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난”이나 “시련”으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peirasmos)가 사용된 다양한 용례를 발견하기 위하여 종합 성구사전을 사용하라. 만일 다른 단어가 사용됨으로 그 번역이 더 분명해졌다면 그 실례를 적어 보라. 각 경우에 대한 당신의 추론를 설명하라. 이 두 단어의 신약 성경의 사용에 관한 당신의 결론들을 요약하라. 성경 사전이나 백과 사전의 결론과 당신의 발견들을 비교하라. (56.3)
 3. King James Version에 기초한 성구사전에서 단어 완전(perfect)을 살펴보라. 신약에 그것이 사용된 열 개의 구절을 임의로 뽑아 보라. 그 본문이 죄 없는 완전을 다룬 것임이 절대적으로 분명한 곳을 조금이라도 증명할 수 있는가? 설명하라. 당신은 각각의 경우에 무슨 다른 동의어를 사용하였는가? 그 단어가 사용된 구절들의 여러 다른 번역들을 비교하라. 당신이 발견한 동의어를 적어 보라. 그리고 성경 사전에 있는 “완전”에 관한 기사를 읽으라. (56.4)
 ■ 말씀의 추가 연구
 1. 이 장의 주요 문제들을 다룬 우수한 기사들에 대하여, T. L. Howard, “Suffering in James 1:2-12”을 보라.

 2. 찬양의 중간 부분을 통해 시련 속에서 기쁨을 발견할 수 있는 특별한 무리의 사람들에 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A. C. Jones, Wade in the Water: The Wisdom of the Spiritual을 보라. 특별히 두 번째 장인 “Sometimes I Feel Like a Motherless Child: Suffering and Tramsformation,” 18-38을 보라.

 3. 철학에서 typical approach-avoidance와 approach-approach pardigms과 상응하는 믿음-의심 논쟁의 방법을 보여주는 꽤 전문적인 기사를 위해서는, M. Nelson, “Psychology of Spiritual Conflict”를 보라.

 4. 그리스도인과 시련에 대한 좋은 주석서를 위해서는 E. G. White의 치료봉사의 “Help in Daily Living,” 469-482; 특별히 “The Discipline of Trial”(470-472)로 제목이 붙여진 부분을 보라.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