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챤의 결혼 언약 제 5 장 결혼 생활의 역할들 2. 머리됨과 순종의 원칙의 적용
 아버지의 적합하고 헌신적인 지도가 없는 가족은 유능한 사장이 없는 회사와도 같다. 그와 같은 가정과 회사의 조직은 쉽게 붕괴 된다. 오늘날 미국이 가장 크게 필요로 하는 것들 중의 하나는 그들의 가정에 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도덕적, 윤리적 지도를 제공하는 남편과 아버지이다. (192.2)
 (4) 부양자로서의 지도자
 봉사하는 지도자로서 남편의 중요한 역할은 아내와 자녀에게 의식주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책임이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남편에게 맡기신 신성한 의무이다.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아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딤전 5:8). (192.3)
 생계를 부양하는 것만으로 불충분하다. 보편화된 오해는 남편이 다음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처자식의 모든 필요를 채우기 위해 열심히 일해야 돼. 그들이 나에게 더 요구할 것이 무엇이 있겠어? 다른 아내들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진 아내는 불평할 이유가 없겠지.” (192.4)
 처자식의 생계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그들과 개인적인 생활을 나누고 즐겨야 하는 것을 대신할 수 없다. 아내는 남편과 결혼했지, 월급봉투와 한 것이 아니다. 많은 아내들이 가장 그리워하는 것은 월급봉투가 아닌 남편의 개인적 관심, 함께 함, 그리고 교제이다. 그들은 인정받고, 사랑받고, 함께 시간을 갖기를 애타게 기다린다. 아내에게 게을리하는 것은 아내로 하여금 그녀에게 시간과 관심을 쏟는 외간 남자에게 유혹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193.1)
 남편에 대한 베드로의 권면은 분명하다.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 귀히 여기라”(벧전 3:7). 동거한다는 헬라어의 문자적 의미는 “집에 함께 산다”(sunoikountes)이다. 친구들과 함께 외출하는 대신에 아내와 함께 단지 집에 있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어떤 남편은 집에 있되 신문만 보며 텔레비전의 오락에 정신이 빠져 아내에게 관심을 쓰지 않을 수도 있다. 가정의 머리로서 남편은 자기를 나누어 주는 지도자적 자질을 연습하여야 한다. 그는 처자식에게 분산되지 않는 집요한 관심을 쓰기 위하여 매일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와 같은 실행에서 오는 이익은 감히 평가할 수 없을 것이다. (193.2)
 (5) 훈련과 교육에 있어서의 지도자
 가정에서 머리로서의 남편은 가족의 도덕적, 영적 발전에 책임을 져야 한다. 구약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버지들에게 그들의 자녀에게 당신의 계명을 부지런히 가르쳐야 할 것을 명령하셨다. “네 자녀를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을 행할 때에든지 누웠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신 6:7). 신약에서도 유사한 권면이 아버지들에게 주어졌다. “아비들아 너희 자녀들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양과 훈계로 양육하라”(엡 6:4). (193.3)
 남편의 두 가지 “우선적인 책임”“교양과 훈계”들이다. 적절하게 고양된 교양은 자녀의 품성 발달의 기초이다. 대개의 남편들은 아내들이 남편으로 하여금 가정에서 도덕적, 영적 지도자의 기 능을 수행해 나가기를 기대하는 책임을 너무 자주 잊어버린다. 그 결과로 아내가 가정의 도덕적, 영적 필요를 위하여 더욱 신경을 써야만 하는데, 이런 일로 자녀들은 고통을 받고 결혼 생활에는 긴장감이 맴돌게 된다. 자녀들에게는 권위의 상징이요, 가정의 지도자인 아버지의 중요한 역할의 모본을 잃어버리는 아픔이 있다. 결혼 생활의 긴장은 가정의 도덕적, 영적 머리로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남편의 무능함을 탓하는 아내와, 그의 실패를 가정 밖에서 성취해 보려고 시도하는 남편 때문에 고조될 수도 있다. (194.1)
 여성주의자들이 남자의 머리됨을 반대하는 선전에도 불구하고, 크리스틴슨 부부는 지적한다. “정확히 말해서 미국 가정들을 망치는 것은 남성 권위의 부재이다.”50 우리는, 자녀의 교육과 훈련과 가족의 부양, 집의 수리, 예배의 인도, 교회와 시정(市政)에 참여하는 일에 여성들이 근본적으로 책임지는, 여자 가부장제도가 급속히 부각되는 사회에 살고 있다. (194.2)
 크리스틴슨 부부는 적절히 설명한다. “오늘날 미국 가정의 필요는 부부간의 ‘평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다. 동등은 이미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것으로 알려진 바 되었다. 필요는 머리됨이다. 만들어진 어떤 법의 보증은 없을지라도, 남편들로 하여금 가정의 머리되는 책임을 지게 하라. 그리고 아내들은 그들의 권위와 자유 아래 있도록 하라.”51 (194.3)
 (6) 제정자와 제사장으로서의 지도자
