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은 남성들과 달리 임신과 출산 그리고 수유 등과 같은 특별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래서 예상하지 못했던 응급사태들이 많이 일어나기도 한다. 다음 소개되는 내용은 서양에서 사용되는 처방이라 우리에게 익숙하지 못하는 약초들이 많이 나온다. 그러나 어떤 경우라도 자연치료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있다는 것을 보게 된다. 대개 약초들은 올바르게 사용하면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일반적인 약물치료보다는 좋다. 임신 중에는 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대부분 알고 있고 되도록 투약을 피하고자 하기 때문에 다음 제안들은 매우 유익하다. (219.1)
그리고 모든 경우에 뉴스타트(NEWSTART)를 적절하게 적용하고 손과 발과 목을 항상 따뜻하게 한다. 출혈 이 외의 경우에는 원적외선 온열치료를 30분 이상 하고 잠자리를 따뜻하게 한다. 자연 건강식으로 영양균형을 얻는데 현미밥과 청국장 가루를 먹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219.2)
II. 예방 및 치료
* 섬유낭포성 유방질환: 무명 브래지어를 착용한다. 한 달 안에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다. 커피를 금하고 카페인이 들어있는 식품(초콜릿)과 음료(차, 콜라, 청량음료)를 제거한다. (220.1)
* 유산: 무통 출혈 상태에서 유산 위험이 있는 경우 블랙호(black haw)와 가성단각(false unicorn)을 각각 2T(테이블 스픈)를 5컵 반 정도의 물에 넣어 30분 동안 끓인다. 불에서 꺼낸 다음 꿩다리아재비(blue cohash)와 유럽 나무딸기 잎(red raspberry leaf) 차를 각각 1T씩 넣는다. 물을 짜내어 3-4시간 간격으로 한 컵씩 마신다. 한 환자의 경우 20분 안에 위축이 풀리기도 하였다. 이미 손상을 받은 난자는 유산된다. 유산 후 출혈에는 쥐손이풀(cranesbill) 차 1T를 끓는 물 1컵에 타서 마신다. (220.2)
* 분만지연: 분만 촉진을 위하여 꿩다리아재비(blue) 차를 사용하고 다음 블랙 코호시(black cohash) 차를 사용한다(squaw root(인디안 여성을 위한 뿌리)-자궁수축에 좋고 과절과 근육에도 도움이 된다). (220.3)
* 폐경기: 블랙 코호시 1/2, 구주좀목형(chaste tree) 1, 가성단각(false uicorn) 1, 감초(licorice) 1 비율로 끓는 물 5컵 반에 타서 3-4시간 간격으로 1컵씩 마신다. 블랙 코호시(black cohash)는 월경을 촉진하고 호르몬의 균형 그리고 지혈에 도움이 된다. 구주좀목형은 높은 에스트로겐 작용이 있어서 성욕을 다스린다. 이것은 황체형성 호르몬(LH)과 난포자극 호르몬(FSH)을 자극하여 프로게스테론(항체호르몬)을 정상화시키는데 가장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월경을 쉽게 하고 호르몬 균형을 가져온다. (220.4)
*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 구주좀목형(chaste tree) 1T, 민들레뿌리(PMS를 위한 아주 좋은 이뇨제) 1T, 꿩다리아재비 1T, 에키네시아(echinacea) 3T를 물 5컵 반에 넣고 25분 동안 끓인 후에 골무꽃(skulcap) 2T를 섞어 20분을 지난다. 조금씩 나누어 하루에 다 마신다. 처음에는 한 달 내내 마시는데 증상이 사라지고 상태가 좋아지면 더 이상 약초차를 마시지 않는다. 다시 증상이 나타나면 그 때는 증상이 나타나는 때만 약초차를 마신다. 감초뿌리는 에스트로겐 성분이 있어서 월경불순에는 좋으나 월경 전 증후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블랙 코호시(black cohash)는 부자연스러운 에스트로겐을 막아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PMS와 유방암에 좋다. (220.5)
* 방광염: 부추(buchu)는 비뇨생식기 관을 완화하고 월귤나무(uva ursi)는 비뇨생식기 관의 방부제 역할을 한다. (220.7)
* 유섬유종(fibroids): 구주좀목형(chaste tree) 1T를 물 5컵 반에 넣고 25분 동안 끓인다. 유섬유종이 사라질 때까지 매일 마신다. 지방제거 음식을 먹는다. 온(5분) 냉(1분)의 온랭교차좌욕을 30분 동안 적용한다. (221.1)
* 월경불순: 어머니 풀(mother wort) 2T를 끓인 물 2컵 반에 타서 30분 지난 다음에 하루 동안 통증이 있을 때마다 마신다. (221.2)
* 월경불순과 근육통: 싱싱한 생강 몇 개(450g)를 잘게 썰어 물 4-6컵에 넣어 생강차를 만든다. 마시기도 하고 온수 욕조에 타서 30분 정도 입욕을 하면 숙면을 할 수 있다. (221.3)
* 누공(fistula): 출생부터 직장과 질 사이 또는 직장과 회음부 사이에 구멍이 난 상태를 말한다. 골든 씰(golden seal)과 쥐손이풀(cranesbill)과 월계수 껍질(bayberry bark)을 따뜻하게 데운 코코아 버터에 섞어 좌약을 만든다. 열기가 가신 다음 누공 크기로 좌약을 만들어 냉장고에 넣어둔다. 좌약을 질과 직장의 누공부분에 넣어 부착한다. 회음부에는 따듯한 반죽을 작은 패드에 발라서 하루 종일 붙인다. 누공은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에도 생길 수 있다. (221.4)
* 임신: 골든 씰은 경련이나 불편함이 없으면 임신 중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급성상태에서는 사용하기도 한다. 부작용은 없다. (221.5)
* 메스꺼움: 임신 중이나 멀미 또는 감염 증상이다. 박하 추출물이 좋다. 증상이 나타날 때 박하 액을 손가락에 묻혀 혀에 대면 수분 안에 중상이 사라진다. 엉겅퀴 씨앗 2T를 물 2컵 반에 넣어 20분 동안 다려 마시기도 한다. (221.6)
* 통증: 야생 상추, 흰 버드나무 껍질, 쥐오줌풀(valerian root)을 같은 분량으로 섞어 1T를 물 1컵에 넣고 끓인 후에 30분 정도 우러나게 한 후에 1시간에 1컵 정도 마신다. (221.7)
* 갑상선 기능항진: 자난초(bugle weed)가 좋다. 이것은 산사나무 일종인 호똔 베리(hawthorne berry)와 어머니 풀과 함께 심장에 좋다. (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