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erman Bavinck, 개혁주의 신론(The Doctrine of God).이 이승구 역(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98), 485; Alister E. McGrath, 역사 속의 신학(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김홍기 외 역(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8), 388.
2) 박만, 현대 삼위일체론 연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03), 14.
3) Ted Peters, 삼위일체 하나님:신적 삶 안에 있는 관계성과 시간성(God as Trinity: Relationality and Temporality in Divine Life. 이세형 옮김 (서울:컨콜디아서, 2007), 88.
4) Karl Barth, Church Dogmatics, trans. Geoffery W. Bromiley (Edinburgh: T. and T. Clark, 1975), 1/1 :406.
5) Bavinck, 413.
6) Thomas F. Torrance,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One Being Three Persons(Edinburgh:T. and T. Clark, 1996), 2.
7) Bavinck, 485.
8) 아리우스주의자들이나 여호와 중인, 그리고 근년에 재림교회 안에서 반 삼위일체를 주장하는 이들은 이러한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성령의 신성을 부인한다. 특히 2000년 토론토에서 개최된 대총회에 참석한 일부 재림신자들이 부스를 차려놓고 반 삼위일체주의와 준 아리우스주의(semi-Arianismp) 초창기 재림교인들의 신념이었다는 이유로 삼위일체 신앙을 부인하는 주장을 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한국에도 들어와 전파되고 있다 . 모두가 성경을 오해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반 삼위일체주의를 주장하는 대표적인 자료는 다음과 같다. Fred Allaback, No New Leaders No New Gods! (Creal Springs, IL: Fred Allaback. 1995); 고진주 엮음, 측량할 수 없는 하나님의 사랑 연극인가 실제인가?(맞춤토탈, 2009).
9) 이한수, 신약이 말하는 성령 (서울; 솔로몬, 2009), 16.
10) Kirgen Moltmann, 생명의 영(Der Geist des Lebens). 김균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117.
11) Moltmann,126.
12) Moltmann, 131.
13) 카를 바르트(Karl Barth)는 신학을 다시 쓴다면 기독론이 아닌 성령론을 중심으로 쓰겠다고 말하였다. Moltmann, 생명의 영.
14) Moltmann, 생명의 영.
15) Ellen G. White, 사도행적 (Acts of the Apostles), 39. (이하 모든 엘렌 화잇 저서의 인용문 쪽수는 원문 쪽수임)
16) White,사도행적, 37.
17) White, 목사와 복음교역자에게 보내는 증언 (Testimonies the Ministers and Gospel Workers), 511.
18) White, 교회증언 (Testimonies for the Church), 8:21, 22.
19) White, 목사와 복음교역자에게 보내는 중언. 174,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