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요한복음 서문 서론-요한복음
 요한복음에 나타난 “현재적 종말론”(“present eschatology”)의 중요성은, 신약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해 볼 때, 미래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는 사실에 의해 또한 강화되고 있다. 비록 요한이 종말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분명히 깨닫고 있었지만(5:28, 29; 14:1-3), 마태복음 24장25장, 마가복음 13장, 그리고 누가복음 21장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미래의 사건과 재림에 관한 설교가 그의 복음서에는 없다. 데살로니가후서 2:1-12이나 요한계시록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미래 사건에 관한 개요가 없다. 제4 복음의 초점은 예수께서 현재 가능하게 하신 생명의 종말적인 중요성에 맞춰져 있다. (32.1)
 성령의 봉사
 사복음서 중에 제4 복음은 성령의 역할을 유독히 강조하는 면이 두드러진다. 비록 이 복음서의 초반에서 성령은 거의 스쳐 지나가며 언급되고 있지만(1:32, 33; 3:5-8, 34; 4:23, 24; 6:63; 7:39), 성령의 역할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는 고별 강연(14-16장)에서 나타난다. 성령은, 예수께서 지상에서 계시는 동안 그의 제자들을 위하여 행하셨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보냄을 받는다. (32.2)
 예수께서는 떠나셔야 하지만 그의 제자들을 고아로 내버려두지 않으실 것이다. 그는 성령을 통하여 그들에게 오실 것이다(14:16-18). 제자들은 진리(14:6)이신 예수를 잃어버리게 되지만, 진리의 성령을 얻게 된다(14:17; 15:26; 16:13). 그들은 예수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을 잃어버리지만, 성령을 통하여 그것들을 다시 “들을” 것이다. 예수처럼 성령도 아버지로부터 나오시며(3:34, 35; 13:3; 참고 5:26), 하늘에서 내려오시고(3:13; 참고 1:32), 장래 일을 알려 주신다(4:25, 26; 비교 16:13). 그러므로 성령은 예수께서 교회로부터 떠나 계실 동안 그분의 완벽한 대역이 되신다. 예수의 말씀의 능력이 새 세대에게 생명을 가져다주는 것은 바로 성령을 통해서이다. (32.3)
 요한복음의 개요
 I. 서언(緖言): 예수의 사명 (1:1-18)

 II. 예수의 지상 봉사 (1:19-12:50)

   A. 예수의 봉사의 시작 (1:19-51)

      1. 침례자의 증언 (1:19-34)

      2. 침례자의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옴 (1:35-51)

   B. 가나에서 가나까지 (2:1-4:54)

      1. 가나에서의 첫 번째 이적 (2:1-11)

      2. 예루살렘에서의 사건들 (2:12-25)

      3. 니고데모와의 대화 (3:1-21)

      4. 침례자 요한의 역할 (3:22-30)

      5. 예수의 역할 (3:31-36)

      6.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 (4:1-42)

      7. 예루살렘에서의 사건들 (4:43-45)

      8. 가나에서의 두 번째 이적 (4:46-54)

   C. 예수와 유대의 절기 (5:1-10:42)

      1. 베데스다 연못 (5:1-47)

      2. 유월절의 생명의 떡 (6:1-71)

      3. 초막절의 위기 (7:1-8:59)

      4. 소경으로 태어난 자 (9:1-41)

      5. 선한 목자 (10:1-21)

      6. 수전절 (10:22-39)

      7. 공적 봉사의 종결 (10:40-42)

   D. 예수께서 죽음을 향해 나아가심 (11:1-12:50)

      1. 나사로를 살리심 (11:1-44)

      2. 예수를 죽이려는 음모 (11:45-57)

      3. 베다니에서의 기름부음 (12:1-8)

      4. 개선(凱旋)의 입성 (12:9-19)

      5. 예수의 “때”가 이르러옴 (12:20-36)

   E. 예수의 봉사의 요점 (12:37-50)

 III. 예수의 죽음과 부활 (13:1-20:31)

   A. “다락방” (13:1-17:26)

      1. 세족 예식 (13:1-30)

      2. 예수의 떠나가심과 돌아오심 (13:31-14:31)

      3. 참 포도나무 예수 (15:1-17)

      4. 세상의 미움 (15:18-16:4)

      5. 성령의 사역 (16:5-16)

      6. 슬픔이 기쁨으로 변함 (16:17-33)

      7. 헌신의 기도 (17:1-26)

   B. 죽음과 부활 (18:1-20:31)

      1. 예수의 체포 (18:1-12)

      2. 대제사장 앞에서의 심문 (18:13-27)

      3. 빌라도 앞에서의 심문 (18:28-19:16a)

      4. 예수의 죽음과 장사 (19:16b-42)

      5. 예수의 부활 (20:1-29)

      6. 이 책의 목적 (20:30, 31)

 IV. 결언(結言): 제자들의 사명 (21:1-25) (32.4)
 독서를 위한 참고 자료
 1. 저자와 기록 시기와 서언에 대한 문제들에 관하여는 D. A. Carson, D. J. Moo, and L. Morris,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135-179; G. R. Beasley-Murray, John, xxxii-xcii; D. Guthrie, New Testament Introduction, 252-283, 297-303; 그리고 F. D. Nichol, ed.,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5:891-894를 보라.

 2. 제4 복음의 신학에 관하여는 G. R. Beasley-Murray, Gospel of Life; G. E.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13-310; L. Morris, New Testament Theology, 223-286을 보라.

 3. 이 복음서의 목적에 관하여는 P. S. Minear, “The Audience of the Fourth Evangelist,” 247-264를 보라.

 4. 사복음서의 상호 관계에 관하여는 F. D. Nichol, ed.,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5:190-234를 보라.

 5. 예수의 “왕국” 개념의 사용에 관한 면밀한 연구는 G. E.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45-134에서 볼 수 있다.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