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라남도 나주 지역에 있는 스쿠시(한국명 고형진) 씨가 이러한 주장을 퍼뜨리고 있으며, 그를 따르는 소수의 사람들이 그 주장을 따르고 있다. 스쿠스 씨는 고진주 엮음, 측랑할 수 없는 하나님의 사랑: 연극인가 실제인가?(맞춤토탈, 2009)라는 책자를 가지고 반(反) 삼위일체 사상을 교인들에게 가르치고 있다(이하 측량).
또한 강원도 원주 근처 귀래에는 볶은 곡식을 만들어 팔면서 알려진 홍영선 씨가 경배와 흔들림(서울: 화남출판사, 2011, 이하 경배); 지구종말 1335일, 카운트다운 (서울: 화남출판사, 2011, 이하 지구종말)이라는 책을 내어 성령을 부인하는 가르침을 펴고 있다.
2) 측량, 41, 35.
3) 경배, 11; 지구종말, 215, 348.
4) 측랑, 77.
5) 측랑, 81, 82.
6) 측랑, 86.
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기본교리(Seventh-day Adventists Believe· ·: A Biblical Exposition of Fundamental Doctrines). 개정판 (서울:시조사, 2007), 31, 55, 85.
8) 반(反) 삼위일체주의자들(anti-trinitarians)이란 여러 가지 이유로 삼위일체 교리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아리우스주의자들이나 준(準) 아리우스주의자들이 여기에 속한다.
9) 아리아리우스주의(Arianism)란 기원 4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장로 아리우스(Arius)의 가르침을 말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와 동일한 본질(homoousios)임을 부정하며, 성자가 비록 창조 전에 존재하셨으나 그는 피조물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은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에서 정죄되었다.
10) 준(準) 아리우스주의(Semi-Arianism), 혹은 유사 아리우스주의는 그리스도가 피조물이라는 아리우스주의를 거부한다. 성자는 성부와 유사한 본질(homoiousios)을 가졌으며, 참으로 영원하다고 말한다. 성자는 피조물이 아니며, 무로부터 존재케 된 것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성자는 성부보다 열등하며, 성부에 종속되었다고 말한다.
11) 삼위일체 신앙(Trinitarianism)은 하나님은 한 분이시며 그분은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의 통일체로 계신다는 것을 믿는 신앙을 가리킨다.
12) 측량, 81, 77.
13) Joshua V. Himes,
“Christian Connexion,” in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ed. J. Newton Brown (Brattleboro,TV: Brattelboro Typographic,1838), 363. 1855년 리뷰(Review and Herald)지에 게재한 글에서 제임스 화잇은 디모데후서 4장 4절(
“또 그 귀를 진리에서 돌이켜 허탄한 이야기를 좇으리라”)을 인용하면서,
“여기서 삼위일체에 대해 언급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과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개성을 부인하는 것이다”라고 기록하였다(James White,
“Preach the Word,”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December 11, 1855, 85). 조셉 베이츠도
“삼위일체에 관해서는 성부의 아들인 주 예수 그리스도가 또한 전능하신 하나님이라는 것을 나는 믿기가 불가능하다고 결론내렸다”고 하였다(Joseph Bates, The Autobiography of Elder Joseph Bates [Battle Creek, MI: Steam Pres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Publishing Association, 1868], 205).
14) Sylvester Bliss, Memoirs of William Miller (Boston: Joshua V. Himes, 1853), 77, 78.
15) A. T. Jones, editorial,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January 10, 1899, 24.
16) White, 초기문집(Early Writings), 54.
17) 초기문집, 77.
18) White, 교회증언,2:200.
19) Ellen G. White,
“The First Advent of Christ,”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December 17,1872, part 4; later published in Spirit of Prophecy, vol. 2 (Battle Creek, MI: Seventh-day Adventist Publishing Association, 1877), 9, 10.
20) Ellen G. White, Review andHerald, Dec. 17, 1872.
