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식.
“현대사에 있어서 전쟁과 평화.” 대학, 현실, 사색. 서울: 범양사, 1984. 154-169.
이석우.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전쟁론.” 경희대학, 6, 7, 8 (1980), 181-206.
헬제란드.
“로마군대와 기독교도: 기원후 173-337.” 지동식 역. 로마제국과 기독교. 한국신학연구소, 1980. 304-329.
K. 알렌드.
“초기 크리스트교회와 국가관계: 재해석.” 지동식 역. 로마제국과 기독교. 한국신학연구소, 1980. 221-235.
J. A. 레이너.
“로마제국의 기독교사회.” 지동식 역. 로마제국과 기독교. 한국신학연구소, 1980. 236-249.
A. 알핼디.
“콘스탄티누스대제의 기독교에 대한 태도.” 지동식 역. 로마제국과 기독교. 한국신학연구소, 1980. 354-368.
______.
“콘스탄티누스대제의 이교도에 대한 태도.” 지동식 역. 로마제국과 기독교. 한국신학연구소, 1980. 371-399.
A. H. M. 존스.
“고대말기의 이교와 크리스트교의 전쟁 및 그 사회적 배경.” 지동식 역. 서양중세역사가와 역사서술사론, 상. 서울: 법문사, 1983. 35-56.
민경배.
“콘스탄틴대제의 기독교공인과 그 이후의 정통 이단문제.”사총, 12, 13 (1968), 59-82.
김현찬.
“Constantine 대제의 개종에 관한 연구.” 숙대사론 20 (1968).
조인형.
“니케아 종교회의에 관한 역사적 고찰-콘스탄티누스와 유세비우스의 역할에 관한 비평을 중심으로.” 강원대학 3 (1987), 125-172.
P. G. 왈쉬.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구성과 추해론.” 유희수 역. 서양고전고대역사가와 역사서술사론, 하. 서울: 법문사, 1983. 362-392.
M. 그란트.
“기독교사의 효시로서의 유세비우스.” 조인형 역. 서양고전고대역사가와 역사서술사론, 하. 337-354.
T. B. 반즈.
“유세비우스의 콘스탄티누스대제관.” 오만규 역. 서양고전고대역사가와 역사서술사론, 하. 397-423.
오만규.
“테르툴리아누스의 군복무관.” 삼육대학논문집 16 (1984).
______.
“교부들의 전쟁관.” 삼육대학논문집 17 (1985).
______.
“초기 크리스트교도들의 군복무.” 역사학과 고고학. 제28회 전국 역사학대회. 1985.
______.
“로마 군대종교와 초기 크리스트교도들의 군복무.” 한국교회사학회지 3 (1987).
______.
“초기 크리스트교 교회법에 나타난 교회의 로마군대 및 크리스트교도 군복무관.” 삼육대학논문집 20 (1988).
(2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