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미각소실(Loss or Change of Taste)
 I. 설명
 미뢰(taste buds)는 미각의 수용체 표면을 갖는 미각신경의 미세한 종말기 중의 하나로 둥근 모양의 세포이며 혀의 상부 표면에 집중되어 있다. 혀에 있는 감각 신경은 온도, 통증, 그리고 압박에도 반응하며 이 모든 것들이 또한 음식의 맛에도 영향을 준다. 후각과 미각은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어서 미각 상실과 후각 상실을 따로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미각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들은 임신, 호르몬의 변화 등이 있으며 신경 장애나 구강 장애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182.1)

 II. 원인
 1. 벨 마비(Bell's Palsy): 안면신경 염증으로 발생하며 얼굴 한편이 갑자기 감각을 잃고 마비가 된다. 증상은 미각의 변화이다.


 (183.1)
 2.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짙은 점액질이 기관지를 막아서 생기는 기관지의 만성적 확장으로 증상은 악취 호흡, 기침 발작, 점액 및 농성 물질의 객출 등이며 구강에 악취가 나게 한다. (183.2)
 3. 암(cancer): 구강이나 위장의 암은 미각에 영향을 주어 불쾌한 맛을 느끼게 한다. 뇌종양은 미각 신경을 압박하여 맛을 잃게 한다. (183.3)
 4. 항암치료(cancer therapy): 약물 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에 손상을 받은 미각이 회복되는 데는 몇 개월이 걸린다. (183.4)
 5. 위염(gastritis): 만성 위염은 구강의 신맛, 식욕 상실, 그리고 복부 부종을 일으킨다. (183.5)
 6. 치은 염증(gum inflammation): 잇몸에 생기는 염증은 박테리아가 치아에서 음식 분자들을 분쇄시킬 때 형성되는 치석에 의하여 발생한다. 치은에 쉽게 피가 나고 때때로 입에서 악취가 난다. (183.6)
 7. 두통(headaches): 편두통은 미각과 후각을 막히게 할 수 있다. 증상은 시력 장애, 오심, 구토, 그리고 격렬하게 고동치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184.1)
 8. 임신(pregnancy): 임신 첫 3개월 동안에 호르몬 변화가 오면서 특정 음식에 대한 갈망이 생기고 다른 음식은 역겨워진다. 임신 중에는 진흙이나 전분과 같은 부자연스러운 음식을 먹고 싶어 하는 욕구가 생기는데 이것을 이미증(異味症)이라고 한다. 아마도 이것은 부족 되는 영양을 채우려고 하는 요구일 것이다. (184.2)
 9. 호흡기 감염(respiratory infections): 감기나 상부 호흡기 감염은 일시적으로 입맛을 잃게 하는 가장 흔한 이유이다. 감기와 함께 나타나는 코의 충혈은 입맛을 감소시킨다. 호흡기 감염은 또한 목과 입 안쪽에 염증을 일으켜 입맛을 손상시킨다. 유행성 감기도 유사한 영향을 준다. (184.3)
 10.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자가 면역 병으로 구강의 타액선, 눈의 누선, 그리고 호흡기계의 점액질을 분비하는 선 등과 같은 외분비선의 파괴를 일으킨다. 증상으로는 구강 건조증을 일으켜 입맛을 감소시킨다. (184.4)
 11. 혀 장애(tongue disorders): 혀의 궤양이나 설염은 입맛을 손상시킨다. 원인은 일부 비타민 부족으로 오는 톱니처럼 부러진 치아로 나타나는 자극 또는 빈혈, 혀의 손상이나 알레르기 그리고 갑상선 기능 저하와 같은 전신에 나타나는 상태로 생기는 혀의 부종과 돌출 등이 있다. (184.5)
 12. 치통이나 농양(toothaches and abscesses): 치료하지 않은 치아 부식은 치아의 표면에서 내부 구조로 발전하여 통증을 일으키고 농양을 형성시킨다. 농양이 아직 없는 때에도 치아 부식은 구강의 악취와 미각 소실을 일으킨다. (184.6)
 13. 반상 구협염(Vincent's angina or trench mouth): 편도선, 인두, 구강의 점막 궤양과 위막(僞膜)의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병으로 간균과 나선상 균이 원인이 된다. 이 병은 구강염을 일으키며 치아 사이의 조직의 회저(壞疽)나 죽음을 가져온다. 증상으로는 통증과 치은 출혈 등이 있고 감염 부위에 회색 막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구강에서 악취 호흡이나 입맛을 가져온다. (184.7)
 III. 예방 및 치료 (184.8)
 1. 매 식후에 양치질을 하고 매일 1회 치실을 사용한다. (184.9)
 2. 매년 2회 구강 검사를 하여 치은 질환이나 치아 부식을 예방한다. (18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