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모든 질병이 죄의 결과라고 생각하는 사람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겠는가? 죄가 인간 질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세울 수 있겠는가? 에이즈나 폐암 같은 질병이 도덕적인 국면을 지니고 있는가? 그대의 견해를 지지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열거해 보라. (163.1)
 3. 예수께서는 한 사람을 치유하기 위해 안식일 준수에 관해 인간이 만든 규범을 깨뜨리셨다. 바리새인들은 한 인간의 건강과 복지보다는 개인의 부차적인 규범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그대의 개인적 삶의 규범은 하나님이 제정하신 것이 얼마나 되며, 인간이 만든 것이 얼마나 되는가? 그것들이 사람을 섬기는데 도움을 주는가? 아니면 사역을 하는데 거침돌이 되곤 하는가? (163.2)
 4.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인의 기쁨과 심각함 사이에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 요한의 종말론 개념이 이와 같은 조화를 이루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고통과 부패가 가득한 이 세상에서 영생은 현재적 실체라는 생각을 유지할 수 있을까? (163.3)
 5. 그대의 생애 속에서 예수를 알도록 도움을 준 증인 중 몇 명만 이야기해 보라. 그대가 알고 존경하는 신자들의 태도에 의해 예수에 관한 그대의 개념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는가? 그런 사람들을 알지 못했다면 그대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겠는가? (163.4)
 ■ 말씀을 연찬함
 1. 완벽한 성구 사전에서 신약에 나오는 심판, 심판하는, 그리고 심판자(재판관)와 같은 단어가 사용된 모든 경우를 살펴보라. 이 중에 마지막 심판을 언급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 어느 것이 모든 세대에게 현재나 미래에 중요성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는가? 이 과정에서 요한복음에 대해 배운 것은 무엇인가? (163.5)
 2. 성경 사전, 백과사전, 그리고 고고학에 대한 책이나 잡지를 사용하여 베데스다 연못과 연관된 최근의 발견에 대하여 가능한 한 모두 살펴보라. (163.6)
 ■ 말씀의 추가 연구
 1. 요한복음의 종말론과 성경 전체의 종말론과의 관계에 대한 학적인 논의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R. E. Brow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1:cxv-cxxi; R. Schnackenburg,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2:426-437을 보라.

 2. 구약의 종말론과 신약이 어떻게 그 위에 세워졌는지에 대해서는 J. Paulien, What the Bible Says About the End-Time, 제3장에서 제6장까지를 읽어 보라.

 3. 요한복음 5장에 대한 부가적인 통찰을 위해서는 엘렌 G. 화잇, 시대의 소망, 201-213을 보라.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