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이 가르쳐 온 성소 교리와 관련된 나의 박사학위 논문을 끝마친 후에, 나는 테네시 주 내쉬빌(Nashville)에 있는 남부출판협회(Southerm Publishing Association)의 한 편집자로부터 재림교회의 일반 독자들을 위해 논문을 보급판으로 재구성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호의에 응락한 후 수년이 날아갔으나 원고를 완성하지 못했다. 눈앞에 있는 일의 압박으로 그날을 보류하였다. (8.1)
 지금 그대가 들고 있는 이 책은, 그러던 중 내가 오랫동안 눈앞의 압박을 견디고 우리 앞에 있는 장엄한 주제를 다루는 책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이것은 처음 의도와 달리 내 논문의 보급판은 아니다. 그 저작은 이제 앤듀루스 대학교 신학대학원의 박사학위 논문 총서로 원문 그대로 출판되었다.1) 그 대신 이 책은 내가 논문을 준비하면서 해 둔 노트와 논문에 포함시킬 수 없었던 개념을 적은 메모에서 나왔다. 닥치는 대로 아무렇게나 적어 두었던 것들이 결국 강의, 설교, 목회자 모임에서 한 강연으로 발전되었으며, 지금에 이 책으로 완성된 것이다. (8.2)
 1980년대 초에 재림교회의 성소 교리와 관련된 위기가 터지기 전에 착수하여 끝마친 내 박사학위 논문(그러므로 그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쓴 것이 아님)과 달리, 이 책은 그 도전을 염두에 두고 쓴 것이다. 나는 마치 그런 상황이 결코 발생하지 않았던 것처럼 이 책을 쓸 순 없었다. (8.3)
 하지만 이런 노력의 진짜 동인(動因)은 그 사건보다 훨씬 넓은 데 있다. 그것은 처음에 성소에 관한 논문을 쓰도록 불을 붙인 원래 충동 곧 내 자신을 위해 재림교회의 이 신조가 완전한지 평가해 보려던 관심을 심화시킨 것이다. 성소 교리와 관련하여 재림교회의 일각에서 내가 접한 비꼼, 비아냥거림, 밀실에 감춰진 비밀사항이라는 말이 보여 주는 정서 등으로 마음이 아팠다. 나는 그 교리가 우리 믿음에 속하지 않은 자들에게 받은 적대적인 압력에 대해서도 냉철하게 생각해 왔다. (9.1)
 이런 동기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자는 이 책에서 그 증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가 성소 주제 자체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 지기를 바란다! 마음속에 있는 몇 가지 이유로 나는 하늘 성소 개념에 상당한 매력을 느끼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고, 따라서 늘 경외심과 경이감을 갖고 연구에 임해 왔다. (9.2)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책을, 그 주제와 관련된 몇몇 주요 영역에 관한 내 자신의 입장을 밝히려는 단순한 뜻을 나누기 위한 개인적인 간증으로 여긴다. 이 책이 이미 그 교리를 받아들인 자들의 믿음을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것으로 보상은 충분하다. 또한 마음이 흔들리는 자들의 믿음을 굳건히 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것을 매우 감사한 보너스로 생각할 것이다. 게다가 나는 한두 경우에 이 책이 성소 교리에 완전히 문외한인 자들의 관심을 자극하고, 한때 그것을 반대하고 조롱했던 자들의 마음에 그 가르침에 대한 존경심을 불러일으켰으면 하는 주제넘은 바람도 있다. 이런 분외(分外)의 것들은 전적으로 섭리에 맡긴다. 하지만 그것들이 내가 이런 상황을 제시한 방법에 다소 영향을 끼쳤다. (9.3)
 나는 감사하는 마음으로 필리핀 신학대학원에 있었던 나의 학생들을 기억하고 싶은데, 그들은 내가 여기에 표현한 개념들 중 다수를 반영하게 했으며 또한 그들의 질문과 논평이 더욱더 이 주제에 대한 나의 관심에 자극을 주었다. (10.1)
 덧붙여, 특별히 나는 나의 은사였던 네 분, 곧 지독하게 바쁜 일정 속에서도 시간을 내 원고를 읽고 귀중한 제안을 주신 윌리엄 존슨, 윌리엄 셰이, 로버트 존스턴, 라울 데드렌 박사께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나는 강의실에서 피곤한 손으로 나의 선생님들이 말하는 단어 하나하나를 모두 받아 적었던 때 이후로 출처를 밝히지도 않고 그들의 사상을 빌려 오는 데 늘 자유로움을 느껴왔으며, 나는 이 책에서도 아마 내가 아는 것 이상으로 그렇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실수는 모두 나의 것이다. (10.2)
 또한 출판 계획이 진행되는 동안 내내 원고를 타자하고 교정해 준 필리핀 신학대학원의 루비 오라테(Ruby Orate)와 푸어링 라구이(Puring Ragui) 비서, 그리고 현재 비서인 니콜 볼더(Nicole Bolder)에게도 감사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이 작업의 매우 번거로운 부분을 나의 전(前) 비서인 치트라 바나바스(Chitra Barnabas)가 맡아 주었는데, 내가 초기에 쓴 거의 읽을 수 없는 초안(草案)을 교정할 때 여러 시간 녹음테이프를 듣고 옮겨 베끼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11.1)
 리뷰 앤드 헤럴드 출판사의 편집진들은 마치 그들의 주목을 요하는 유일한 원고가 독자들의 것인 양 독자들을 배려한 셈이다. 나는 그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고, 특별히 마지막 편집 과정 내내 원고를 살펴보면서 여러 가지 값진 제안을 준 리처드 코핀(Richard Coffen)에게 감사 드린다. (11.2)
 또한 내가 함께 지내야 했을 수많은 경우에도, 이 책과 함께 “유랑살이” 하도록 허락해 준 아내 셀리아(Celia)와 내 자녀 드웨인(Dwayne)과 킴(Kim)에게도 감사한다. (11.3)
 가장 먼저 해야 하지만 끝으로, 이 일이 진행되는 동안 내내 은혜 가운데 나를 놀랍게 지탱해 주신 주님께 나의 가장 깊은 감사를 드린다. (11.4)
 참고
 1) Roy Adams, The Sanctuary Doctrine. Three Approaches 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Berrien Springs, Ml: Andrews University Press, 1981). 이후로는 The Sanctuary Doctrine으로 약칭함. (12.1)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