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곤봉상(Clubbing of Fingers)
 I. 설명
곤봉상은 손가락 끝 부분이 클럽처럼 보이는 비교적 드문 증상이다. 손톱은 아래로 구부러지며 손가락 끝이 전구 모양 또는 넓적하게 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표피가 없어지기도 하며 손가락 끝은 뒤집어 놓은 스푼이나 주걱같이 보이기도 한다. 일부 유전적인 경향으로 오는 종창이며 폐와 심장의 심한 장애로 생겨나기도 한다. 실제적인 원인은 알려진 바가 없다. (92.1)
 II. 원인
 1. 대동맥 판 질병(aortic valve disease): 심장의 주요 혈액 펌프 작용을 하는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연결되는 대동맥 판에 이상이 생겨서 피 흐름에 장애가 생긴다. 선천적인 경우가 있고 류머티스 열, 간염, 그리고 기타 질병으로 발생한다. 호흡 곤란, 가슴 통증, 곤봉상 등이 나타난다. (92.2)
 2. 관절염(arthritis): 손가락의 첫째 관절에서 생기는 관절염의 증상이다. 골 관절염의 한 형태인 헤베르덴 결절(Heberden's nodes)도 손가락의 첫째 관절이 부어오르는데 외양은 비슷하나 곤봉상은 아니다. (93.1)
 3.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기관지가 감염되거나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질병으로 종종 심한 기관지염과 폐렴의 후유증으로 생긴다. 만성 기관지염과 비슷하며 악취 호흡, 기침 발작, 점액 및 농성 물질 객출 등이 나타난다. (93.2)
 4.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폐로 공기를 유입하는 기관이 감염되고 울혈 상태를 말하며 증상이 몇 달 계속되면 만성이라고 한다. 증상은 기침과 천명(wheezing)이 생기고 많은 양의 담이 나온다. 이런 상태가 오래 계속되면 곤봉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93.3)
 5. 울혈성 심장마비(congestive heart failure): 심장이 혈액 펌프질을 잘 하지 못할 때 울혈이 생긴다. 혈액이 폐로 역류되어 폐의 울혈도 일으킨다. 호흡이 가쁘고 부종이 생기고 곤봉상도 나타난다. (93.4)
 6.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 심각한 유전적 질병이며 인체의 여러 기관에 섬유성 변성이 생기는데 특히 폐에 많이 발생한다. (93.5)
 7. 폐기종(emphysema): 폐의 공기 주머니의 탄력성 상실에서 온다. 호기곤란으로 산소 부족이나 피로를 일으키며 원통형 가슴이 형성된다. (93.6)
 8. 결핵(tuberculosis): 지금은 옛날처럼 무서운 병은 아니지만 아직도 마약 중독자들이나 노숙자들 그리고 빈민가에 사는 자들에게 위협적인 질병이다. 증상은 만성기침, 각혈, 체중상실, 호흡곤란, 심호흡 시에 나타나는 통증, 그리고 투병이 계속되면서 곤봉상도 나타난다. (93.7)
 III. 예방 및 치료
 1. 가족 중에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유전적인 성향이며 다른 신체적 질병의 원인이 없다. (93.8)
 2. 헤베르덴 결절로 오는 곤봉상은 심각한 문제가 아니며 처음에 통증과 감염이 생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든다. (93.9)
 3. 증상의 원인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거기에 상응하는 치료를 한다. (93.10)
 4. NEWSTART 천연 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93.11)
 5. 붉은 클로버나 두충나무를 차나 가루로 먹는다. (94.1)
 6. 원적외선 온열매트를 56-70°C 사이에 두고 1시간 정도, 1주 3-5회 전신 찜질을 하고 잠을 잘 때는 온돌 대신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원적외선 효과로 울혈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 주기 때문에 질병 치료와 최상의 건강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하고 치료 시간만큼 휴식을 취한 후에 이동하도록 한다. (94.2)
 7. 비가 올 때나 실내에서 일할 때 풀 스펙트럼라이트를 활용한다.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일광욕으로 비타민 D를 얻게 하고 정서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받는다. (94.3)
 8. 매 끼니 식후에 청국장 가루 1-2T를 물 1/2컵에 타서 먹는다. (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