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소켓 사본의 구두점들은 다니엘가 집필된지 일천여 년이 지나서 이루어진 것이고 또 아트낙이라는 부호가 항상 중요한 휴지부(休止符)의 뜻을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R. S. V. 번역 보다는 N.A.S.B. , K.J.V., 예루살렘 성경 등의 번역을 따르는 것이 정당하다. (248.9)
교차 대구법(Chiasmus)이란 것은 두 쌍의 평행 절구가 Y Z,Z' Y'의 순서로 배열된, 고도로 세련된 문체 형식이다. 눈으로 보아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모래 시계나 또는 X자 배치로 절구들을 배열할 수 있다. 흔히 독일어로 키아스무스(Chiasmus)라고 불리는 교차 대구법이라 는 이름은 희랍어 알파벳 X(키이)에서 연유하였다. 다니엘 9장 24~27절의 교차 대구절을 분석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니엘 12장 10절의 교차 대구절을 분석해 보기로 하자. (248.10)
Y 많은 사람이 연단을 받아 스스로 정결케 하며 희게 할 것이다
Z 그러나 악한 사람은 악을 행하리니:
Z' 악한 자는 아무도 깨닫지 못하되
Y' 오직 지혜 있는 자는 깨달으리라
(249.1)
첫 두 구절은 정결한 사람들에 관한 Y가 나오고 악한 사람들에 대한 Z가 뒤따른다. 두번 째 두 구절은 이 순서가 뒤바뀐다. 악한 자에 관한 Z' 구절이 앞에 오고, 지혜 있는 자에 관한 Y'의 글구가 뒤따르고 있다. 마지막 줄의 지혜 있는 자에 관한 글구가 제일 첫 줄에 나오는 정결한 사람들과 동일한 사람인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나타나 있지는 않다. 그러나, 영어로 이 글구를 읽는 독자들은 직관적으로 정결한 사람과 지혜 있는 사람을 동일시한다. 고대의 히브리 독자들도 지혜 있는 자와 정결한 자를 동일하게 생각했다. 그들은 Y Z, Z' Y'의 교차 대구적 진행에 친숙해 있었다. 그들은 중간에 나오는 구절에 나타난 반전(反轉) 현상을 보자마자 대번에 올바른 결론으로 비약하는 것이다. (249.2)
Y 그(기름 부음을 받은 자)가 장차 많은 사람으로 더불어 언약을 굳게 정하겠고.
Z 한 이레 동안의
Z' 그 이레의 절반에
Y' 그가 제사와 예물을 금지할 것이며
(249.4)
YY' 의 구절은 메시아의 활동에 대해 말하고 있으며, ZZ'의 구절은 한 이레와 이레의 절반에 대해 말하고 있다. 우리는 다시 교차 대구의 법칙에 의해 첫째 줄과 네째 줄 사이에 분명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우리는 메시아가 언약을 성사시킴으로써 제사를 금지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우리의 궁극적인 제물이 되어 그가 죽으심으로써 그는 모든 동물 제사와 곡물 제사를 무의미하게 만든 것이다. (249.5)
다니엘 9장 26, 27절도 훌륭하고 복잡한 교차 대구를 보이고 있다. 이것을 약간 단순화시켜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249.6)
Y 메시아가 어느 누구의 도움도 없이 끊어질 것이며
Z 성전은 황폐케 하는 왕에 의해 끝장날 것이다
Z' 제사는 메시아에 의해 금지될 것이다.
Y' 황폐케 하는 왕이 끊어질 것이다
(249.7)
ZZ' 구절은 성소와 그 제사에 대해 말하고 있으며, YY' 구절은 두 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황폐케 하는 왕 그가 메시아 왕을 끊어지게 했기 때문에 멸망당할 것이라 했다. (249.8)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여기에서도 운자(員字)형식을 발견할 수 있다. “끝장나다” 또는 그 동의어들(끊어지다, 금지하다 등)이 매 줄마다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왕들에 대한 언급도 마치 테니스 경기에서 공을 치듯 메시아, 황폐케 하는 왕의 형태로 교대로 나타나고 있다. (249.9)
교차 대귀를 분석함으로써 다니엘 9장 24~27절에 대한 문학적 분석에 대한 우리의 확신이 강화되었다. (249.10)
5. 어찌하여 천문학자들이 십자가의 정확한 연대를 측정해 내지 못하는가?
그 이유를 말하기에 앞서 유월절에 대해 몇 가지 알아야 할 사항이 있으며, 달(月)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249.11)
유월절 준수
출애굽기 12장에서 모세는 유대 종교력으로 1월 14일에 유월절 양을 죽이도록 명기하였다. 1월은 니산월(月)이라 하며 봄철에 있다. 유월절은 출애굽의 시대에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로부터 기적적으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절기이다. 예수님 시대에는 유월절 기념을 위해 매 가정들이(작은 가족은 어울러서) 14일 오후에 성전에서 양을 죽이고 집에 가져다가 구웠다. 그 날 밤 어두워진 후에, 쓴 나물과 누룩 없는 떡과 함께 양고기를 먹었다. (250.1)
유대에서는 하루가 일몰(日沒)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유월절 양을 잡는 오후는 니산월 14 일의 끝에 가깝다. 그리고, 유월절 양을 먹는 저녁은 니산월 15일의 시작인 것이다. (250.2)
모세는 레위기 23장 6절에서, 한 주일 동안 누룩이 들어간 떡은 먹지 말라고 언명하였다. 이렇게 해서 니산월 15일은 무교절(누룩 없는 떡을 먹는 절기)의 첫 날로 알려지게 되었다.(유월절 양을 잡는 날로부터 무교병(無酵餅)을 먹는 마지막 날까지의 전체 기간을 “유월절”, “무교절”이라 일컫게 되었다). 무교병을 먹는 첫 날이 일주일 중 어느 날이 되든 그 날은 안식일로 간주되었다. 레위기 23장 7절과 유대 백과 사전을 보라. 이를 유월절 안식일이라 한다. (250.3)
무교병을 먹은 첫 날의 다음 날 즉 유월절 안식일 다음 날에는 제사장이 처음 익은 곡식단을 성전에 들고 가서 하나님 앞에서 흔들었다. “첫 열매”의 묶음을 흔드는 것은 수확을 거두게 된 것에 대해 하나님께 찬양을 올리는 의사 표시였다. 이 때는 보리 수확이 시작되었다. 바울은 이것을 그리스도의 부활의 상징으로 사용하였다. 예수 “그리스도는 ∙∙∙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던 것이다(고전 15:20). (2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