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현대 삼위일체 연구는 하나님 안의 통일성을 세 위격 사이의 친교(comminion, koinonia)에서 찾고자 한다. 그것은 삼위 하나님의 복수성에서 출발하여 하나님의 일체성과 통일성을 설명하는 방식이다. 이 것을 가리켜
“사회적 삼위 일체의 신학”(social Trinitarian theology)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최근 신학계에서 급속히 발전되고 있다. 이 견해는
“성령론적 기독론”,
“역사의 예수”,
“영의 그리스도”,
“경륜적 삼위일체론”(economic Trinity)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성령 이해는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14)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