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마비(Paralysis)
 I. 설명
 마비는 언제나 신속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마비가 인체의 일부에 나타나지만 어떤 때에는 전신에 나타나기도 한다. 다른 몇 가지 질병들과 함께 마비는 사고, 중독, 그리고 약품에 대한 부작용으로도 올 수 있다. (166.1)
 II. 원인

 1. 벨 마비(Bell's palsy): 보통 얼굴 한 편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마비로 갑자기 생기며 마비가 온 얼굴의 귀 뒤쪽에 통증이 있다. 마비된 부분은 표정을 잃고 눈을 잘 감지 못한다. 구안와사(口眼蝸斜)라고도 한다. (167.1)
 2.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뇌의 혈관이 파열되면서 뇌출혈이 생기며 뇌졸중으로 편마비가 온다. 주요 증상은 뜻하지 않는 심한 두통이 갑자기 나타나면서 언어 장애, 시력 교란, 몸 한 편의 동작 장애, 호흡 곤란, 오심과 구토, 헛소리, 그리고 무의식과 혼수상태 등이 나타난다. (167.2)
 3. 귈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전형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나타나며 증상은 손발과 팔 다리 그리고 복부와 가슴에 신속하게 퍼지는 근육 약화 및 감각 상실 등이다. 심한 경우에는 일시적인 마비를 일으키나 호흡근에 마비가 오면 치명적이다. (167.3)
 4. 헌팅턴 무도병(Huntington's chorea): 유전적 질병으로 증상은 중년이 되기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첫 증상은 불수의근의 티크(tics, 안면 근육 경련)와 씰룩거림이 생기고 관절 장애와 마비와 죽음으로 이어진다. (167.4)
 5. 운동신경 세포 질병(motor neuron diseases): 중추 신경계의 장애로 근육이 약화되고 소진되는 것이 특징이며 가장 일반적인 병은 파킨슨씨병이다. 초기 증상은 떨림, 발을 끄는 걸음, 그리고 얼굴의 무표정 등이며 결국 떨림이 경직되거나 마비된다. 운동 신경 장애를 가져오는 또 다른 일반적인 병은 근 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이며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이라고도 하는데 손 근육의 경련과 약화가 생기고 팔과 다리로 퍼져서 마침내 마비를 일으킨다. (168.1)
 6.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만성 질병으로 뇌와 척추와 같은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준다. 걸음걸이가 불편하다가 장기간 마비가 오고 언어 장애와 또한 방광과 장의 조절기능이 상실된다. (168.2)
 7. 근 위축증 또는 근육 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이런 점진적인 근육퇴화는 보통 남자들에게 나타난다. 많은 환자들이 청년기가 될 때까지 의자 차에 의존하여 생활하게 된다. (168.3)
 8. 중증 근 무력증(myasthenia gravis): 자가 면역 병의 하나로 보통 얼굴과 머리근육에 영향을 주지만 심한 경우에는 호흡 근육에도 영향을 주어 호흡기마비를 일으킨다. (168.4)
 9. 정신과적 장애(psychiatric disorders): 이 병은 긴장병(catatonia)이라고 불리는 정신과적 마비의 한 형태이다. 예로 긴장병은 정신 분열증이나 정신병 그리고 히스테리의 한 현상이다. (168.5)
 10. 수면 마비(sleep paralysis): 잠자기 직전이나 기상 직후 간혹 일어나는 순간적인 상태로 어른보다는 어린이에게 더 많다. 흔하지는 않으나 또 다른 수면장애인 수면발작(narcolepsy)으로 생기는 하나의 증상이기도 하다. (168.6)
 11. 이분 척추(spina bifida): 척추의 골 폐쇄 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발육기형으로서, 이를 통해 척수 및 수막이 돌출 되는 경우(s. b. cystica)와 돌출 되지 않는 경우(s. b. occulta)가 있다. 태중에서 형성되는 척추기형으로 상태에 따라 인체의 부분 또는 전신마비가 온다. (168.7)
 12. 척수 손상 및 장애(spinal cord injuries and disorders): 목과 척추 뼈가 골절이 되면 척수가 손상을 입는다. 손상 위치에 따라 마비의 범위도 달라진다. 목의 골절은 거의 전신마비를 일으키고 흉추 중간이나 요추의 골절은 하체의 마비를 가져온다. 척수는 질병과 등 장애로 손상을 받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는 추간판(disk)이 심하게 파열되는 경우가 아니고는 마비를 일으키지 않는다. (168.8)
 III. 예방 및 치료
 1. 마비 증상이 보이자마자 즉시 의학적 조치를 취한다. (169.1)
 2. 목과 등의 손상을 받았을 경우 생명을 잃을 우려가 없는 한 만지지 말고 숙달된 의료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169.2)
 3. 의학적 응급조치를 취한 후에 형편에 따라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1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