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 제 2부—기독교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과 일요일 제11장—종교개혁 시대의 안식일과 일요일
 요약하건대 토요일 안식일에 대한 콘스탄티노의 주장은 당시의 주요 종교 개혁자들의 주장과 달랐으며 16세기의 안식일 준수 재세례파와 19세기의 제칠일 침례교도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도들에게서나 발견되는 안식일의 중요한 개념들이었다. (212.1)
 종교 개혁 시대의 그밖의 안식일 준수자들
 종교개혁 시대의 안식일 준수자들은 유럽 대륙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흩어져 있었다. 그리하여 여기에서는 이들 전부에 대한 구체적 역사를 소개하는 대신에 유럽 대륙의 여러 지역에서 활약한 여러 안식일 준수 집단을 대표하는 몇몇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12.2)
 16세기 말경 트란실바니아에서는 안드레아스 에외씨(Andreas E6ssi)라는 한 부유한 귀족이 유대교적인 가르침에 영향을 받고 안식일 신앙 운동을 시작하였다. 에외씨는 아내와 두 아들을 사별한 후에 독자적으로 성경연구에 몰두한 끝에 토요일인 제칠일이 하나님의 진정한 안식일이라는 확신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집필활동과 그 밖의 접촉을 통해 안식일의 교리를 전도한 결과 16세기의 마지막 10년안에 토요일을 안식일로 준수하는 상당수의 집단이 발생하게 되었다.40 (212.3)
 에외씨 자신은 1600년에 죽었으나 그의 양자이면서 유능한 동역자였던 시몬 페키(Simon Pechi)등 후계자들이 계속해서 17세기초에도 안식일 교리를 전파하였다. 페키는 17세기 첫 20년간에 정치적으로도 크게 성공을 거두어 수상의 자리에까지 올랐었으나 나중에는 신임을 잃어 투옥되게 되었다. 감옥에서 지내야 했던 9년 동안에 그는 창세기 주석을 준비하였고 제칠일 안식일을 찬양하는 많은 찬미가를 작사하였다.41 그러나 그는 1638년과 1639년에 정부로부터 심한 압력을 받고 최소한 표면상으로는 제칠일 안식일 신앙을 청산하였다.42 (212.4)
 트란실바니아 안식일 준수자들에 대해 여러 가지 가혹한 탄압이 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그들의 숫자가 오히려 증가하였다. 1618년에는 한 개혁 교회 감독이 300명의 군사들을 이끌고 안식일 준수자들을 공격하여 상당수의 목사들을 체포하고 22개의 교회를 몰수하였다. 몰수된 교회 숫자만을 두고 생각할 때도 이 지역에서 안식일 준수 운동이 추진된 규모가 만만치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43 (212.5)
 1638년부터 1640년까지는 안식일 준수자들에게 대단히 가혹한 기간이었다. 신자들의 개인 재산이 몰수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감옥에 감금되어 죽을때까지 감옥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리하여 사실상 트란실바니아에서 안식일 준수자들의 세력은 크게 파괴되었고 오직 일부만이 살아남아 자신들의 신앙을 계속했다. 그러나 1668년에는 안식일 준수 운동이 재현되는 현상도 발표되었다. 아파피(Apafy) 대공은 그해 1월에 있었던 국회연설에서 “비밀스런 장치들”을 통하여 “유대주의적 신앙”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다. 그러나 2년 후에 이루어진 조사에 의하면 안식일 준수자들이 활동하고 있는 마을은 여섯 개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앞 시대의 활약상에 비교한다면 대단한 약화된 현상이라 아니할 수 없다.44 (212.6)
 1638-1640년의 박해는 트란실바니아의 일부 안식일 준수자들로 하여금 트란실바니아 지역을 떠나 안식일 신앙을 다른 지역으로까지 전파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를 계기로 하여 심지어 콘스탄티노플 같은 먼 지역에도 안식일 신앙이 전파되었다. 안식일에 대한 에외씨와 페키의 저작들도 더 멀고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213.1)
 노르웨이와 핀란드와 스웨덴에도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그룹들이 넓게 산재했다.45 후기 중세기에도 이들 지역들에 안식일 준수자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여러 차례의 가톨릭 공회의들의 적대적인 행위들을 통해서도 증명되고 있다. 1435년에 노르웨이의 베르겐에서 개최된 공회의와 그 다음 해에 노르웨이의 오슬로에서 개최되었던 가톨릭 공회의들은 토요일을 지키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46 (213.2)
 노르웨이에서도 사람들이 안식일을 준수한 증거는 루터교 신앙이 스칸디나비아에 전도된 이후의 기간에 나타났다. 1544년에 베르겐, 슈타방게르, 바르도우의 영주인 크리스토퍼 후이트펠드트(Christopher Huitfeldt)가 반포한 칙령에 의하면 “일부 주민들은 특히 아아르달(Aardal), 손(Sogn) 지역에서는 작년에 이미 경고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토요일을 지키고 있다.” 이 칙령은 토요일을 지키는 사람에게 10 마르크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47 (213.3)
