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적 언약신학 제 5 장 구약에 나타난 새 언약의 약속
 로벗슨(O. Palmer Robertson)은 이 점진적 계시를 인식하였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하나님의 언약의 본질적인 연속성을 인정하였다. (88.1)
그러나 새 언약의 새로움은 결코 이전 언약들과의 절대적인 대립의 입장에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연속성의 요소를 인정해야만 한다. 예레미야는 옛 언약을 정죄하지 않는다. 그는 언약을 깨드린 것으로 인해 이스라엘을 정죄한다(렘 31:32; 렘 2:5, 13, 20, 32 참조) ∙∙∙ 언약 율법의 본체가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의 연속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 그것은 본질적으로 마음에 새겨야 할 실체가 될 하나님의 동일한 율법이다.11
(88.2)
 새 언약의 “계속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예레미야는 다윗 언약의 메시아 약속을 갱신하였다. 그는 다윗의 “가지”가 지혜로 통치할 것이며 그 땅에서 공평과 의를 시행하여 “야훼 우리의 의”(렘 33:5-6)라고 일컬음을 받으리라고 예언하였다. 그러므로 새 언약은 메시야의 오심에 있어 다윗 언약의 갱신을 포함한다. (88.3)
 포로 후의 이스라엘에서의 부분적인 성취
 포로 이후의 이스라엘 백성에게서 이 약속들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우리는 포로 이후의 선지자들인 학개, 스가랴 그리고 말라기로부터 새 언약의 약속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성취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 이유는 주로 메시아와 성령의 부어주심이 아직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둘째 성전이 실제로 세워졌으나 그 웅장함은 솔로몬 성전만 못했다. 그것은 에스겔의 새 성전 이상(40-48장)에 부합하지 못했다. (88.4)
 선지자 학개는 둘째 성전을 가리키면서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에 게 “이것이 너희 눈에 보잘 것이 없지 아니하냐?”(학 2:3)고 도전하였다. 그러나 선지자는 하나님의 임재는 금이나 번쩍이는 것으로 헤아릴 수 없다고 하였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들과 함께 하시는가(2:4), 그리고 그의 성령과 함께 그들 가운데 머무시는가(2:5) 하는 것이다. 사실, “만국의 사모하는 것”이 이를 것이며 그분의 “영광”이 이 성전을 채울 것이다(2:7). 그리하여 “이 전의 나중 영광이 이전 영광보다 크리라 만군의 야훼의 말이니라”(2:9). (89.1)
 이후 말라기 시대에 하나님께서는 언약의 백성 사이에 새롭고도 광범위하게 퍼진 배도를 발견하셨다. 그래서 다시 “나 야훼는 변역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야곱의 자손들아 너희가 소멸되지 아니 하느니라 ∙∙∙ 그런즉 내게로 돌아오라 그리하면 나도 너희에게로 돌아가리라”(3:6-7)고 상기시켜 주셨다. 그의 영원한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의 증거로 그분은 “보라 야훼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내가 선지 엘리야를 너희에게 보내”(4:5; 참조 욜 2:31)리라는 약속을 하셨다. (89.2)
 구약은 하나님께서는 결코 그의 백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온 마음으로 하나님께 돌아오는 신실한 남은 자들의 구원을 보증한다는 약속으로 끝난다. 첫 엘리야는 모세의 언약 아래 있었던 선지자였다. 그는 갈멜산 위에서 하나님께로 “그들의 마음을 돌이킨” 이스라엘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을 극적으로 회복하였다(왕상 18:36-37 참조). (89.3)
 새 엘리야에 대한 예언으로 말라기는 시내 언약을 재확인한다. 그는 “너희는 내가 호렙에서 온 이스라엘을 위하여 내 종 모세에게 명한 법 곧 율례와 법도를 기억하라”(4:4)고 분명하게 진술한다. 모세 언약은 과거에 반복해서 “이스라엘”과 새롭게 맺어졌다(출 34:10-28; 신 29:1; 수 24:25; 대하 15:12; 왕하 11:17; 대하 29:10; 왕하 23:2-3; 스 10:3). 하나님과 맺은 거룩케 하는 언약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엘리야”가 돌아올 것이다. (89.4)
 그는 이스라엘의 “마음”을 그들의 조상들의 “마음” 상태, 곧 처음 호렙에서 기꺼이 순종하겠다며 하나님의 언약을 받아들였던 조상들의 그 마음으로 돌이키라고 촉구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스라엘의 언약의 하나님의 변함없는 구원의 의지이다.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와 신약의 기자들은 이스라엘의 언약을 어떻게 메시아 시대에 적용했는가? (90.1)
 참고문헌
 1 Harrelson, IDB, 3:87.

 2 P. Miller, on Jer. 31:31-34, in NIB 6 (Nashville: Abingdon Press, 2001):812.

 3 R. H. Mounce and C. D. Hoch, “New, Newness,” in ISBE (1986), 3:527.

 4 Walther Zimmerli, Ezekiel 1. Hermeneia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9), 349.

 5 Walther Eichrodt, Ezekiel: A Commentary, OTL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0), 213.

 6 von Rad, Old Testament Theology, 2:213-214.

 7 J. C. McCann, in NIB 4:845.

 8 Karl Barth, Church Dogmatics, vol. 4, pt. 1 (Edinburgh: T & T clark, 1961), 32.

 9 von Rad, Old Testament Theology, 2:217.

 10 Eichrodt,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2:248.

 11 Robertson, The Christ of the Covenants, 281-282. (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