21) Ellen G. White,
“An Appeal to Ministers,”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August 8, 1878, 49,50; 참고. Letter 37,1887, in Manuscript Releases, voL 15, 26; Youtths Instructor, August 31, 1887; 1888 Materials, vol p. 29; Review and Herald, Feb. 8, 1898; Review and
Herald. 1906.
22) White, 가려 뽑은 기별, 1226-227.
23) Ellen G. White, Signs ofthe Times, Aug. 2, 1905; quoted in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voL 5, 1114, 1115.
24) Woodrow Whidden, Jerry Moon, and John W. Reeve, The Trinity: Understanding God’s love, His Plan of Salvation, and Christian Relationship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id, 2002), 209.
25) Ellen G. White, Review and Herald, July 5, 1887.
26) Ellen G. White,
“Search the Scriptures, John 5:39,” Youth’s Instructor, August 31, 1887, 165.
27) White, 각 시대의 대 쟁투, 524.
28) 각 시대의 대쟁투, 493, 495. 참고. White, 부조와 선지자(원문 1890판), 36.
29) 부조와 선지자, 36.
30) Ellen G. White,
“The True Sheep Respond to the Voice of the Shepherd,” Signs of the Times, November 27, 1893, 54.
31) Ellen G. White,Manuscript 93,1893, published in Manuscript Releases,vol. 20,323-325.
32) Ellen G. White,Letter 8, 1896, (Cooranbong, Australia,February 6, 1896); 목사와 복음교역자에게 보내는 증언, 392.
33) Ellen G. White,
“The Ture High Priest,” Manuscript 101, 1897, p. 9; 복음전도(Evangelism), 615.
34) Ellen G. White, Special Testimonies for Ministers and Workers, series A. No. 10 (1897), 37; 복음전도, 617.
35) White. 시대의 소망, 19.
36) 시대의 소망. 530.
37) 시대의 소망. 785.
38) 시대의 소망. 669.
39) 시대의 소망, 671.
40) Ellen G. White, Manuscript66, 1899. (From a talk to the students at the Avondale School); 복음전도,616.
41) Ellen G. Wiite, Signs ofthe Times, August 29, 1900; 복음전도, 615.
42) Ellen G. White, Manuscript 27a, 1900, published in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vol. 6, 1075.
43) Ellen G. White, Manuscript 27a, 1900, 7.
44) Ellen G. White, The Youth’s Instructor (June 21, 1900), in Youth’s Instructor Articles(facsimile reproductions) (Washington:Review and Herald, 1986).
45) Ellen G. White, Manuscript 145, 1901; 복음전도, 616.
46) Ellen G. White, Speaial Testimonies, Series B. No. 7, 1905, 51. 복음전도, 617.
47) Ellen G. White,Special Testimonies, Series B. No. 7, 1905, 62, 63. 복음전도, 615.
48) Ellen G. White,
“Christ Our Only Hope,” Signs ofthe Times, August 2, 1905; reprinted in 가려 뽑은 기별, 1:228.
49) 가려 뽑은 기별, 1:226, 227.
50) 치료봉사(Ministry of Healings), 422.
51) Ellen G. White, Manuscript20, 1906; 복음전도, 616.
52) Ellen G. White,
“The Word Made Flesh,”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April 5, 1906; 가려 뽑은 기별, 1:247.
53) Fernando Canale,
“Doctrine of God,” Handbook of Seventh-day Adventist Theology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ld, 2000), 128-130.
54) Erwin R. Gane,
“The Arian and Anti-Trinitarian Views Presented in Seventh-day Adventist Literature and the Ellen G. White Answer” (M.A. thesis, Andrews University, 1963), 67-69.
55) 측량, 83.
56) White, 시대의 소망, 530
57) George R. Knight, 어찌 우리 잊으랴!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역사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Lest WeForget). 도현석 편역(Los Angeles,CA:미주 시조사, 2008), 292.
58) Cf. M. L. Andreasen,
“Unpublished Chapel Talk,” at Loma Linda University, November 30, 1948:
“Testimony of M. L. Andreasen,” Ellen G. White Estate Document File 961, October 15, 1953; Knight,292.
59) Knight, 292.
