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확증 2. 그리스도의 위격: 우리의 확증
그것은 아버지와 아들의 연합, 곧 오직 예수께서만 자신의 생애 동안에 말씀하실 수 있는 그런 연합을 가리킨다. 하지만 다른 이들은 그가 영화롭게 되신 후에 그분의 제자들의 계속되는 사명이라고 하는 배경 가운데서 믿음으로 그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8)
(41.2)
 예수 당시의 유대인들은 그가 자신을 “나는 ∙∙∙ 이다”라고 지칭했을 때, 신성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그들은 신성모독이라 하여 그분의 주장을 거부하고 돌로 치려했다(요 8:59; 10:31-33). 그러나 예수께서는 자신이 아브라함이 존재하기 전에 “있느니라(나는 ∙∙∙ 이다)”고 주장하셨다. 그는 상호 내주(mutual indwelling)라고 하는 특유한 말로 아버지와 자신의 연합을 분명히 하셨다: “너희가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음을 깨달아 알리라”(요 10:38). 여기서 예수께서는 구별된 위격들이 상호 관련 속에 신성 안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셨다. 그들의 통일성은 두 위격이 영원토록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헌신한 역동적 교류로 드러난다. (41.3)
 요한의 묵시는 구속의 계획에 대해 예수께서 얼마나 신실하신 지에 대한 심오한 재확인으로 이렇게 결론을 맺는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라”(계 22:13). 요한계시록 1:18에서 요한은 이 신성한 칭호들을 아버지 하나님께 적용했다. 책의 결론 부에서 그는 그것들을 전력을 기울여 우리의 거룩하신 주님이자 구속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적용했다. (41.4)
 성경은 예수를 완전히 신성하신 분으로 묘사한다. 그는 우리의 영원한 구원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권위와 능력을 소유하셨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그의 안에서 믿음으로 쉼을 누릴 때, 우리는 구원의 완벽한 확증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42.1)
 미 주
 1) 엘렌 G. 화잇, 시대의 소망, 29, 30.

 2) G. C. Berkouwer, The Person of Christ (Grand Rapids, MI: Eerdmans, 1973), 106.

 3) 상게서, 117.

 4) 상게서, 188.

 5) 엘렌 G. 화잇, 시대의 소망, 530.

 6) P. B. Harner, The “I Am” of-the Fourth Gospel (Philadelphia, PA: Facet Books, 1970), 16.

 7) 상게서, 10.

 8) 상게서, 39.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