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행 사 저자 서문 제1장 총론 ∙ 15
제1절 별자리(星座)와 신화 ∙ 17
1. 밤하늘의 빛난 별들 ∙ 17
2. 별자리와 계절, 그리고 점성술의 기원 ∙ 19
3. 빛은 동방에서 ∙ 22
4. 천문 시집
“페노메나” ∙ 24
제2절 태양 원반(Winged Solar Disk)에서 장미창(Rose Window)까지 ∙ 26
1. 개요 ∙ 26
2. 태양 원반의 기원 ∙ 32
3. 아마르나의
“태양 원반” ∙ 39
제3절“제3의 새 종교”의 특성과 그 유물들 ∙ 48
1.
“제3의 새 종교”의 특성과 그 상징물들 ∙ 48
a. 개요 ∙ 48
b. 몬스트란스(Monstrance-聖體發現 顯示臺) ∙ 56
2.
“제3의 새 종교”의 그 유물들 I ∙ 62
a. 포르투나 비릴레 신전이 성 마리아 에기지아카 성당으로 ∙ 62
b. 파우스티나 신전이 미란다의 성 로렌쪼 성당으로 ∙ 62
c. 베스타 신전이 성모 마리아 성당으로 ∙ 65
d. 판테온이 순교자의 성모 마리아 성당으로 ∙ 67
3.
“제3의 새 종교”의 그 유물들 II ∙ 68
a. 벡키오 궁전(Palazza Vecchio) ∙ 68
b. 블리코 궁전(Palazza Pubblico) ∙ 73
c. 시에나 대성당(Siena Cathedral) ∙ 74
d. 산 스피리토 성당(Chiesa di San Spirito) ∙ 74
e. 산타 크로체 성당(Chiesa di Santa Croce) ∙ 77
f.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Chiesa di S. Maria Novella) ∙ 78
g. 오니산티 성당(Chiesa di Ognissanti-All Saints) ∙ 80
h. 성 베드로 대성당(St. Peter Cathedral in Vatican) ∙ 82
i. 엘 제수(El Gesù)성당 ∙ 88
4. 기독교화된 신화와 전설 ∙ 90
a. 개요 ∙ 90
b. 성 게오르게와 성 마르다. 그리고 용 ∙ 94
c. 성모 마리아 제관식 ∙ 101
d. 피에타 ∙ 106
e. 마돈나와 아기 예수 ∙ 111
5. 성상 논쟁 ∙ 115
a. 개요 ∙ 115
b. 마리아 숭배 시작 ∙ 117
c. 니케아 총회에서 성상 숭배 결의 ∙ 120
d. 둘째 계명의 삭제 ∙ 123
제2장 천문학의 여명 ∙ 125
제1절 서론 ∙ 128
제2절 갈대아 사람들의 지혜-점성술 ∙ 133
1. 개요 ∙ 133
2. 일곱 혹성 신들 ∙ 140
3. 7층 신전탑 지구라트 ∙ 152
4. 7층 신전탑에 나타난 천동설 ∙ 156
5. 바빌로니아 역법과 7요일 명칭 유래 ∙ 158
제3장 헬레니즘 시대의 점성술 ∙ 169
제1절 서론 ∙ 170
제2절 수메르인 시대에서 갈대아인 시대까지 ∙ 172
1. 개요 ∙ 172
2. 메소포타미아의 춘추 전국 시대 ∙ 177
제3절 느부갓네살왕의 야심 ∙ 185
1. 앗시리아 제국의 최후와 유다 왕국의 멸망 ∙ 185
2. 바벨론 도성 ∙ 190
3. 바벨론의 개선 행렬로 ∙ 194
4. 일곱 천체의 신전 ∙ 199
5. 느부갓네살의 가공원 ∙ 204
제4절 신 바빌로니아 제국의 멸망 ∙ 205
1. 바벨론 판테온 사제단의 내분과 나보니두스 ∙ 205
2. 고레스 실린더와 나보니두스의 연대기 ∙ 208
제5절 버가모와 코스 섬에 세워진 바벨론 망명 정부와 점성 학술원 ∙ 213
1. 갈대아인들의 반란과 도피 ∙ 213
2. 퀴레네 학파 (Cyrenes)의 관심 ∙ 215
제6절 점성술에서 천문학으로 ∙ 220
1. 알렉산드리아의 왕립학사원 무세이온(Museion) ∙ 220
2. 알렉산드리아의 점성학자와 천문학자 ∙ 223
제7절 헬라의 군주들과 점성술사들 ∙ 231
1. 제국의 분열 ∙ 231
2. 버가모 왕국과 안디옥 왕국 ∙ 232
제8절 발견된 사실 ∙ 238
