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심장빈맥(발작성 부정맥, Paroxysmal Auricular Tachycardia)
 I. 설명
 
 발작성 심장빈맥은 심장의 부정맥의 한 형태를 말한다. 부정맥은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질환들을 말한다. 맥이 정상보다 느려서 문제가 되는 서맥 부정맥 질환들과 맥이 정상보다 빨라서 문제가 되는 빈맥 부정맥 질환들이 있으며, 최근에는 심방세동이란 부정맥질환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298.1)
 빈맥은 심장박동이 정상보다 빠른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심장박동수의 정상 범위는 분당 60(또는 50)에서 100회까지 정의한다. 부정맥으로 인해 심장박동수가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경우를 빈맥이라 한다. (298.2)
 발작성 빈맥이란 발작성으로 빠른 맥박(빈맥)이 발생하였다가 정상 리듬으로 다시 바뀌는 부정맥 질환을 통칭하는 말이다. 발작성 빈맥은 심방에서 발생하면 상심실성 빈맥이라고 하고, 심실 내에서 발생하면 심실성 빈맥이라고 한다. 상심실성 빈맥은 건강하고 비교적 젊은 층에서 주로 발생하며, 심실성 빈맥은 심근경색증이나 심근증 등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다. 상심실성 빈맥은 소아나 젊은 층에서 시작되지만, 예외적으로 50대 이상에서 발생하는 사람도 있다. (298.3)
 부정맥 증상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같은 부정맥이라도 개인차가 매우 크다. 가슴이 덜컹거리는 느낌, 심장이 빠르다는 느낌, 심장이 엇박자로 뛰는 느낌, 꿀렁거리는 느낌 등 다양한 증상으로 표현된다. 발작성 빈맥은 심방에서 발생하면 갑작스러운 두근거림이 주 증상으로 환자들의 경우 덜컹하고 두근거리기 시작하여 덜컹하고 두근거림이 없어진다고 주로 호소한다. (298.4)
 II. 예방 및 치료
 * 부정맥의 예방
 1. 운동: 운동은 시간과 속도에 있어서 점진적으로 늘려가야 한다. 운동시간의 목표는 매일 8km 정도를 걷는 것이다. 1시간 이상 소요된다. 또는 밭에서 노작활동을 2-3시간 할 수도 있다. 장작을 패거나 삽으로 땅을 파는 경우는 1시간 정도가 알맞다. 걷기 운동은 1시간 정도 활기차게 계속 걷는다. 운동을 하기 전과 마칠 때 준비운동과 마무리 운동을 하도록 한다. 준비운동은 관절이나 골격손상을 예방하고 마무리 운동은 심장에 충혈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수족부분과 몸통부분 사이의 혈액순환을 균형을 이루기 위함이다. 이런 균형이 깨지면 심장과 폐에 압박을 느끼게 된다. 활기찬 운동을 하다가 갑자기 앉거나 뜨겁고 찬 물을 마시면 심장미비의 위험이 있으므로 유의할 것이다. (298.5)
 2. 자세: 생활 전반에 걸쳐서 앉거나 일어서거나 걷거나 또는 다른 어떤 경우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개와 어깨를 숙이고 걷게 되면 목과 어깨에 통증을 일으킨다. 머리를 들고 어깨를 펴고 좌우균형을 이루면서 활기차게 걷는 것은 신체적인 건강을 위해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인품이나 정신력에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98.6)
 3. 음식과 체중: 현재 과체중인 경우 식사와 운동을 잘 조절하여 정상체중을 회복하도록 한다. 식이섬유소가 많은 자연건강식으로 소식을 하면서 지속적인 운동을 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정상체중을 갖게 된다. 이미 정상 체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현재의 생활을 계속하되 소식 위주의 식생활을 하면서도 체중이 늘면 운동량을 늘려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298.7)
 4. 의복: 의복의 가장 중요한 주안점은 체온을 잘 유지하는데 있다. 목과 수족을 잘 보존하고 허리를 조이거나 가슴을 압박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속옷은 면제품으로 입고 자주 갈아입는다. 심장에서 가까운 부분은 가볍게 그리고 심장에서 먼 부분은 따뜻하게 한다. (298.8)
 5. 기호품과 생활양식: 술과 담배와 커피 그리고 마약 등을 피한다. 환경의 노예가 되지 말고 환경을 지배하는 생활을 한다. 식사도 입으로 먹지 말고 머리로 먹도록 한다. 무엇이든지 생각하면서 건강과 행복에 방해가 되는 것은 강한 의지력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298.9)
 6. 약초: 서양산사자(hawthorn berry)는 심장병 예방과 치료에 탁월하다. 산사나무 차를 만들어 마신다. 숫잔대(lobelia)도 심장의 맥박을 안정시키는 좋은 약초이다. (298.10)
 7. 어떤 경우에도 과식을 하지 않도록 한다. (298.11)
 8. 생활 전반에 걸쳐서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한다. 특히 취침과 기상, 운동, 식사 시간, 연구와 직업 활동이 규칙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298.12)
 9. 식사를 한 다음 바로 앉지 않지 말고 가벼운 걷기 운동을 한다. 위장에 음식이 들어가고 앉거나 눕게 되면 횡격막이 눌리면서 심장발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오침이 필요하면 식사 전이나 식사 후에는 적어도 1시간 후에 오침을 한다. (298.13)
 10. 뉴스타트 천연치료 기본적용을 자연스럽게 생활화 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298.14)
 * 급성 심장발작을 위한 대처
 1. 온수 각탕은 30분 정도 적용한다. (29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