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천사의 기별과 영원한 복음 제 3 장 세 천사의 기별과 재림 운동의 역사적 배경(안금영)
 다니엘 12:4에서 예고한 “다니엘아 마지막 때까지 이 말을 간수하고 이 글을 봉함하라 ∙∙∙ 지식이 더하리라”는 말씀은 과학적 발견과 발명으로 인한 지식의 증가가 아닌 “지식” 앞에 첨가된 정관사가 함축하고 있는 바와 같이 19세기 구대륙과 신대륙에서의 재림운동에 관련된 다니엘서의 마지막 때에 관한 예언 지식33을 의미한다.34 이 다니엘서의 봉함된 묵시문학적 예언 지식이 알려지고 그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참된 부흥의 물결이 일고 구원의 날이 박두하였다는 소망이 새로워져 갔다. 하나님께서는 이 봉함된 예언적 지식의 횃불을 들고 이 세상에 비추도록 하기 위하여 재림교회를 탄생시키셨다. (78.3)
 세 천사가 하늘을 날고 있다! 제1세기 말 밧모 섬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사도 요한은 마지막 시대 남은 교회의 사명을 보았다. 그 후 1700년 이상이 지나도록 그리스도 교회의 역사를 통하여 그 누구도 이 최후의 기별을 선포하지 않아 왔다. 루터, 칼빈, 녹스, 웨슬레—이들 중 그 어느 누구도 요한계시록 14:6~12의 삼중(三重)기별의 예언적 성취를 주장한 일이 없었다. 그들은 다니엘 7~8장에 나오는 기별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심판의 시간이 박두하였다는 선포를 하지 않았다. 요한계시록 14:6~7에 나오는 첫째 천사는 종말의 때에 관한 사도들의 복음을 회복하고자 선포한다. 이러한 점에서 세 천사의 기별은 항상 새롭고 또 새로워야 한다. 이 기별은 시간이 흐르고 해가 바뀌어 가면 갈수록 더욱 시의적절한 기별이 되고 그 중요성과 긴박성이 더해 간다. 공중에 날면서 메시지를 선포하는 세 천사들의 등장 순서가 바꿔져서는 안 된다. 먼저 하나님의 은혜의 영원한 복음을 선포하고 그 다음에 전 인류에 향한 하나님의 거룩한 율법의 구속력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므로 하나님의 은혜와 거룩한 율법이 함께 사람들로 하여금 야곱의 환난 때와 하나님의 진노의 날에 설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79.1)
 엘렌 화잇 여사는 “이 기별들에 관한 참된 이해야말로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영혼들의 운명은 그들이 받은 바 [기별] 안에서의 태도에 매달려 있다”35고 언급했다. (79.2)
 진리의 일부분을 버리는 자들에게는 성경상 성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하나님의 말씀에는 충분한 빛이 주어져 있으므로 아무도 실수할 필요는 없다. 진리는 가장 위대한 정신을 가진 사람들도 흠모할 만큼 고상하고 가장 보잘 것 없고 연약한 하나님의 자녀도 이해하고 거기서 교훈을 받을 수 있을 만큼 단순하다. 진리 안에 있는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는 자들, 셋째 천사의 기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자들은 핑계할 길이 없다. 진리는 깨닫기 쉽기 때문이다.36 (79.3)
 재림교회 선구자들은 요한계시록 14장에 나오는 세 천사의 기별들과 짜여져 있는 율법과 복음의 진리는 하나님께서 살아 계신 것처럼 확실한 진리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 진리에 남은 교회를 “견고하고 요지부동의 단”37에 비끄러매는 일이 된다. 재림교회는 하나님께서 이 종말의 때에 개신교의 종교개혁이 다하지 못한 사명을 완수하고 하나님에 향한 참된 예배를 회복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80.1)
 세 천사의 기별은 1844년의 대실망의 검은 구름 위에 떠오른 찬란한 태양과도 같은 영원한 복음의 메시지이다. 예언적 시간에 부응하여 하늘에서 온 이 메시지는 남은 교회에 희망과 격려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으며 그 나갈 방향을 제시하고 역사의 완성을 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메시지는 우리의 긴박성을 소생시키며 우리에게 항상 새롭게 이 마지막 세대에 도전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80.2)
 미주
 1. Uriah Smith, “Origin and History of the Third Angel’s Message, No. 3” Review and Herald, Dec. 16, 1890; See Ellen White Estate (comp.), Pioneer Articles on The Sanctuary, Daniel 8:14, The Judgment, 2300Days, Year-Day Principle, Atonement, 1846~1905, p. 673

