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보좌에 이르는 길 제 1 편 성소의 중요성 제2장 성소, 구약의 복음
 많은 사람들이 모세오경은 너무 건조하고 단조로우며, 단지 고대 이스라엘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모세오경이 현대 기독교인에게는 특별한 가치가 없는 책이라고 말한다. 왜 그럴까? 그것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자기에 관한 것”을 기록하도록 영감을 준 이 책들속에 있는 그리스도의 생애와 교훈을 알지 못하는 까닭이다(눅 24:27). (26.4)
 그러나 우리는 “모세에 의한 복음”을 더 자세히 살피며, 거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보좌에 이르는 길을 따라갈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요한이 설교한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요 1:29)라는 복음을, 모세 또한 똑같이 선포하고 있음을 알게될 것이다. 이것은 예나 지금이나 모든 사람을 위한 영원한 복음이며, 모든 성경의 주제이며, 구원의 복된 소식인 것이다. (27.1)
 1) “···The whole system of types and symbols was a compacted prophecy of the gospel, a presentation in which were bound up the promises of redemption.” (AA, 14).

 2) In it is illustrated the complete experience of every true Christian, his reconciliation and his justification by faith symbolized in the court, with its imputed righteousness, his sanctification by faith in the holy place as a life—long experience, with its imparted righteousness, and his glorification by faith in the most holy place, with its eternal righteousness——all are there.

 3) palanquin (일반가마), or sedan (의자식 가마).

 4) Through the sanctuary of the Old Testament, the gospel is presented in type, the New Testament presents its anti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