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언약의 안정은 대개 부부가 서로 기대하는 역할들을 수행 해 나가는 방법에 달려 있다. 결혼 상담자들은 때때로 파혼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역할의 충돌”을 지적한다. 스티븐스(Paul Stevens) 는 기록한다. “여러 결혼 상담자들은 결혼 생활이 바로 이 점에서 비참하게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안다. 어떤 남자들은 성경은 하나님께서 가족들을 위하여 그들에게 책임을 맡기셨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우두머리이다. 어떤 여자들은 그것이 진실이라 믿고 여러 해 동안 남자가 연약하든지 폭군 같든지 무론하고 복종하려고 애 쓴다. 그러나 와야 할 날이 온다. 그녀는 신경전을 감행하고, 비행기 표를 사서 날라 버리거나, 혹은 외간 남자를 따라 외도함으로 개혁하려고 할 것이다.”1(161.1)
같은 맥락에서 윌리암슨(Robert C. Williamson)은 말한다. “어떤 경우 서로의 역할들을 수행하기에 무능하거나 실패할 때 결혼 생활에 재앙이 일어난다. 역할 인식의 차이점은 예를 들면, 남편이 가부장적 형을 선호하고 아내는 평등주의를 원할 때 나타난다. 이혼은 단지 역할의 모순에 대한 자업자득이다.”2(161.2)
대개 결혼 관계 안에서 역할의 다툼의 근원은 남편 주인(우두머리)과 아내 복종에 관한 성서의 교훈을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우두머리/복종”의 언급은 과거 30여년 동안 “아담의 갈비뼈 에서 여성해방운동”으로 전적으로 도약을 한 다수에게는 파문(破門)적이다. 감히 “여인의 복종”이란 구절을 “여성해방 운동자”들과의 대화에서 말하는 것은 위험 천만인데 “마치 고행을 행하는 노예 감옥을 믿고 화장실에 여자를 쇠줄에 감는 조작자로, 무식한 괴짜 광신자의 부류로 낙인 찍힌다. 바로 그 생각이다. 내가 뜻하는 것은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은 남자의 발꿈치 아래 이그러지는 여자 ∙∙∙ 혹은 구석에 밀쳐 넣고, 기저귀를 갈아끼우게 하고, 설거지를 하고, 물품 목록을 점검하고 마루를 닦는 여자라고 상상할 수 있다.”3(161.3)
결혼 관계 안에서의 역할에 대한 성서적 관점에 대하여 오해를 하여 거대한 반발을 일으킨 것은 1966년에 세계여성기구(NOW)가 설립되면서 새로운 힘을 얻은 여성 자유화 운동(WLW)으로 시작 되었다. 이 운동의 급진 단체들은 결혼 그 자체를 폐지함으로 여성의 복종하는 역할에서 여성의 자유로 진보시켰다. 여성 자유화 운동의 지도자인 크로란(Shelia Cronan)은 명백히 설명을 한다. “결혼이 여성을 노예로 구속하므로 여성 운동이 이 제도에 대항하여 싸워야 한다. 여성을 위한 자유는 결혼 폐지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4 (162.1)
결혼을 거절하는 급진주의자들과 함께 문제점을 취급하는 진보 된 온건 단체들은 “역할의 상호교환 능력” 대신에 결혼 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와 경제에 관련된 사회시민으로서 여성의 동등권을 진전시켰다. 중요한 사실은 많은 미국 여인들은 여성 자유화 운동이 부르짖는 동등권을 지지하지 않는 것이다. 그들은 “약자로 서의 성”은 남자에게 버림을 받은 감정으로 이해함으로 여자가 몸을 허락하는 “동의(同意)의 성”으로 부르고자 한다. (162.2)
토르프(Elsieliese Thope)는 이러한 견해를 말한다. “만약 그들 「여성 자유화 운동」이 평등에 대한 그들의 아우성과, 불만의 극성을 멈추지 않으면 우리는 그들이 요청하는 것을 취함으로 끝낼 것이다. 동등을 원하는 자인 여자들이 지금 더 나아진 것이 무엇인가? 생리적, 법적, 본질상으로, 그리고 다른 일에서와 같이 우리 여성은 동의의 성이다.”5 (162.3)
어떤 면에서 토르프의 견해는 오늘날 성취되고 있는데 여인들이 가령 공항에서 짐을 싣거나 하역할 때 무거운 것을 운반하는 인력이 요구될 때마다, 혹은 출산 후 며칠 또는 몇 주의 휴가를 얻어야 할 때 작업장에 일하는 사람을 대개 남자로 대치하는 것이 그렇다. 설상가상으로 여자들은 여성주의자 운동으로 결혼할 의무에서 벗어났다고 하지만, 오히려 그들은 남자에게 버림을 받은 자신을 발견한다. (163.1)
뉴스위크지에 기고된 논고 “여성주의자의 실패”에서 에벨링(Kay Eheling)은 한탄한다. “오늘날 나는 여성주의를 ‘실패한 대 실험’으로 본다. 나의 세대의 여인들은 큰 실수를 범한 사상가들 이다. 나 자신을 포함한 우리 중의 다수는 자녀들 홀로 입신출세 하도록 그들에게 힘겨운 짐을 지운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시리얼(쪄서 말린 곡류)을 타 먹는 데 능숙하고 주말에 오락을 즐길 곳을 찾는 처참한 신분이 되었다.”(163.2)
“여성주의자는 여자가 아닌, 오히려 남자를 자유롭게 한다. 지금 남자들은 아내가 바가지 긁는 것과 자녀 부양의 짐으로부터 쉽게 벗어난다. 출산 후에 만약 아내의 허리 치수가 50센티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남편은 집을 나가 날씬한 여인을 찾을 수 있다. 지금 여자들은 아이를 부양할 다른 남자를 찾기에 너무도 어렵다.”6(163.3)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역할의 혼란”을 당하면서, 왜 그리스도인 부부들도 역시 그들의 역할에 관하여 혼동하고, 다른 역할들을 추구함으로 더 나은 자아 성취를 추구하는지 이해하기란 어렵지 않다. 결혼 생활의 역할을 제거하거나 바꾸려고 하는 사회적 경향에 대처하기 위하여 그리스도인 부부들과 결혼을 준비하는 젊은이들이 성경에서 하나님께서 부부의 적절한 역할에 대하여 무엇이라 말씀하시는가를 연구해야 하는 것은 명령적이다. 우리가 연구할 결혼역할의 성서적 관점은 고대 가부장적 문화에서 온 것이 아닌 거룩한 계시로 유래된 것이다. 성서의 견해를 받아들이는 것만이 결혼 언약을 위한 굳건한 기초를 마련하는 유일한 길이다. (163.4)
이 장의 목적
본 장은 남편-머리와 아내-순종의 성서적 원칙의 의미, 함축된 의미, 그리고 적용을 살펴본다.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이 장의 첫 째 부분은 부부의 역할에 대한 신약의 주요 구절들을 조사하여 “머리”와 “순종”의 성경적 의미를 해석하게 될 것이다. 다음 부분에서 머리/순종의 성서적 원칙의 실제 의미와 적용을 살펴본다. 특별히 실제적인 면에서 주권을 실행하는 남편과 복종하는 아내가 무엇을 뜻하는지를 살펴본다.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