 2. P. G. Damsteegt, Foundation of the Seventh-day Adventist Message and Mission (Grand Rapids:Eerdmans Pub. Co., 1977), 243

 3. A. Peters, Studies in the Revelation of Saint John, p. 43:as cited in D. F. Neufeld,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Advent Movement.” in G. M. Hyde (ed.). A Symposhnn on Biblical Hermeneutics (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 Assn., 1974), 112

 4. L. E. Froom, Prophetic Faith of Our Fathers (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Assn., 1946~1954), 4:472~473

 5. William Miller, Letter to Joshua V. Himes, on the Cleansing of the Sanctuary; See George R. Knight, Search for Identity: Development of Seventh-day Adventist Beliefs (Hagerstown. MD: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n., 2000), 44, 45

 6. William Miller, Evidence from Scripture and History of the Second Coming of Christ (Boston:B. B. Mussey, 1840). 39~58

 7. Froom, 473

 8. The Reformation and the Advent Movement (Haggerstown, MD:Review and Herald Pub. Assn., 1983). 197

 9. 1848, 1854에 건강 메시지가 있었으나 포괄적인 계시는 대총회 조직이후 16일만인 1863년 6월 6일에 있었다.

 10. 참고 Arther L. White, Ellen G. White:Messenger to the Remnant (Washington DC: Board of Trustees of E. G. White, 1954), 40.

 11. 참고 Ellen G. White. Early Writings. 258~261

 12. Uriah Smith. The Sanctuary and the Twenty-three Hundred of Danid 8 :14 (Battle Creek. MI: SDA Pub. Assn., 1877), 102

 13. 7BC, 971

 14. See Uriah Smith, Thought on Revelation,” RH. Oct. 21. 1862, 164

 15. EUenG. White, GC. 368

 16. Ibid.. 405

 17. Ibid., 405

 18. Idem, 1T, 6-37

 19. Idem, GC, 43

 20. Cf. Midnight Cry, Sept. 21, 1843

 21. RH, March 10, 1859, 122, 123

 22. Ellen G. White, GC, 389; See P. Gerard Damsteegt, Foundation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Message and Mission (Grand Rapids:Eerdmans, 1977)

 23. Idem, 390

 24. George R. Knight, Search for Identity, 61

 25. A Word to the Little Flock. 12; EW 14~15, 54~56;See Knight, 64

 26. “Thought on Revelation 14,” A Word to the “Little Flock”. 10, 11

 27. Ellen G. White. EW, 257, 258

 28. Idem, 1T, 78, 79

 29. Ibid., 337

 30. Idem, TM, 92

 31. Idem, GC, 453, 454

 32. Idem. MM. 266

 33. See James White, Sgns of tiie Times, July 22. 1880, 300: James White, Bible Adventism (Battle Creek, MI: SDA Pub. Assn. n.d.:reprinted Nashville Southern Pub. Assn.. 1972). 70~76

 34. 다니엘의 묵시적 예언들이 수록된 부분 (7~12장)에 “마지막 때 (the time of the end)”에 관한 문구가 5회 나온다. 이 문구는 구약성경에 나오는 “말세 (the last days)”“후일에 (the latter days)”와는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 행 2:17).

 35. Ellen G. White, 1SG, 168

 36. Idem, IT, 338

 37. Idem, 1SG, 169 (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