 10년이 지난 1554년에 이르면 핀란드에서도 토요일을 지키는 신앙의 증거가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부스 1세 바사(Gustavus I Vasa)의 편지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그는 핀란드와 스웨덴을 포함하는 자신의 영토에 정력적으로 루터교 신앙을 확산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그가 남긴 한 서한에서 토요일을 지키는 사람들에게 즉각 그 같은 과오를 포기할 것을 명령하였다.48 (213.4)
 스웨덴에서 일어난 안식일 신앙의 증거는 좀 더 늦은 16세기 말경과 17세기의 초에 나타나고 있다. 당시 스웨덴에서는 노르웨이에서와 같이 두 가지 방식의 안식일 신앙이 존재했던 것 같다. 노르웨이에서는 그 두 방식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나있지 않으나 스웨덴에서는 뚜렷하게 그 차이가 나타나있다. 하나는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들에 의해 철저하게 유대교식으로 안식일을 준수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기독교식으로 토요일을 안식일로 준수하는 방식이었다. 이 두 번째 방식의 사람들은 자주 안식일과 함께 일요일도 지켰다.49 구스타부스 2세 아돌푸스(Gustavus II Adolphus. 1632년 사망) 국왕은 안식일 준수자들을 탄압하는 일에 힘을 많이 기울였다.50 (213.5)
 트란실바니아와 북극해 연안 국가들 이외에 네덜란드, 프랑스, 러시아 같은 유럽 국가들에서도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킨 증거들이 있다.51 그러나 그 증거의 일부는 순수한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을 준수한 증거들이라기 보다는 유대인들이 안식일을 지킨 사례들이거나 유대교로 개종한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을 지킨 경우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여러 지역에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그리스도인들이 광범위하게 존재했다는 사실은 여러자료들에 의해 명백히 뒷받침되고 있다. 청교도 운동이 일어나기 이전의 영국에도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그리스도인들이 존재했다.52 그러나 종교개혁 시대에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사람들은 어떤 의미로도 기독교 공동체의 다수를 이루지 못했고 심지어는 큰 소수파를 형성하는 일에도 성공하지 못했다. 일요일을 그리스도교의 예배일로 지키는 중세의 전통은 이 시대에도 대세를 이루어 계승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을 성실히 상고하는 진지한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하나님의 계명에 일치하는 삶을 위하여 제칠일을 안식일로 지키기로 결심하는 사람들의 상당한 집단이 유럽의 여러 지역에 존재했다. (213.6)
 요 약
 종교 개혁 시대에 주요 개혁자들은 로마 가톨릭이 세운 일요일을 계속해서 예배일로 존중하였다. 그들은 율법주의를 경계하고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를 강조하는 차원에서 유대인의 방식으로 일요일을 지키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독일과 스위스의 대부분이 일요일을 꼭 지켜야한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다. 종교적인 목적으로 일주일 중 어느 날이나 한 날을 구분해서 사용하면 그만이라는 생각들이었다. 마르틴 부처만이 그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214.1)
 스위스 서남부 지역의 종교 개혁자들은 일요일 준수 문제를 둘러 싼 가톨릭측의 도전에 일종의 딜레마를 겪어야 했다. 성경 제일 주의의 원칙에 서서 가톨릭의 옛 제도들을 거부해온 개신교의 입장이 일요일 문제에 이르러서는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교개혁시대에 안식일과 일요일 문제에서 주요 개혁자들의 한계를 넘어서려고 했던 그리스도인들이 있었다. 일부 재세례파 신자들과 같은 군소 종파 그룹들과 세빌리의 스페인 개혁자 콘스탄티노 폰체 데라 푸엔테 같은 개별적인 종교개혁자들이 성경적인 신앙을 추구하는 차원에서 제칠일 안식일의 진리를 붙들었다. 이들은 비록 단일 종파로서는 종교개혁 시대에 다수파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각기 여러 다른 종파에 소속하여 유럽의 광범위한 지역들에 퍼져 살면서 성경적인 제칠일 안식일 신앙을 지켰다.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