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섬유낭포성 유방질환(Fibrocystic Breast Disease)
  • 1
 I. 설명
 
 섬유낭포성 유방질환은 여성의 유방과 관련하여 가장 일반적인 질병이다. 이것은 유방암보다 3-4배 더 흔하다. 주로 30-50대 사이에서 발생하며 내분비 계통과 연관된 질병이다. 섬유낭포성 질병은 보통 임신이나 수유기에 개선된다. 그리고 가끔 생리 바로 전에 악화된다. 대게 가임기간 동안 많이 나타나고 폐경기에는 사라진다. (244.1)
 증상은 유방에 불편한 느낌이나 또는 통증이나 민감성이 나타난다. 유방에 덩어리가 잡힐 수도 있다. 연구보고에 의하면 섬유낭포성 유방질환을 가진 자는 유방암 위험이 3배나 높다고 한다. (244.2)
 성인여자의 50%이상이 유방의 낭포성 질환을 가지고 있다. 펜실베니아의 의과대학은 요오드 부족이 섬유낭포성 질환의 일반적인 이유라고 언급했다. 호르몬 부족과 비정상적인 유즙생산(에스트로겐 호르몬의 과잉에 의해 초래되는)도 또 다른 요인이 된다. (244.3)
 섬유남포성 질환에 있어서는 딱딱하거나 또는 말랑말랑하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둥근 덩어리가 생성된다. 유방에 압통이 느껴지기도 하고 울퉁불퉁하기도 한다. 통증은 보통 생리 전에 가장 심하다. 낭포는 그 크기가 변할 수도 있다. 이 질환에서 낭포는 액체로 가득 차게 되고 섬유조직이 낭포를 둘러싸서 반혼처럼 두터워진다. 압력이 통증을 유발한다. 원래, 유방조직에서 정상적으로 생산되는 액체는 호르몬 불균형이나 비정상적인 유즙생산이 일어날 때 유방조직에 의해서 재 흡수된다. 유즙을 생산하는 선들은 유즙을 증가시키고 이것들을 지지하고 있는 섬유조직내로 이동시켜서 결국은 유방의 섬유낭포성 질환을 초래한다. 여성이 나이가 들수록 림프계는 이 액체를 완벽하게 흡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액체는 정체되고 결과적으로 유방의 염증과 낭초를 초래한다. 이 낭포들은 양성이다. (244.4)
 양성낭포는 부드럽고 자유롭게 움직입니다. 마치 눈꺼풀 뒤쪽의 안구와 같다. 암적으로 성장한 것은 보통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고 부드럽지 않으며 없어지지 않는다. 단순한 실험실 조작에서 의사는 섬유낭포성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바늘을 사용할 것이다. 바늘은 낭포로부터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245.1)
 유방 X선 사진(mammogram)은 보통 암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이용된다. 낭포의 크기를 줄이는데 primrose oil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줄 수 있다. (245.2)
 II. 예방 및 치료
 1. 민톤(John P. Minton, 콜럼버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외과 부교수) 박사의 보고에 의하면 메틸잔틴(methylxanthines, coffeine, theophylline, theobromine 등 함유)이 유방암을 일으킨다고 한다. 그는 여성들에게 권고하기를 카페인이 들어있는 식품들, 커피, 차, 콜라, 청량음료, 그리고 초콜릿 등을 사용하지 말라고 한다. 그의 보고에 의하면 3년 동안 47명의 여성들을 관찰하였는데 카페인 함유 식품들을 제거하는 식습관 변화의 결과로 65%의 여성들이 6개월 안에 증상들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하였다. 어떤 여성들은 다시 카페인 음료나 식품을 먹자 재발되기도 하였다. (245.3)
 2. 담배의 니코틴도 유방에 덩어리가 생기게 하는데 대사경로는 카페인의 경우와 좀 다르다. (245.4)
 3. 체중초과가 유방암의 원인이 되므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유방이 큰 사람은 작은 사람보다 종양 자가 검사가 더 어렵다. (245.5)
 4. 꼭 조인 브래지어나 옷을 지나치게 많이 껴입으면 유방에 충혈이 생긴다. 수족은 따뜻하게 하되 심장에서 가까운 부분은 느슨하게 적게 옷을 입도록 한다. 또한 고환에도 지나친 과열은 고환암의 위험을 70-80% 더 높게 한다. (245.6)
 5. 수분공급을 잘 조절하여 유방분비가 원활하도록 한다. (245.7)
 6. 유방 자가 검사를 적어도 3개월에 한 번씩 규칙적으로 반드시 실행하도록 한다. 예로 계절마다 그 계절의 첫날 자가 검사를 한다. (245.8)
 7. 브라이트 시(Elizabeth Bright-See) 박사의 연구 보고에 의하면 지방이 많은 식품들 곧 고기, 우유, 계란, 버터, 그리고 치즈 등을 식사에서 제거했더니 6개월 안에 좋은 결가가 나타났다. 이런 음식들은 “자살음식”이라고도 한다. (245.9)
 8. 캐나다에서 발표된 최근 보고에 의하면 우유나 계란 등 낙농식품에는 에스트로겐 함량이 높다고 한다. 에스트로겐함량이 높은 음식은 섬유낭포성 유방질환이나 유방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이런 식품들을 제하도록 제안한다. (246.1)
 9. 근본적인 회복을 위하여 모든 면에서 뉴스타트(NEWSTART) 생활을 균형 있게 꾸준하게 적용하도록 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246.2)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