60) Gerhard Pfandl,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mong Seventh-day Adventists,” Journal of the Adventist Theological Society 17/1 (Spring 2006), 175.
61) Tim Poirier,
“Ellen White’s Trinitarian Statements: What Did She Actually Write?” paper presented and read at
“Ellen White and Current Issues” Symposium,April 3, 2006, Andrews University. The publication comes from the Center for Adventist Research,Andrews University,Berrien Springs,Michigan.
62) 측량, 43, 46; 참조,제6장
“공격에 처한 기독교의 기초(기독교 역사).” 63) Bavinck, 개혁주의 신론, 402.
64) 박만, 403 .
65) Bavinck, 412.
66) Philip Schaff, History ofthe Christian Church, 5th ed., rev. (n.p.: Charles Scribner’s Sons, 1910; reprint, Grand Rapids, MI: Eerdmans, 1995), 3:623, OH: Hans Lietaman, A Hisrory of the Early Church, trans. by B. L. Woolf, 4 vols. (Cleveland: World, 1961), 3:116.
67) 그러나 이것이 삼위일체 교리 발전에 로마 가톨릭 교회의 신학지들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Whidden, Jerry Moon, and John. W. Reeve, The Trinity, 151-159 참조.
68) 측량, 51.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 삼위일체의 주장은 닛사의 그레고리우스(Gregory of Nyssa)의 이론처럼
“세 신적 위격 중 아버지는 신성의 원천이며 기원이자 원인으로서 ‘적절한 의미에서’ 아버지이란 점에서, 아들은 아버지에게서 나오고(of), 성령은 그로부터 나온다는 점에서(from) 곧 아버지의 결과들이란 점에서 각각 서로 구별된다. 곧 아버지는 출생치 않음(unbegottenness)에서, 성자는 출생함(begottenness)에서 그리고 성령은 출원(procession)에서 서로 구별된다. 그(그레고리)는 이런 이해는 기독교의 독특한 이해이며 유대교의 유일신론과 이교의 다신론을 다같이 극복하는 것”이라고 말한다(Gregory of Nyssa, The Great Catechism 3, 477; 박만, 163 인용).
69) 헬레니즘 환경에서 활동함에 따라 기독교 신학은 고전적 헬리 개념들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하나님은 열정, 감정, 정서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분으로, 그분은 인간의 감정과 고통 너머에 있다는 하나님의 무감각성(apatheia, impassibility)이라는 고전적 헬라 개념을 받아들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변화란 더 나쁜 쪽을 향하게 마련이다”고 말했으며, 이런 이유에서 그는 신의 존재 개념에서 변화와 고통을 배제하고, 신의 불변성, 무감각성을 주장하였다. 이런 철학적 논리가 초기 단계의 기독교 신학에 도입되었다. 헬레니즘적 유대인 필론(Philo)는 하나님의 무감각성을 강력하게 옹호한 변화하지 않는 하나님(Quod Deus immutabihs sit)이라는 책을 썼다. 하나님이 변화한다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신의 완전함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불변자가 변화한다고 주장하는 것보다 더 큰 불경이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필론는 질문했다 이러한 사상에 영향을 받은 중세 신학자 안셈(Anselm of Canterbury)은 하나님은 우리의 경험상 자비가 넘치는 분이지만 신의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하나님 이해는 교부와 중세 시대 동안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McGrath, 325-328.
70) 박만, 15, 16.
71) 칸트는 삼위일체 교리를을 무의미한 사변으로 생각했다.
“삼위일체 교리는 비록 우리가 그것을 이해한다 해도 문자적으로볼 때 아무런 실제적인 가치가 없다. 더 나아가 그것이 우리의 모든 이해를 넘어선다고 할 때 그것은 더욱 우리와 관계가 없다”(Immanuel Kant, The Convict ofFaculties, trans. Mary J. Gregor [New York: Abaris Books, 1979], 65; 박만 16 인용).
