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확증 서문 서언
  • 1
 확실성에 대한 탐색은 기독교 신앙과 종교에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행사한다. 16세기에 개신교 종교개혁을 일으킨 것은 바로 구원의 확증에 대한 탐색이었다. 그에 대한 반응으로 트렌트 종교회의는 1547년에 어떤 그리스도인도 “하나님으로부터 온 특별 계시”에 의하지 않고는 “전혀 오류의 여지가 없는 믿음의 확실함으로써 자신이 하나님의 은혜를 얻었음”1)을 알 수 없다고 선언했다. (11.1)
 개신교 신앙의 기초에는 하나님께서 신자들을 가납하셨다는 그분의 확증에 대한 그들의 믿음이 자리하고 있다. 1563년의 「하이델 베르크 교리문답」(Heidelberg Catechism)은 이 진리를 인상적으로 표현한다: (11.2)
 질문: 삶에 있어서나 죽음에 있어서 그대의 유일한 위로는 무엇인가? (11.3)
 대답: 그것은 내가—육체와 영혼, 삶에 있어서나 죽음에 있어서 — 나 자신에게 속하지 않고, 그분 자신의 피의 값으로 나의 모든 죄 값을 치르셨고 마귀의 권세로부터 나를 온전히 자유케 하신 나의 신실하신 구주 예수 그리스도께 내가 속하였다는 것이다. ∙∙∙ 그러므로 그의 성령을 통해 그는 또한 영생에 대한 확증을 나에게 주시며, 나로 하여금 이제부터는 전심으로 기꺼이 그를 위해 살게 하시고 그렇게 하도록 준비시켜 주신다.2) (11.4)
 핍박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직면하면서 신자들이 만일 그들이 예수에 대해 의심을 가졌거나 그분에 대한 그들의 관계를 의심했었다면 믿음의 시험을 견딜 수 없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로마 가톨릭교 신앙과 역사적 개신교 신앙—바로 여기서 지금 얻은 개인적 구원에 대한 견고한 확증—사이의 본질적 차이를 보게 된다. 불행하게도 17세기 개신교의 스콜라주의는 이 개인적 확증을 대부분 잃어버렸고, 신조 체계에 대한 신뢰가 예수께 대한 개인적 신앙을 대신했다. 그러나 교리적 진리의 확실성이 기독교인들을 만족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또한 구원의 확실성을 필요로 한다. (12.1)
 하나님께서 복음 안에 허락하신 약속들에 대한 믿음은 그 자체의 확실성을 가져다 준다. 이 확증은 신앙에 대한 어떤 특별 계시의 부가물로서가 아니라 신자가 하나님의 약속 위에 굳게 서는 것으로 온다.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적절히 진술했다: (12.2)
[믿음이 갖는] 이 확실성은 처음부터 믿음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때가 되면 그것으로부터 유기적으로 나온다. 믿음은 확실성이고(is) 또 그것만으로 모든 의심을 몰아낸다. ∙∙∙ 확실성은 믿음의 본질적인 특성이다. 확실성은 믿음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 그것의 본질에 속한다.3)
(12.3)
 예수님 자신도 구약의 한 극적인 이야기에서 구원하는 믿음의 본질을 예증하셨다. 그는 니고데모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12.4)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요 3:14, 15).
(13.1)
 모세는 장대 위에 달린 놋뱀을 보라고 죽어 가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권하면서,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민 21:8)고 그들에게 말했다. 그들의 바라보는 행위는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나타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그들의 회복을 위하여 준비된 방법을 의지하여 생명을 구원했다. 그처럼 오늘날의 죄인들도 그리스도를 쳐다봄으로 구원을 얻을 수 있다.”4) (13.2)
 신자들은 오직 예수께 대한 믿음을 통해서만 자신들의 구원에 대해 확신하게 된다. 믿음 자체는 우리의 구세주가 아니라 우리가 예수의 구원의 선물을 받는 “손”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확실성은 예수께 대한 우리의 믿음으로부터(from)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믿음을 통해서(through) 온다. 결과적으로 그리스도인의 구원의 확증은 인간의 이성이나 감정이 아닌 신실하신 하나님의 약속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용서받은 죄인들에게 하나님의 성령께서는 친히 “우리 영으로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거하”신다(롬 8:16). (13.3)
 미 주
 1) In J. Leith, Creeds of the Churches (Atlanta, GA: J. Knox Press, 1977), 414, 422.

 2) In A. C. Cochrane, Reformed Confessions qf the Sixteenth Century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1966), 305.

 3) Herman Bavinck, The Certainty of Faith (St. Catharines, Ontario : Paideia Press, 1980), 85, 86.

 4)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 431. (13.4)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