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1) J. Kremer, “pnetuma,” in    TWNT,Bd. III. pp. 279-291: E. Schweizer, “pneuma:” in Bd.VI, pp. 387-453: 성종현, “현채 서구 성서신학자들의 성령 이해와 신약성서의 성령관,”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식민주의 시대의 신학. 한국기독교학회 엮음(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6), 126.

 2) 황승룡, 성령론, 69, 70.

 3) 황승룡, 70.

 4) 김지철, “새 언약이신 예수 그리스도(고후 3:4-4:6을 중심으로)”, 교회와 신학 XXII (1990), 150ff.

 5) 이한수, 신약이 말하는 성령, 103-106.

 6) 이한수, 신약이 말하는 성령, 257-261.

 7) 이한수. 371-373.

 8) Turner. The Holy Spirit and Spiritual Gifts. 66ff.

 9) 이한수, 385,

 10) Turner. 61, 62.

 11) “보혜사”란 솔어의 의미와 그것의 개념사적 배경에 대한 자세한 논의로는 Tuner, The Holy Spirit and Spiritual Gifts, 77-79; 김희성, 부활신앙으로 본 신약의 성령론(대한기독교서회, 2000), 270-276을 참조.

 12) 이한수, 397.

 13) J. G. Davis. “The Primary Meaning of Parakletos,” JTS 4 (1953): 35-38,

 14) C. K. Barrett. “The Holy Spirit in the Fourth Gospel,” JTS 1 (1950): 1-15.

 15) R. Bultmann. Theology ofthe New Testament 1, 164-83; 11, 1-92.

 16) 이한수, 400.

 17) 이한수, 399.

 18) R. E. Brown, “The Paraclete in the Fourth Gospel,” NTS 13 (1966/67), 113-132; “The ‘Paraclete’ in the Light of Modern Research,” StEv4 (1968), 158ff.

 19) D. E. Holwerda, The Holy Spirit in the Gospel ofJohn (Kampen: Kok, 1959), 48ff.

 20) 변종길, 성령과 구속사(개혁주의 신행협회, 1997), 189ft

 21) 이한수, 신약이 말하는 성령. 433.

 22) B. K. Barrett, John, 474f.; J. H. Bernard, John, 676; R. Bultmann, John, 756; R. E. Brown, John, 1019ff.; C. H. Dodd,Interpretation,442, etc; 이한수, 435.

 23) J. Calvin, John, 205; 이한수, 438.

 24) 이한수, 463.

 25) 황승룡, 성령론, 108.
  • 1