72)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슐라이어마허는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의 자기 의식에 대한 직접적인 주장이 아닌 오직 이런 주장의 결합에 불과한 부차적 교리”라고 말했다. 기독교 신앙의 본질과는 무관한 이차적 교리라는 것이다. Friedrich Schleiermacher, The Christian Faith trans. and ed. H. R. Stewart (Edinburgh: T. and T. Clark, 1968), 738; 박만, 16 인용.
73) Jerry Moon,
“The Quest for a Biblical Trinity: ‘Ellen White’ ‘Heavenly Trio,’ Compared to the Traditional Doctrine,” Journal of the Adventist Theological Society, 17/1 (Spring 2006):156.
74) Ellen G. White, Manuscript 66, 1899; 복음전도, 616.
75) Ellen G. White, Ministry of Healing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1905), 422; 치료봉사, 422.
76) Ellen G. White, Special Testimonies, Series B. No. 7, 1905, 62, 63. 복음전도, 615.
77) Moon, 158.
78) Roger E. Olson,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and Reform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1999), 530. 여기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는 Canale,
“Doctrine of God,” 105~159를 참조
79)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관한 연구들에 관해서는 박만, 현대 삼위일체론 연구를 참조할 것.
80) Woodrow W. Whidden II,
“God Is Love-Trinitarian Love!,” Journal of the Adventist Geological Society 17/1 (Spring 2006), 107.
81) Bavinck, 481, 485.
82) Bavinck, 413.
83) Bavinck, 486, 481.
84) Bavinck, 485.
85) 각 시대의 대 쟁투, 524.
86) Ron E. M. Clouzet,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and Why It Matters,” Journal of the Adventist Theological Society, 17/1 (Spring 2006): 28.
87) Pelikan,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Doctrine,vol. 5: Christian Doctrine and Modern Culture (since 170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89), 193.
88) 라너는 그 이유에 대해 토마스 아퀴나스 이후의 서방 교회가 한 분 하나님에 관한 교리(De Deo Uno)와 삼위 하나님에 관한 교리(De Deo Trino)로 완전히 분리시켜 다루어 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라틴 전통은 먼저 하나님은 한 분이라고 전제한 후 이 한 분 하나님을 한 신적 본질 안에서 찾음으로써 결국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을 통한 성부 하나님의 구원 행위가 삼위일체론에서 아무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그 결과 삼위일체 논의는 구원 역사와 분리되어 철저히 형식적이며 추상적, 비실제적인 것이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Karl Rahner, The Trinity, trans. by Joseph Donceel (London: Herder and Herder, 1970), 5-17; 박만, 51.
89) 부조와 선지자, 34 .
90) Moon, 157, no. 78.
91) Moon, 157 .
92) W. H. Griffith Thomas, The Holy Spirit of God (Grand Rapids, MI: Eerdmans, 1976), 9. 구약에 나오는 책들 가운데 절반가량에 성령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
93) William Edward Bleedenwolf, A Help to the Study ofthe Holy Spirit (Grand Rapids, MI:Zondervan, 1936), 17. 세 권을 제외하고는 신약 전체에 성령에 대한 언급이 나오며, 사도행전에만 50희 이상이 나온다.
94) 요 14:26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시리라”.
요 15:26
“내가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서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거하실 것이요”.
요 16: 13, 14
“그러하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그가 자의로 말하지 않고 오직(내게) 듣는 것을 말하시며 장래 일을 너희에게 알리시리 라 그가 내 영광을 나타내리니 내 것을 가지고 너희에게 알리겠음이니라.” 95) Henry Barclay Swete, The Holy Spirit in the New Testament (London: MacMillan, 1909), 300.
96) 요 17:1,4
“아버지여 때가 이르렀사오니 아들을 영화롭게 하사 아들로 아버지를 영화롭게 하게 하옵소서... 아버지께서 내게 하라고 주신 일을 내가 이루어 아버지를 이 세상에서 영화롭게 하였사오니”;
요 5:30
“내가 아무것도 스스로 할 수 없노라 듣는 대로 심판하노니 나는 나의 원대로 하려 하지 않고 나를 보내신 이의 원대로 하려는 고로 내 심판은 의로우니라”;
요 7:16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내 교훈은 내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것이니라”.
