노트에 요약하라. (135.1)
 ■ 말씀의 추가 연구
 1. 일반적인 지식을 위해서는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 241-251을 읽으라.

 2. 어린이들을 위한 사무엘서 13-15장의 내용을 위해서는 아써 S. 맥스웰(Arthur S. Maxwell), 재미있는 성경 이야기, 3:174-186을 읽으라.

 3. 사무엘의 운명과 사울의 운명을 긴밀히 연결시킨 문학 분석을 위해서는 R. Polzin, Samuel, 126-151을 읽으라.

 4. 이스라엘의 “집단적” 사고에 관한 고전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H. W. Robinson, Corporate Personality in Ancient Israel 을 읽으라.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