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에 나타난 구원 제 1 장 시편의 종교적 의의
“내가 너희를 다 가리켜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의 택한 자들이 누구인지 앎이라 그러나 내 떡을 먹는 자가 내게 발꿈치를 들었다 한 성경을 응하게 하려는 것이니라∙∙∙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심령에 민망하여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리라 하시니”
(요 13:18, 21).
(33.4)
 예수께서는 다윗이 여호와께 호소했던 시편 41편을 인용하셨다. (34.1)
“나의 신뢰하는 바 내 떡을 먹던
나의 가까운 친구도
나를 대적하여 그 발꿈치를 들었나이다”
(시 41:9)
(34.2)
 다윗이 당한 역사적인 배신의 경험 속에서(삼하 15:12, 31 참조) 메시아가 당할 경험의 한 표상을 보신 것은 그리스도의 놀라운 통찰력이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사명이 다윗 왕이 경험했던 것보다 훨씬 더 힘든 고난이요. 간악한 배신의 하나가 될 것임을 알고 계셨다. 또한 시편 69편에서는 당신의 사명이 한없는 증오로 인해 거절당하게 되심을 깨닫고 계셨다. 여기 하나님께 올리는 다윗의 호소가 있다. “무고히 나를 미워하는 자가 내 머리 털보다 많고 무리히 내 원수가 되어 나를 끊으려 하는 자가 강하였으니 내가 취치 아니한 것도 물어 주게 되었나이다”(시 69:4). 예수께서는 유대 지도자들에 의하여 당하는 당신의 미움과 핍박의 경험을 일찌기 다윗이 당한 증오의 연장으로 해석하셨다. 당신의 메시아적 이적이 거절당한 후 예수께서는 시편 69편 4절을 들어 호소하셨다. (34.3)
 “내가 아무도 못한 일을 저희 중에서 하지 아니하였더면 저희가 죄 없었으려니와 지금은 저희가 나와 및 내 아버지를 보았고 또 미워하였도다 그러나 이는 저희 율법에 기록된 바 저희가 연고 없이 나를 미워 하였다 한 말을 응하게 하려 함이니라”(요 15:24, 25). (35.1)
 다윗의 고통을 엮은 이 시편들은 메시아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 듯 보였지만, 예수께서는 이 편린들 속에서 보다 깊은 “성취”가 필요한 신학적 의미를 인지하셨다. 그리스도께서는 또한 후일의 영광을 말씀하심으로 당신의 비천한 사명 저 너머에 시편들이 고난과 핍박의 왕에게 제공하는(시 2:2, 7-9, 12; 22:1, 2, 22-28; 89:38-51, 26-29 참고) 우주적 영화를 내다보셨다. 시편은 고난을 통해 영광에 이르는 왕의 전형적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스라엘의 이 왕의 시가 당신 자신에게 메시아적으로 적용되는 것임을 이해하신 최초의 분이셨다. (35.2)
 시편과 그리스도인
 어느 학자는 시편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35.3)
이 책은 유대인들보다도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한층 더 높이 평가되고 있다. 만일 그리스도인들에게 구약 성경 중에서 오직 한 책만 소유하도록 허락된다면 그 들은 거의 확실히 시편을 택할 것이다.8
(35.4)
 하나님께서는 시편에서, 당신의 백성들이 오직 겸손과 고난의 방법으로만이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하늘 왕국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가르치고 계신다. 참으로 죽음의 그림자가 깃드는 골짜기, 애통과 무기력의 심저에서만이 그들은 하나님의 인격적인 자비를 보다 확실히 경험하는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고통이란 하나님의 분노 이상의 어떤 의미를 지니며, 하나님과 갖는 친밀한 관계의 경이로움을 알게 하는 하나의 기회가 되는 것이다(시 23 참고). 하나님과 갖는 이같은 영혼의 교통이 다윗에게는 너무나 생생했으므로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주의 인자가 생명보다 나으므로 내 입술이 주를 찬양할 것이라”(시 63:3). 거의 모든 시편이, 경배하는 자에게, 하나님께서는 압제당하는 자를 기억하시며, 도움을 구하는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그 기도에 응답하실 뿐만 아니라, 탄원하는 자를 구원하실 것이요, 거짓 참소자로부터 믿는 자를 옹호하시며, 당신을 믿는 자들에게 피난처가 되실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더우기 고난으로부터의 해방 그 이상의 것으로써 그분의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은혜를 증거함으로 말미암아 거룩한 해방자의 업적을 높이고 그분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도록 하는 소명이 주어진다. 이는 하나님이 주시는 구원을 위한 깊은 고난의 의미로 보여진다(시 22; 118).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현재와 미래의 구원되시는 하나님이시다. (36.1)
 시편은 거의가 야훼 하나님을 위한 이스라엘의 국가적 예배를 위해 지어졌거나 그 언약의 백성의 역사 속에서 야훼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행적을 찬양하기 위한 정한 절기의 기도서로 채택되었다. (37.1)
