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을 찬미하며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 (행 2:47) (144.1)
나는 교회가 숫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면 무언가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이 말은 잘못한 말이 아닙니다. 교인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교회에서 중요한 일입니다. 오순절 기간동안에 3 천명이 침례를 받았고 (행 2:41), 그 후 5 천명이 교회에 들어오고(행 4:4), 그런 후에 수 많은 사람들이 회개하고 (행 5:14), 그리고 제자의 수가 심히 많아집니다. (행 6:7) (144.2)
“아무라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흰 옷을 입고 손에 종려가지를 들고 보좌 앞과 어린 양 앞에 서서”(계 7:9 )라고 계시록은 적고 있습니다. 그리고 큰 무리의 사람들이 복음을 듣고 복음을 받아들입니다. 이것은 누군가가 복음을 그들에게 전했음을 의미합니다. (144.3)
숫자는 결과를 말해줍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숫자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어디엔가 투자를 했다면 그것이 좋은 수익을 가져오리라 기대할 것입니다. 만일 돈을 투자했다면 여러분은 더 많은 돈으로 돌아올 것을 기대할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의 직장에 시간과 재능을 투자했다면 여러분은 매월 말에 더 많은 월급을 기대할 것입니다. 교회도 이와 같다는 것을 생각하십시오. 원칙은 같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령님과 함께 부지런히 일하고 시간과 돈과 재능을 투자했다면 여러분은 결과를 거둘 것이고 교회는 성장할 것입니다. (144.4)
다른 나라보다 전도하기가 힘든 나라가 있다는 것을 압니다. 나는 캐나다 벤쿠버에서 10여년 일을 했습니다. 이 도시가 세상에서 제일 세속화된 곳이라고 말하는 것을 믿게 될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성령께서 전도하는데 능력을 주신다는 것을 실제로 믿는다면 결과는 달라집니다. 사람들이 성경의 침례를 받아들이고 교회는 숫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144.5)
공산국가인 중국에서 수천명의 사람들이 회개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중국사람들은 개인적인 생활에 집중하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는 아무도 모릅니다. 심지어 이런 전도가 힘든 장소에서도 성장이 일어납니다. (144.6)
왜 숫자가 문제가 됩니까?
왜 숫자가 중요합니까? 왜냐하면 숫자가 사람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숫자에는 어린이, 아버지, 어머니, 이웃, 친구, 가족 구성원 모두를 나타내 줍니다. “그 말을 받는 사람들은 침례를 받으매 이 날에 제자의 수가 삼천이나 더하더라” (행 2:41). (144.7)
성경에서는 숫자를 강조하지 않지만 이 숫자는 사람의 수를 나타내 줍니다. 3천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어두움에서 살다가 빛을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게 하소서”하고 외치던 사람들 중의 일부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회개하고 구원받은 사람들입니다. (144.8)
부르심을 받은 수많은 사람들중에 실직한 아버지도있고, 사업가도 있고, 많은 아이들의 엄마도 있고, 과부일 수도 있고, 로마의 문화에 익숙한 십대도 있고, 부모가 이혼한 어린이 일 수도 있습니다. 삼천 명이라는 것은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이 숫자는 자신의 문제를 안고 있는 삼천일 수있고, 삶의 투쟁가운데 있는 삼천일 수도 있으며, 생활에 도전을 받고 있는 삼천일 수도 있습니다. (144.9)
그들은 예수님을 발견하는 기회를 잡은 사람들이며 예수님을 구주로 받아들인 사람들입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이 숫자는 제자들의 사명을 통하여 성령께서 행하셨던 능력으로 측정되는 바로 그 숫자입니다. (144.10)
교회 지도자들의 생활에 임하시는 성령의 능력이 교회를 성장시킬 것입니다. 여러 번 우리는 숫자에 관에서 이야기한 것이 아니었다고 말하면서 우리 자신의 평범한 생활 속 뒤에 숨어 있었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저조하게 일하는 것을 받아들이기를 원치 않습니다. (144.11)
성령께서 교인들과 교회 지도자들 가운데서 함께 일을 한다면 교회의 문들이 닫히는 일은 없다는 것입니다. 때때로 교회는 사단으로부터 공격을 받기도 합니다. 문제는 교회를 어지럽게 한다는 데 있습니다. 그러면 성장은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통하여 교회가 성령을 의지하게 된다면 문제를 극복하고 승리를 얻을 것입니다. 성령을 의지하는 교회가 뒤로 물러가는 경험을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결정적인 순간에 앞으로 전진하게 될 것입니다. (144.12)
인생의 어떤 부분과 같이 교회도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다시 일어나게 되고 이전보다 더 강하게 성장할 것입니다. 우리는 숫자에 좌우되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죽으셨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게 해야 합니다. 숫자는 우리가 사명에 효과적으로 살고 있느냐를 알게하는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144.13)
수학적인 영적성장
성경에 따르면, 우리도 다니엘, 바울 혹은 제자들과 같이 세상에서 증인(행 1:5, 8)이 되어 전도하기 위해 성령의 능력을 부어주신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성령께서는 예수님을 개인의 구주로 받아들이도록 사람들을 설득시키시는 분이십니다. (요 16:8-11).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할 일을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교회가 죽어가거나 성장하지 않게 된다면 우리가 사람들에게 기별을 전하지 않거나 우리의 기별에 성령의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144.14)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것을 예를 들어 다음 공식으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144.15)
설교(사람의 할 일) + 기별(성령에 감동된) +우리 안에 있는 성령의 능력 + 사람들 생활 속에 역사하는 성령의 능력 =백성들의 회개 (144.16)
다른 공식은 없습니다! 만일 우리가 위 수학공식을 적용시키게 되면, 우리는 아마도 우리 교회가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무언가 이 공식에서 빠져있는 것을 알게 됩니다. (14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