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병거 제5장 하나님의 전사(戰士), 예수 그리스도
 그러므로 요한계시록 13장에서 “짐승의 정복 노력이 오직 ‘인자’의 최후 승리의 아이러니컬한 모방문일 뿐이다”고 말할 수 있다.9) 그리스도와 종말적인 적그리스도 사이의 이 묵시문학에 나오는 모방적인 대조 스타일은 요한계시록 13장에 나오는 다른 상징적인 구절에서도 반복하여 나온다. 예를 들면 짐승은 그 머리가 칼에 상해 죽게 되었지만 후에 살아났다(계 13:3, 12, 14에 세 번 언급되었음). 이 단어가 묘사하는 바는 메시야인 어린양의 실제적인 죽음과 부활을 상기시켜 준다(이것도 계 5:6, 9, 12에 세 번 언급되었음). (85.3)
 적그리스도로서의 짐승을 묘사하기 위하여 사용된 아이러니는 “땅에서부터” 나오고 또 “거짓 선지자”(계 16:13, 19-20; 20:10)라고 기술된 두 번째 짐승에 관한 짧은 프로필에서도 사용되었다. 그 짐승은 “새끼양같이 두 뿔이 있고 용처럼 말한다”(계 13:11). 마찬가지로 짐승을 경배하는 각 사람들의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짐승의 이름이나 그 이름의 수”를 받는 것은 하나님의 천사들이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의 이마 위에 찍은 묵시문학적 “살아계신 하나님의 인”과는 정반대되는 예배 의식적 표징을 시사한다(계 13:16, 17; 7:2-4). 세계는 궁극적으로 오직 두 부류로 나누어질 것이다. 즉 짐승의 표를 받은 자들과 어린양과 함께 서서 “그 이마에 어린양의 이름과 그 아버지의 이름”(계 14:1)을 가진 자들이다. 이리하여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경배하는 자들은 짐승과 그의 우상을 경배하는 자와 적대적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최후 전쟁의 근본적인 이슈는 심오한 종교적, 신학적 실체 중의 하나이다.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논쟁점은 하나님의 언약의 율법과 메시야인 예수에 대한 충성의 용어로 나타난다. “성도들의 인내가 여기 있나니 저희는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지키는 자니라”(계 14:12; 참조. 12:17). (85.4)
 신실한 그리스도인들이 겪는 최후 고난의 시기는 성경에 드러난 하나님의 뜻에 대한 그들의 충성과 하나님의 율법을 범하는 국가의 법에 대한 복종을 양심적으로 거부하는 결과로 온다. 참된 성도들의 거룩치 못한 불매운동은 다만 전능하신 하나님의 성전(聖戰)인 아마겟돈전쟁이 시작되었음을 뜻할 뿐이다. (86.1)
 3. 새 구원으로 인하여 부르는 새 노래
 이스라엘은 그들의 예배 노래에서 야훼의 전쟁들에서 거둔 승리를 하나님의 왕권과 그의 의로운 심판 행위들로서 축하하며 기념하였다. 그 최초 실례는 모세의 노래와 드보라의 노래로 알려진 것들이다(출 15장; 삿 5장). 이스라엘의 선지자들은 엑소더스와 정복을, 묵시문학적 심판의 날에 바벨론에 대하여 야훼께서 거둘 승리와 그의 최종적 승리의 원형과 모델로서 사용하였다(호 2:14, 15; 사 11:16; 27:1, 12, 13; 51:10, 11; 52:1-12; 겔 20:33-42; 렘 23:7, 8). 이사야는 특별히 애굽에 대한 과거 야훼의 승리와 앞으로 임할 바벨론의 패망 사이의 모형론적 연결성을 강조한다: (86.2)
바다 가운데 길을
큰 물 가운데 첩경을 내고
병거와 말과 군대의 용사를 이끌어 내어서
그들로 일시에 엎드러져 일지 못하고
소멸하기를 꺼져가는 등불 같게 한
나여호와가 말하노라
너희는 이전 일을 기억하지 말며
옛적일을 생각하지 말라
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사 43:16-19).