 한번은 제자들이 예수께서 당신의 아버지께 친밀히 드리는 기도를 무심히 듣고 너무 깊은 감명을 받은 나머지 주님께 이렇게 요청하게 되었다. “주님 우리에게도 기도를 가르쳐 주옵소서”(눅 11:1). 기도가 비록 우리 영혼의 자연 발생적 기능이라고 하지마는 천성적으로 우리는 어떻게 기도해야 할 것인지를 알지 못하고 있다. 우리 마음의 희망와 소원은 효과적인 기도가 되지 못하느니! 우리는 하나님의 마음에 어떻게 접근해야 되는지, 하나님께서 우리를 경청하심을 어떻게 확신하는지도 모르고 있다. 우리는 기도하는 법을 배워야만 한다. 어린아이는 엄마와 아빠가 그에게 말을 하기 때문에 언어를 배우게 된다. 부모의 어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우리도 하나님께서 당신의 언어로 우리에게 말씀하고 계시므로 하나님께 말씀드리는 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성경 가운데 다윗, 아삽, 모세, 그리고 그리스도의 마음에 영감을 주셨던 그 기도 방법을 통하여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37.2)
 본회퍼(Bonhoeffer)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37.3)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드리되, 우리 마음이 거짓되고 혼잡한 언어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말씀하신 맑고 분명한 언어로 해야만 하며, 이 때에야 비로소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기도를 기꺼이 들으신다.9
(37.4)
 시편은 성경의 기도서이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 자신이 무엇을 기도하기 원하는가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당신의 사랑하는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기를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를 배우게 된다. (38.1)
 신약 성경의 누가복음 1장 46~55, 67~69절에 나오는 마리아의 송영(Magnificat)과 사가랴의 송영(Benedictus)은, 이스라엘의 찬송이 메시아의 약속들의 현재적 성취를 인하여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데 적용되었음을 보여 준다. 시편은 또한 사도 교회에 있어서도 예배의 필수 부분을 이루었다. (38.2)
“그리스도의 말씀이 너희 속에 풍성히 거하여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마음에 감사함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고”(골 3:16).
(38.3)
 거룩한 노래를 부르는 일은 “영적 진리를 마음에 감동케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무겁게 짓눌려서 거의 절망에 빠지려는 심령이, 오랫동안 잊어버렸던 아이 적에 부른 노래의 문구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기억을 돌이 키고, 그로 인하여 유혹은 힘을 잃고 인생의 새로운 의의와 목적이 생기고 용기와 즐거움을 다른 사람에게까지 나누어 주게 된 실례가 얼마나 많은가 ! ∙∙∙ 종교적 행사의 일부로서 노래를 부르는 것은 기도를 드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배의 행위인 것이다.”10 (38.4)
 성경 마지막 책에는 하나님의 보좌를 둘러싼 하늘의 영광이 잠시 나타난다. 하늘 천사들이 존경과 감사의 찬미를 부르고 있다(계 4, 5장). 하늘의 주음(主音)은,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며 그분께서 당신의 모든 피조물들을 위해 무엇을 하셨는가에 대한 하나님 찬양의 노래이다. (39.1)
 〈참고 문헌)

 1. Luther’s Works(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vol. 35, pp. 255, 256.

 2. See J. H. Patton, Canaanite Parallels in the Book of Psalms(Baltimore: J. Hopkins Press, 1944); J.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Texts, 3d ed., pp. 573~591.

 3. The Psalms, 11th ed.(London: Soncino Press, 1974), p. xili.

 4. The Psalms: Their Structure and Meaning(London:Herder, 1965), pp. 4, 5(italics supplied).

 5. Patriarchs and Prophets(Mountain View, Calif.: Pacific Press, 1913), p. 642.

 6. Ibid., p. 754.

 7. Life Sketches of Ellen G. White(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1915), p. 258.

 8. John R. Sampey,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Grand Rapids, Mich.:Eerdmans), vol. 4(1915), p. 2487.

 9. Psalms: The Prayerbook of the Bible(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70), p. 11.

 10. Ellen G. White, Education(Mountain View, Calif.: Pacific Press, 1942), p. 168.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