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니에르 병은 어지럼증(dizziness)의 5% 그리고 현기증(vertigo)의 10-15%에 해당되는 질병이다. 성인들에게 주로 나타나며 이명, 청각 상실, 그리고 방이 빙빙 도는 느낌을 자주 갖는다. 환자는 종종 귀가 꽉 막힌 느낌을 호소한다. 현기증은 몇 시간이나 며칠 계속되며 매주 나타나기도 하고 10년 동안 재발없이 지나기도 한다. 환자의 80-90%가 한 쪽 귀의 청각 상실을 경험한다. 질병은 환자가 발병된 귀가 완전히 귀머거리가 될 때까지 진행된다. 원인은 불명이지만 자율 신경계의 고장으로 내이에 흐르는 혈관이 압박을 받을 때 발생할 수도 있다. 여성의 50-60대의 연령층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예고 없이 갑자기 나타난다. 병이 발생했을 때 머리를 갑자기 움직이면 오심이나 구토가 나타난다. 조절하기 어려운 안구의 수평 반사가 나타나기도 한다. 환자는 종종 알레르기, 혈관 운동 비염(vasomotor rhinitis), 그리고 귀의 장애의 질병 경력이 있다. (171.2)
메니에르 병은 어지럼, 청력 감소, 귀울림, 귀먹먹함의 모든 또는 일부분의 증상이 갑작스럽고 반복적으로 생기는 질병을 말한다. 병의 정도에 따라 네 가지의 모든 증상을 경험하는 환자도 있고, 한두 가지 증상만 경험하는 환자도 있다. 1861년 프랑스의 의사인 메니에르가 이 병을 발견하였으며, 달팽이관, 전정, 반고리관을 지칭하는 속귀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한다. (171.3)
II. 예방과 치료
1. 아주 작은 모세 혈관의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방이 없는 음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172.1)
2. 흡연은 혈관 경련과 혈관 수축을 일으키므로 금연하도록 한다. (172.2)
3. 환부 쪽으로 편안하게 누워서 눈을 아픈 귀 방향으로 돌리면 상태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172.3)
4. 움직일 때 환자 자신이 가장 편안한 상태로 이동하게 하고 갑작스런 이동이나 거슬림이 현기증을 악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보호해야 한다. (172.4)
5. 마니에르 환자와 말을 하려는 사람은 환자가 갑자기 몸을 돌리는 일이 없도록 환자 앞으로 가서 말하도록 한다. (172.5)
6. 환자는 힘들여 책을 읽으려고 하지 말고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한다. (172.6)
7. 메니에르 환자 10명중의 9명은 저염 식사를 통하여 큰 도움을 받았다. (172.7)
8. 수박 씨, 아스파라거스, 옥수수수염, 그리고 우엉과 같은 이뇨 작용을 하는 약초나 차를 사용하도록 한다. (172.8)
9. 메니에르 병은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는데 우유, 계란, 옥수수, 밀, 이스트에 대한 알레르기는 마니에르 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알레르기 식품에 대해서는 “제거와 도전” 조절법을 적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일단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을 모두 제거한 후에 꼭 필요한 것부터 1주일 간격으로 하나씩 점진적으로 적응해 나간다. 조절 과정에서 증상을 일으키는 것은 다시 제거하여 뒤로 미룬다. (172.9)
10. 현기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포도당 대사 장애이다. 인슐린 수준이 정상적일 경우 이명, 현기증, 귀가 막히는 느낌, 그리고 기복이 심한 청각 상실 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