(87.1)
 선지자는 이스라엘이 누릴 미래의 해방과 과거 이스라엘의 그것과의 단순한 유추를 넘어선다. 대신 그는 하나님이 주실 미래 구원이 그의 첫번째 구원을 훨씬 더 능가한다는 점을 역설한다. 버나드 앤더슨(Bernard W. Anderson)은 “그렇다면 엑소더스(출애굽사건)는 더 심원한 구원론적(구속적인) 의미를 지니고 또 전세계적인 관련성을 갖고, 더욱 장관스러운 형태로 성취될 태초부터 말씀과 행동으로 계시된 야훼의 목적을 성취시킬 새로운 엑소더스의 ‘모형’이 된다.”10) (87.2)
 야훼의 미래 구원 행위는 이스라엘로 새로운 찬양의 노래를 부르게 할 것이다. “여호와께 구속된 자들이(유수로부터) 돌아와서 노래하며 시온으로 들어와서 그 머리 위에 영영한 기쁨을 쓰고”(사 51:11; 참조. 35:10), 미래 회복에 대한 확실성이 요지부동하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미리 여호와께 새 노래로 노래하며 땅 끝에서부터 찬송하라(사 42:10, 13절의 야훼 전쟁과의 연관성도 보라)고 격려받았다. 이 “새 노래”는 구속받은 자들의 승리의 함성이다(시 40:3; 96:1; 98:1-3; 144:9, 10; 149:1, 6-9). 이 노래는 새로운시대에 메시야 백성의 노래가 될 것이다(사 12장). 종말적인 승리의 함성은 야훼께서 이스라엘의 구원이 되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고난이 끝났다고 선언한다(2절). 이리하여 모세의 노래(출 15:2)는 갱신된다. 또 이른바 묵시문서라고 불리우는 이사야서 24-27장은 마지막 심판에서의 예루살렘의 구원을 축하하기 위하여 시온산 위에서의 만민을 위한 종말적 연회 중에 부를 새로운 노래를 예고한다(사 24:14-16). 그때 하나님께서는 악을 제압하고 하나님의 도성은 평화스러울 것이다(사 26:1-8). (88.1)
 하나님의 어린양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적 죽음은 구속사에 새로운 상황을 창출해 냈다. 그것은 하늘에서 새로운 찬송이 터져 나오게 하였다. 새로운 찬송은 우주적인 승리의 함성이 된다. 그것은 그리스도께서 그의 대적과의 대쟁투에서 십자가상의 결정적인 전투로써 이기셨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승리는 그가 열방의 의로운 왕과 심판자로서 왕위에 앉을 만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유대지파의 사자 다윗의 뿌리가 이기었으니 이 책과 그 일곱 인을 떼시리라”(계 5:5). (88.2)
(그들이)새 노래를 노래하며 가로되
“책을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시기에 합당하시도다
일찍 죽임을 당하사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
저희로우리 하나님 앞에서 나라와 제사장을 삼으셨으니
저희가 땅에서 왕노릇하리로다”
(계 5:9-10).
(88.3)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이 희생제물로 드려진 것으로 인하여 “많은 면류관”을 쓰신다(계 19:12). 이와 반대로 적그리스도는 “열 면류관”을 쓰고 있다(계 13:1).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영원한 의논(counsel)과 경륜을 집행하시는 분이 될 것이다. 어린양은 유다지파로부터 나온 사자 곧 다윗가의 전사이다. 그는 전 우주를 다스릴 신적 권위와 능력을 부여받았다(창 49:8-12; 빌 2:9-11; 행 2:36; 계 19:16). 모든 피조물이 오직 하나님께만 속한 예배와 영광을 부활하신 그리스도께 드리는 것이 무척이나 중요하다. (89.1)
내가 또 들으니 하늘 위에와 땅 위에와 땅 아래와
바다 위에와 또 그 가운데 모든 만물이 가로되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양에게
찬송과 존귀와 영광과 능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

(계 5:13).
