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버거병(Buerger's Disease)
  • 1
 I. 설명
 
 버거병은 혈관 벽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폐색성 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이라고도 한다. 혈액에 반 고체화된 덩어리가 생기는 응괴(clot)가 형성되고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흉터가 나타나면서 결국 혈관을 막게 된다. 발 부분에 먼저 나타나고 점차 손의 혈관으로 번져서 마침내 온 몸에 퍼진다. 초기 단계의 증상으로는 손발이 항상 차갑다는 것이다. 그리고 감각이 없고 쑤시고 또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발은 장시간 내려놓고 있으면 청색으로 바뀌기도 한다. 레이노병,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괴저(gangrene)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세포나 근육조직이 위축되기 때문에 발의 크기가 줄어들기도 한다. (202.1)
 유대인들에게 발병률이 가장 높지만 또한 동양인들에게도 흔하다. 미국에서는 여성 한 명에게 발병하면 남성은 75명에게 발병한다. 모든 계층의 연령층에 나타나지만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연령층은 20-45세 사이이다. 미국의 경우 버거병 발병률이 감소 추세이다. 버거병은 질병의 활동 상태와 정지 상태가 번갈아가며 나타난다. 담배를 계속 피우게 되면 필요에 따라 양 다리를 절단해야 할 때도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양 손도 절단하게 된다. (202.2)
 II. 예방 및 치료
 1. 어떤 형태의 담배라도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며 질병이 퍼지도록 한다. 비 흡연자에게는 버거병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03.1)
 2. 혈액의 응고가 증가되는 것은 질병의 발생을 예고하는 것이다. 저 지방 음식을 먹으므로 혈액이 탁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양파는 혈액응고를 줄이는데 유익하다. (203.2)
 3. 옷을 따뜻하게 입도록 하며 특히 사지부분을 잘 보호하도록 한다. 혈액순환의 균형을 유지하려면 팔과 다리 부분을 몸통부분보다 더 따뜻하게 보존해야 한다. 오한이 일어나면 혈관이 수축되고 증상이 악화된다. 겨울에는 장갑을 착용하고 두툼한 양말을 신도록 한다. (203.3)
 4. 신경과민은 종종 통증을 악화시킨다. 운동은 스트레스를 중화시키고 아울러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운동은 매일 실행해야할 일과 중의 하나이다. (203.4)
 5. 사지는 감염이나 상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하며 맨발로 걷지 않도록 한다. 환부가 빨리 치료되지 않으며 혈액순환 감소로 회저(gangrene) 현상이 악화된다. (203.5)
 6. 일반적인 강장효과를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2T와 물 1/2컵/매 끼니)를 식후에 먹는다. (203.6)
 7. 매일 30분-1시간 정도의 일광욕을 한다. (203.7)
 8. 전 존재적인 인간회복을 위하여 NEWSTART 천연치료를 성실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203.8)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