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행히 그 때 심기가 나쁘지 않았던 아닥사스다가 그에게 무슨 걱정이 있느냐고 물었다. 느헤미야로부터 저간의 사정을 들은 왕은 즉각 일련의 효과적인 행정 지시를 문서화하고 느헤미야를 시켜 이 문서를 새로 부임한 강 서편 총독 산발랏에게 전달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예루살렘성 중건 경비를 국고에서 지출케 하고 느헤미야로 직접 중건 공사를 지휘 감독케 하였다. (247.1)
 일부 주석가들은 느헤미야가 동생 하나니로부터 근래 재건된 성전 이외의 전체 도시가 142년 전 즉 기원전 586년에 느부갓네살의 손에 파괴된 그대로 남아 있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곤란한 주장이다. 느헤미야는 이미 어릴 때 느부갓네살에 의한 예루살렘 파괴를 익히 알고 있었다. 만약, 느헤미야가 이전에 그 동안 예루살렘 성의 중건 공사가 상당히 진척된 사실을 알지 못했다면, 기원전 444년에 그의 동생이 전한 “예루살렘 성이 훼파되었다”라는 소식을 들었을 때 그렇게 놀랄 까닭이 없는 것이다. (247.2)
 444년 전까지는 예루살렘성 중건 허가가 내리지 않았다고 말하는 성서학자들은 우리가 여기서 논의하고 있는 여러 자료들을 간과했거나 모르고 있는 것이다. 예루살렘의 수도로서의 지위 회복과 그에 따른 방위 및 통솔 장치의 재건을 허락한 457년의 조서가 444년의 조서 보다 490년 예언 기간의 출발점으로서 더 적합한 것이다. (247.3)
 2. 기원전 457년부터 시작되는 490년의 예언 기간은 기원후 33년보다는 34년에 끝나는 것이 타당치 않는가?
 계산기에서 이런 계산이 나오는 데는 두 가지 까닭이 있다. (247.4)
 1. 계산기는 490년 기간이 기원전 457년 가을에 시작하여 490년 후 가을까지의 기간 이란 사실을 모르고 있다. (247.5)
 2. 계산기는 하나, 둘, 셋 등 기수만을 취급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어서 첫째, 둘째, 세째 등 서수는 다루지 못한다. 기원전, 기원후 몇 년 하는 수들은 모두 서수(序數)들이다. 그리스도가 탄생하기 전 또 후 제 몇 년에 무슨 사건이 일어났느냐 하는 것을 알려 주는 것들이다. (247.6)
 현대 문화는 거의 전적으로 기수(基數)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에서도 덧셈이나 뺄셈을 기수 중심으로 가르치고 있다. 고대에는 오히려 서수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247.7)
 기수에서는 1-1=0이다. 계산기가 계산하는 것도 이런 것이다. 그러나, 예수님의 탄생 1년 전과 탄생 1년 후의 사이에는 12개월을 1년으로 하는 0(零)년이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분이 태어나기 1 년 전과 여러분이 태어난 지 1년 후의 사이에도 그러한 의미의 0년이 없다! (247.8)
 다음의 도표가 기원전 7년 부터 기원후 4년까지의 10년을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원전 457년부터 기원후 34년까지의 대략의 계산들이 나올 것이다. (247.9)
  (247.10)
 3. 왜 R.S.V.(개역 표준 영어 번역 성경)에서는 일부 다른 번역과 다른가.
 즉 “일곱 이레와 육십 이 이레”의 사이에 구두점을 찍어서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가 지날 것이다. 그 다음에 다시 육십 이 이레가 지날 것이다∙∙∙.그리고, 육십 이 이레 후에 기름 부음을 받은 자가 끊어질 것이다”라고 되었는가? 이렇게 되면, 기름 부음을 받은 왕이 일곱 이레 후에 한 사람, 육십 이 이레 후에 한 사람, 합하여 둘이 되게 한다. (248.1)
 R.S.V.번역을 제외한 N.A.S.B.(미국 새 표준 번역), K.J.V.(홈정역), A.S.V.(미국 표준 번역), N.I.V.(신 국제 번역), J.B(예루살렘 성경), M.L.B.(현대어 성경), M.K.V.(Monsignor Knox 번역)에서는 일곱 이레와 육십 이 이레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248.2)
 그런데, 먼저 알아 두어야 할 것은, 여타 구약 성경과 마찬가지로 다니엘의 본문도 원문에는 구두점이 없다는 사실이다(한문 고전도 마찬가지이다:역자주). 연대 미상의 시대부터 필생들이 구두점을 사용하기 시작해서 70인역과 데오도시우스역에 구두점이 이용되었다. 기원후 400년경에 이루어진 라틴어 불가타(Vulgate)역에도 구두점이 사용되었다. 후에 기원후 600년과 1400년 사이에 마소켓(Masorets)이라고 부르는 유대 필생 집단이 히브리어 사본에 구두점을 이용했다.16 (248.3)
 N. A. S. B., K. J. V., American Standard Version(미국 표준역)에서는 데오도시우스 역과 70인역, 불가타역에 있는 그대로 구두점을 찍었다. R.S.V.와 New English Bible(새 영어 성경)의 번역자들은 후기의 마소켓 학자들이 사용한 방법대로 구두점을 찍었다. (248.4)
 차이를 발생시킨 구두점은 아트낙(Athnach)이라는 것이다. 그 모양은 ︿표시 비슷하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영어의 콜론(:)이나 세미콜론(;)에 해당한다. 다니엘 9장 25절을 그대로 옮겨 보면 (248.5)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와 육십 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 그 때 곤란한 동안에 성이 중건되어 거리와 해자가 이룰 것이며∙∙∙. 가 될 것이다.
(248.6)
 그런데, 아트낙은 영어의 코머(,)나 세미콜론(;)에 해당하면서도 때로는 코머 이상의 뜻이 없고, 또 어떤 때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 다니엘에서 세 개의 예를 찾아 보기로 하자. 제일 먼저는 코머의 경우, 다음의 두 개는 의미가 약하거나 별 의미가 없는 것이다. (248.7)
다니엘은 마음이 민첩하여 ︿ 총리들과 방백들 위에 뛰어나므로(단 6:3)
그 무리들이 모여서 다니엘이 ︿ 자기 하나님 앞에 기도하며 간구하는 것을 발견하고(단 6:11).
나다니엘이 서책으로 말미암아 ︿ ∙∙∙그 년수를 깨달았나니(단 9:2)
(2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