제4장 그리스도교가 이교화되어 가는 과정 ∙ 239
제1절 서론 ∙ 241
제2절 로마 제국시대의 점성술 성행과 태양신 숭배의 풍조 ∙ 246
1. 개요 ∙ 246
2. 제정 시대의 로마 사회에 만연된 점성술 ∙ 250
a. 포시도니우스와 그의 후예들 ∙ 250
b. 황제와 점성학자들 ∙ 257
(1) 로마의 첫 번째 황제 아우구스투스와 니기디우스 피굴로스, 그리고 비트루비우스 ∙ 258
(2) 로마의 두 번째 황제 티베리우스와 마닐리우스 ∙ 262
(3) 베티우스 발렌스 ∙ 264
c. 황제 콘스탄티누스와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 ∙ 266
(1)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와 교회사가 유세비우스 ∙ 266
(2)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의 말기와 그의 호교적 활약 ∙ 272
d. 대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와 테트라비블로스 ∙ 279
e. 로마 고전 문헌 작가들의 작품들 속에서 ∙ 289
(1) 키케로가 라틴어로 번역한 플라톤의 티매오스 ∙ 290
(2) 프로페리티우스의 엘레게이아 ∙ 293
(3)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 ∙ 294
(4) 유베날리스의 풍자시 ∙ 294
3. 고고학적 증언들-유적지와 유물들 ∙ 296
a. 율리우스 캐사르 역 ∙ 296
b. 사빈네 달력 ∙ 299
c. 로마의 티투스 황제의 욕실 ∙ 300
d. 푸톨리에서 출토된 한 조각 달력 단편 ∙ 305
4. 발견된 사실 ∙ 305
제3절 그리스도 전후 시대의 태양 숭배 ∙ 311
1. 개요 ∙ 311
2. 중동 지역 제민족의 태양신 명칭들 ∙ 313
3. 태양신 숭배일인 일요일 ∙ 316
a. 교부들의 증언들 ∙ 316
b. 문헌들에 나타난 증언들 ∙ 318
4. 중동 지역 제민족의 태양신 부활절 행사와 그 풍습들 ∙ 319
a. 개요 ∙ 319
b. 바빌로니아의 태양신 탐무주와 그의 배우신 이쉬타르에 얽힌 부활신화 ∙ 323
c. 시리아의 아도니스와 아프로디테 ∙ 327
d. 프리기아의 앗티스와 연상의 연인 키벨레 여신에 얽힌 부활 신화 ∙ 331
e. 가나안의 바알과 아세라 부활 신화 ∙ 340
f. 발견된 사실들 ∙ 348
제4절 성경에 최초로 나타난 태양신 부활절 축제 행사 ∙ 349
1. 싯딤의 사건과
“발람의 꾀”(민 31:16) ∙ 349
2. 모압 왕 발락과 선지자 발람과의 야합 ∙ 354
a. 불의의 삶에 눈먼 발람 ∙ 354
b. 저주의 술법(주술)이 축복으로 ∙ 357
c. 발람의 꾀 ∙ 358
d. 하나님의 공의 ∙ 360
3. 세기적인 발람의 교훈과 현대판 비느하스의 의거 ∙ 363
a. 버가모 교회에 보내는 그리스도의 편지 ∙ 363
b.
“발람의 교훈” ∙ 365
c. 비느하스의 의거와
“영원한 제사장 직분의 언약” ∙ 368
제5절 태양신 숭배의 관습과 그 의식들이 그리스도교에 도입된 과정 ∙ 376
1. 개요 ∙ 376
2. 동방 경배와 일요일 예배 ∙ 378
3. 태양신의 각종 상징물들 ∙ 383
a. 고대 이집트의 태양신 상징물들 ∙ 383
b. 중세 유럽의 건축물 속에 나타난 제3의 새 종교 상징물들 ∙ 387
4. 중세 유럽의 성당들 속에 나타난 제3의 새 종교 상징물들 ∙ 393
a. 시스티나 소성당(Cappella Sistina) ∙ 393
b. 라파엘로의 방들(Stanze di Raffaello) ∙ 399
5. 몬스트란스 ∙ 407
a. 개요 ∙ 407
b. 안크 ∙ 410
c. 청동 거울 ∙ 411
제6절 맺음말 ∙ 443
부록: 안식일에 관한 루터와 엑크의 논쟁 ∙ 435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