요10:37
“만일 내가 내 아버지의 일을 행치 아니하거든 나를 믿지 말려니와”.
요 12:49
“내가 내 자의로 말한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 나의 말할 것과 이를 것을 친히 명령하여 주셨으니”.
요 14:31
“오직 내가 아버지를 사랑하는 것과 아버지의 명하신 대로 행하는 것을 세상으로 알게 하려 함이로라”.
97) 요 14:26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요 15:26
“내가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서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
요 5:22, 27
“아버지께서 아무도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심판을 다 아들에게 맡기셨으니 ∙∙∙ 또 인자됨을 인하여 심판하는 권세를 주셨느니라.” 98) Norman R. Gulley,
“Trinity in the Old Testament,” Journal of the Adventist Theological Society, 17/1 (Spring 2006): 94.
99) 박만, 39.
100) Quentin P. Kinnison,
“The Social Trinity and the Southwest: Toward a Local Theology in the Borderlands,” Perspective in Religious Studies 35/3 (2008): 261-281; Joy Ann McDougall,
“The Return of Trinitarian Praxis? Moltmann on the Trinity and the Christian Life,” Journal of Religion 83/2 (2003): 177-203 참조
101) David S. Cunningham, These Three are One: The Practice of Trinitarian Theology (Cambridge: Blackwell, 1998), 8.
102) Leonardo Boff, Trinity and Society, trans. Paul Burns (Maryknoll: Orbis, 1988), 13.
103) John D.Zizioulas, Being as Communion: Studies in Personhood and the Church (Crestwood St. Vladmir’s Seminary Press, 1997), 40-49, 83-39: Moltmann, The Trinity and the Kingdom: The Doctrine of God, trans. Margaret Khol (New York:HarperCollins, 1991), 162-172; Wolfhart Pannenberg,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91), vol I: 322-325: Robert W. Jenson, Systematic The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vol. I: 75-161 참조.
104) Stanley J. Grenz, 조직신학: 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The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신옥수 옮김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132.
105) Grenz, 126.
106) Richard of St. Victor, The Twelve Patriarchs, The Mystical Ark, Book Three ofthe Trinity, trans. Grover Zinn (New York: Paulist, 1979), 381.
107) 이처럼 리차드의 삼위일체 신학의 중심에는 삼위일체의 세 위격들의 내재적인 사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Brian M. Doyle,
“Social Doctrine of the Trinity and Communion Ecclesiology in Leonardo Boff and Gisbert Greshake,” Horizon 33/2 (2006): 242.
108) Moltmann, The Trinity and the Kingdom 57.
109) Millard J. Erickson, God in Three Persons: A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the Trinity (Grand Rapids: Baker Books, 1995), 221.
110) Moltmann, The Trinity and the Kingdom, 218.
111) Michael J. Hime and Kenneth R. Himes,
“Rights, Economics, & the Trinity,” Commonweal 113 (1986. 3. 14): 139.
112) 정성욱, 삶 속에 적용하는 삼위일체 신학(서울:홍성사, 2007), 110-111.
113) Stavros S. Foiou,
“Toward a Person-Centered Society: The Great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The Greek Orthodox Theological Review 45/1-4 (2000): 589-594.
114) Peters, 삼위일체 하나님, 8, 10.
115) Grenz, Rediscovery the Trinity: The Trinity in Contemporary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2004), 117.
116) Catherine Mowry LaCugna, God For Us: The Trinity and Christian Life. 우리를 위한 하나님;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인의 삶. 이세형 옮김(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343.
117) J. Scott Horrel,
“Toward a Biblical Model of the Social Trinity: Avoiding Equivocation of Nature and Order,”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Society 47/3 (2004): 403, 407. 이러한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가지고 하나님의 본질을 이해할 때, 우리는 삼신론, 단일신론, 양태론, 종속론의 위험을 극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곽미숙,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인 실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68 (2010): 139-140.
118) Moltmann, 생명의 영, 43.
119) Moltmann, 생영의 영, 45.
120) 정성욱, 111-112.
121) 정성욱.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