(89.2)
 요한은 메시야적 이스라엘과 친교를 나누는 “시온산에 선 어린양”을 본다(계 14:1). 거문고 소리와 함께 메시야 백성은 하나님의 보좌와 천상 회의석상에서 감격에 찬 “새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그 노래는 그리스도의 구속을 경험한 자들에게만 제한되어 있다. “땅에서 구속함을 얻은 십사만 사천 인밖에는 능히 이 노래를 배울 자가 없더라”(3절). 어린양을 따르는 자들(4절)은 13장의 짐승을 따르는 자들과 현저하게 대조되어 나온다. 그들은 짐승과 거짓 선지자가 자기들을 대적하고자 제정한 법적 위협에도 불구하고 짐승에게 경배하기를 거절할 것이다(계 13:15-17). (89.3)
 요한은 심오한 상징적 표현으로 구속받은 자의 충성을 묘사하고 있다. “이 사람들은 여자로 더불어 더럽히지 아니하고 정절이 있는자라”(계 14:4). 구약성경은 언약의 백성을 야훼의 신부 혹은 “아내”로 자격을 부여하고(사 54:5, 6; 호 2:16, 19, 20). 신약성경은 그 언약 백성을 그리스도의 신부 또는 처녀라고 말한다(고후 11:2). 결과적으로 성경은 종교적 배도를 음란 또는 간음이란 상징으로 묘사한다(겔 16장; 계 2:20-22을 보라). 요한은 바벹론을 “예수의 증인들의 피에 취한” “음녀들의 어미”로 묘사한다(계 17:5, 6). 이 근거 위에서 메싱버얼드 포드(Massyngberde Ford)는 “십사만 사천 인이 여자 음녀들과 더럽혀지지 않았다는 것은 그들이 자신들을 짐승의 경배에 바치지 않았다는 점을 뜻한다”고 결론 짓는다.11) 그들이 부르는 새 노래는 끝까지 어린양을 따라간 종교적 경험을 감동적으로 증거하여 준다. 그들은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승리를 자신들의 승리로서 공개적으로 주장하였다. (90.1)
여러 형제가
어린양의 피와
자기의 증거하는 말을 인하여 저를 이기었으니
그들은 죽기까지
자기생명을 아끼지 아니하였도다(계 12:11).
(90.2)
 승리한 교회(church triumphant)는 영원히 하나님의 구속과 심판의 행위들을 찬양할 것이다. (90.3)
 또 내가 보니 불이 섞인 유리바다 같은 것이 있고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벗어난 자들이 유리 바다가에 서서 하나님의 거문고를 가지고 하나님의 종 모세의 노래 어린양의 노래를 불러 가로되 (91.1)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시여
하시는 일이 크고 기이하시도다
만국의 왕이시여
주의 길이 의롭고 참 되시도다
주여 누가 주의 이름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며
영화롭게하지 아니하오리이까
오직 주만 거룩하시니이다
주의 의로우신 일이 나타났으매
만국이 와서 주께 경배하리이다(계 15:2-4).
(91.2)
 각 시대의 교회와 사단 사이에 있는 싸움의 최종적 결과가 요한계시록15장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마지막 때의 물과 불의 시련을 통과할 것이지만 하나님께서는 교회를영원히 구원하실 것이다. 고대 이스라엘이 홍해를 무사히 지나고나서 구속자와 전사로서의 야훼를 찬송하였듯이 남은 자들의 교회도적그리스도의 마지막 시련을 안전하게 통과하고 나서 옛 이스라엘과함께 “어린양의 노래”(3절)를 부르는 일에 참여할 것이다. 어린양은 자기의 속죄케 하는 희생을 통하여 만인을 사단과 죄 그리고사망으로부터 해방시키기에 모세보다 훨씬 더 위대하다. (91.3)
 승리한교회에 대한 요한의 이상은 오늘날의 전투하고 있는 교회(church militant)로 하여금 끝까지 인내로 믿음의 “선한 싸움”을 싸우게끔 북돋아준다. (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