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와 기록 시기와 서언에 대한 문제들에 관하여는 D. A. Carson, D. J. Moo, and L. Morris,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135-179; G. R. Beasley-Murray,
John, xxxii-xcii; D. Guthrie,
New Testament Introduction, 252-283, 297-303; 그리고 F. D. Nichol, ed.,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5:891-894를 보라.
2. 제4 복음의 신학에 관하여는 G. R. Beasley-Murray,
Gospel of Life; G. E.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13-310; L. Morris,
New Testament Theology, 223-286을 보라.
3. 이 복음서의 목적에 관하여는 P. S. Minear,
“The Audience of the Fourth Evangelist,” 247-264를 보라.
4. 사복음서의 상호 관계에 관하여는 F. D. Nichol, ed.,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5:190-234를 보라.
5. 예수의
“왕국” 개념의 사용에 관한 면밀한 연구는 G. E.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45-134에서 볼 수 있다.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