 그리스도인 아버지는 가정의 입법자요 제사장이 되는 신성한 책임을 저버려서는 안 된다. 화잇은 이 중요한 기능을 설명한다. “모든 가족들은 아버지를 중심으로 모인다. 그는 자기의 남성적인 태도 곧 힘, 성실, 정직, 인내, 용기, 근면 그리고 실제적 유용성과 같은 남성적인 덕성들을 나타내는 입법자이다. 아버지는 어떤 의미에 있어서 아침과 저녁 제사에 하나님의 제단에 기원을 드리는 가족의 제사장이다. ∙∙∙ 그는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계획을 수행하고 그의 자녀들 안에 올바른 원칙들을 확립하며 저들로 순수하고 고결한 품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나님과 협력하는 동역자이니 이는 저희가 그 자녀들로 저희의 지상의 부모에게뿐 아니라 저희 하늘 아버지에게도 순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념이 없기 때문이다.”52 (194.4)
 남편은 가족의 도덕적, 영적 발전에 대하여 근본적인 책임이 있다. 자녀들은 당연히 아버지의 도덕적 지시를 바란다. 아버지가 힘 주어 더 큰 소리를 내는 것이 권위나 지도자의 증거는 아니다. 오히려 그와 같은 언사는 아내로 하여금 남편이 더 훈련을 받았으면 하는 필요를 느끼게 할 것이다. 아버지는 부모의 권위를 기초로 봉사하게 된다. (195.1)
 남편은 아내와 자녀들 간의 문제를 살피면서 자녀들을 훈련시켜야 한다. 남편은 아내의 감정과 긴장의 원인이 되는 아이의 행동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 아버지는 아이의 도덕적, 영적 필요를 알아내기 위하여 자녀들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아버지는 가족들이 매일 예배드리는 일과 그리스도께 헌신을 새롭게 하는 일을 도움으로 가정의 제사장으로 봉사를 다하여야 한다. 가족제단은 가족의 영적 헌신의 상징적 중심이다. 예배를 드리기 위하여 온 가족을 모음으로 아버지는 그의 가족으로 하여금 지혜 와 능력을 위하여 하나님을 바라보며 하나님을 그들의 생애에 우선적으로 그리고 최선으로 모시는 법을 가르칠 수 있다. (195.2)
 맺는 말
 이미 본 바대로, 머리됨은 처자들에게 명령을 하며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필요를 공급하는 책임을 지고 돌보는 지적인 지도자를 의미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자질들을 포함한다. 사랑의 지도자—예수님의 조건 없는 희생적인 사랑으로 아내를 사랑함을 나타내 보임, 봉사하는 지도자—처 자식에게 지적이고 세련된 봉사를 자원하는 심령으로 나타냄, 경영자로서의 지도자—가정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권위를 수반함, 부양자로서의 지도자—처 자식에게 의식주뿐만 아니라 개인적 관심과 함께 함과 교제를 제공함, 훈련과 교육에 있어서 지도자—자녀들을 적절한 교양과 훈계로 양육하는 책임을 우선으로 함, 입법자와 제사장으로서의 지도자—식구들의 도덕적, 영적 향상을 책임진다. 한 마디로 말해서, 머리 됨은 처자식의 육체적, 감정적, 사회적, 지적, 그리고 영적 필요를 공급함으로 자원하여 가족을 봉사하는 것이다.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보이신 모본이며, 그것이 남편의 머리됨에 대한 본보기이다. (196.1)
 2) 실제적 순종
 아내로 하여금 남편에게 복종하라는 성서적 명령은 어떤 감정적이거나 투쟁적인 성질의 것이 아니다(엡 5:22, 24; 골 3:18; 벧전 3:1).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이 명령을 충격으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대항하기까지도 한다. 그들은 이 명령을 남성과 동등한 여성의 권리를 기본적으로 침해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을 바로잡기 위하여 여성권자들은 역할 면에서가 아닌 경력에 준한 결혼을 장려한다. 그와 같은 결혼 생활에서 “남편” 혹은 “아내”라는 이름을 빼는 것은 당연하게 여기는 것 같다. 그와 같은 배우자는 자신의 자아성취에 더 이상 이익이 없는 한 서로의 관계를 끝내려고 할 것이다. (196.2)
 아내, 어머니, 그리고 가정주부로서의 전통적인 역할은 대중매체를 통한 여성주의자들의 자유화 운동의 영향 때문에 교묘하게 사라져 간다. 돕슨(James Dobson)은 이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대중매체에서 말하는 여인상은 환상적인 큰 눈을 가지고 여성주의자로서 선전 자세를 취한 조잡한 모습이다. 오늘날 여인상은 항상 신체를 화려한 모습으로 나타내는데, 아마 그 이상일 것이다. 남자 친구가 손톱을 깨물며 근심스러운 듯 앉아 있을 때 여자는 경기용 차 안에서 사납게 소리를 지른다. 여자가 그렇게 자신만만 해 하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그 여자는 가라데를 휘두르며 한 방의 주먹으로 어떤 남자든지 격퇴할 수 있다. 그녀는 기가 막히게 권총을 잘 쏘고, 선수처럼 테니스(또는 축구)를 잘한다. 그녀는 청산유수로 연설을 한다. 분명히, 그녀는 성적 미식가로 영원한 젊음을 가지되 아픈 적이 없고 또한 실수를 범하거나 어리석게 보일 일이 전혀 없는 엄청난 행운을 가진 여자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녀는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행하여 온 요리나 재봉이나 아이를 양육하는 것에 이상할 정도로 서투른 것 외에는 만능인 것 같다. 참으로 오늘날 영화계의 여걸은 날씬한 몸매에 엉덩이에 손을 얹고 거만하게 서 있는 기이한 괴짜이다. 오, 정말로! 이 아이는 의심할 것 없이 먼 길을 지나왔다.”53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