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속의 예수 그리스도 제 1 부 창세기 속의 예수 그리스도 창세기 4장 그분은 순교하신 의인이십니다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는 숫자는 성경에서 칠십 이레라는 말 속에서 발견이 된다. 이것은 매우 흥미 있는 사실이다. 하나님은 칠십 이레 동안의 은혜의 기간을 이스라엘 민족에게 허락하셨고, 그 시기 마지막 부분에 온 인류의 죄악을 용서하고 영원한 의의 시대를 여는 메시아 예수님을 인류에게 주셨다(단 9:24). 메시아는 죽음을 통해 영원한 의를 이루고 짐승을 제물로 드리는 제사를 폐하고 온전한 구원의 근원이 되셨다(단 9:26-27; 히 5:9). (51.1)
 생명은 여자의 후손 계보에 있다
아담이 다시 자기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아들을 낳아 그의 이름을 셋이라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이 내게 가인이 죽인 아벨 대신에 다른 씨를 주셨다 함이며 셋도 아들을 낳고 그의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으며 그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창세기 4:25-26).
(51.2)
 가인의 계보. 창세기 4:16-24는 가인의 계보이다. 이 계보의 특징은

   (1) 물질문명에 기여한 업적을 기록했다. 가인의 계보는 대홍수 전의 시대가 미개한 사회가 아닌 문명 사회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건축술(에녹), 수공예(장막, 야발), 축산(야발), 예술(유발), 제철(두발가인) 등을 본문에서 볼 수 있다. 인류는 일천년 가까운 수명을 누리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탁월한 지혜로 문명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않고 물질과 무력을 우상으로 섬겼던 그들은 대홍수 때 그들이 의지하던 모든 것과 함께 흔적도 없이 멸망을 받았다.

   (2) 가인의 계보는 창세기 5장에 나오는 아담의 계보와 달리 출생과 사망에 관한 연대기적 기록이 없다. 죄인은 아무리 찬란한 업적을 남긴다고 해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다. ‘너희는 인생을 의지하지 말라. 그의 호흡은 코에 있나니 수에 칠 가치가 어디 있느뇨.’(사 2:22) (51.3)
 가인의 계보는 영원히 멸망하지 아니할 계보, 멸망의 계보가 아닌 생명의 계보를 고대하게 한다. 이 계보는 여자의 후손의 계보이다. 가인의 계보 바로 다음에 그 계보를 소개하는 셋과 에노스의 기사가 나오고 창세기 5장에 아담의 계보가 나온다. (51.4)
 여자의 후손 계보가 이어지다. 가인이 아벨을 죽인 것은 여자의 후손과 뱀의 후손 사이의 싸움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가인은 장자였지만 최초의 살인자가 됨으로 원복음에 약속된 여자의 후손이(창 3:15)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52.1)
 하나님은 아벨 대신에 셋을 주셨다(창 4:25). 셋의 계보는 가인의 계보처럼 물질문명을 이룩한 것에 대한 기록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계보의 특징은 ‘그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는 짤막한 말로 요약이 되었다(창 4:26). 물질 중심의 가인 가문과 하나님 중심의 셋 가문이 대조되어 있다. (52.2)
 창세기에서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제단을 쌓고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을 가리킨다.9 자기 과시와 자기 행위를 하나님 앞에서 자랑하려는 정신은 예배의 본질에서 벗어난다. 그들은 순교자 아벨의 정신을 물려받아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를 드렸다. 진정한 예배의 정신을 간직한 셋의 계보를 통해 메시아가 이 땅에 오실 것이다.창 4:26; 5‘그 위는 에노스요 그 위는 셋이요 그 위는 아담이요 그 위는 하나님이시니라.’(눅 3:38) (52.3)
 참고 문헌
 1. 창 4:3-5‘민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Richard E. Averbeck, ‘מִנְחָה,’ NIDOTTE, 2:979-980쪽에서 발견할 수 있다.

 2. 알다(창 3:7; 4:1), 원하다(창 3:16; 4:7), 다스리다(창 3:16; 4:7), 쫓아내다(창 3:24; 4:14), 에덴 동쪽(창 3:24; 4:16). Victor P. Hamilton, Handbook on the Pentateuch, 2nd ed.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2005), 58쪽.

 3. 히브리서 11:3-11은 강조하기 위해 pi,stij(피스티스)의 여격(dative)인 πίστει(피스테이) ‘믿음으로’라는 말로 문장을 시작한다. 하나님께 가납되는 사람은 믿음으로 사는 사람이다. William L. Lane, Hebrews 9-13, WBC, 330쪽.

 4. 창 4:1, ‘아담이 그의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임신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가인’(קַיִן 카인)의 이름은 ‘얻음’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비슷한 발음을 뜻의 기원으로 삼는 유음법(類音法, assonance)에 따른 것이다. ‘내가 (남자를) 얻었다’를 뜻하는 ‘카니티’(קֵנִיהַי)의 ‘카나’(קֵנִהַ 얻다, 획득하다, 창조하다)에서 기원한 것으로 본 것이다. ‘가인’의 어원인 qyn(קין)은 ‘(쇠를) 단조하다, forge’는 뜻을 갖는다. 가인의 후손인 두발가인은 이름의 의미대로 철을 다루는 기술자였다. ‘קַיִן’TWOT 2017.

 5. D. A. Carson, “Genesis 4:1-16,” New Bible Commentary: 21st Century Edition, 4th ed. (Leicester, England;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4).

 6. Greidanus, 앞의 책, 90쪽.

 7. Reyburn, 앞의 책, 118쪽.

 8. Mathews, 앞의 책, 289쪽.

 9. 아브라함, 창 12:8; 13:4; 21:33. 이삭, 창 26:25.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